[나는 왜 쓰는가]를 읽고 리뷰 작성 후 본 페이퍼에 먼 댓글(트랙백)을 보내주세요.
한창훈의 나는 왜 쓰는가
한창훈 지음 / 교유서가 / 2015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쉽지 않은 일인 줄 뻔히 알면서도 어쩔 수 없이 하는 경우가 종종 있다. 반면에 그닥 어렵지는 않지만 왜 하는지도 모르는 채 꾸역꾸역 하게 되는 일이 있다. 이를테면 블로그에 글을 쓰는 일만 해도 그렇다. 어떤 대가가 주어지는 일도 아니고, 가령 내가 쓴 어떤 글을 읽었던 누군가가 감동하여 눈물을 펑펑 흘렸다는 얘기도 들려오지 않는데 나는 지치지도 않고 몇 년째 블로그를 이어오고 있는 것이다. 그렇다면 내가 과연 인내심이 특출한 사람이었던가? 천만에 말씀이다. 나는 그렇게 강한 인내심의 소유자가 아니다. '그렇다면 도대체 무엇 때문에?' 라고 누군가 묻는다면 나는 할 말이 없다.

 

딱히 기억할 만한 중요한 것을 기록하는 건 아니다. 읽었던 책의 좋았던 문장을 가려내어 언뜻 떠오른 내 생각과 함께 기록하는 게 고작이고, 이따금 세상 돌아가는 이야기나 시답잖은 내 과거를 들춰내는 게 전부이다. 더러 모르는 누군가로부터 얼마를 줄 터이니 서포터즈가 되어달라는 쪽지가 오기도 하지만 소심한 나는 '혹시 이러다 사기를 당하는 게 아닐까' 걱정이 앞서 단 한 번도 가타부타 대응한 적이 없다.

 

소설가 한창훈의 산문집 <한창훈의 나는 왜 쓰는가>를 읽다가 문득 궁금했었다. 나는 왜 쓰는지. 작가는 원고료 때문에 쓴다고 솔직하게 말한다. '짧은 질문은 긴 대답을 요구한다'고도 했다. 또는 '왜 쓰는가'하는 질문은 '왜 사는가'와 같은 질문이어서 대답하기 부끄럽고 쪽팔리다고도 했다. 그러나 이 책의 내용은 독자가 제목에서 기대하는 그런 게 아니다. 예컨대 작가의 창작론이나, 작가론 등 어떻게 쓰고 어떻게 생활하는지 시시콜콜 말하는 책은 아니다. 오히려 작가 한창훈이 걸어온 삶의 단면, 그가 태어난 거문도와 여수와 광주와 부산, 대전을 거치며 만났던 사람들, 소설가로 등단하여 교류했던 문인들, 그가 읽었거나 썼던 책에 대하여 작가는 진솔하게 쓰고 있다. 어쩌면 이 책은 '왜 사는가?' 묻는 독자들에 대한 그의 대답일지도 모르겠다.

 

"상금이 없었다면 신춘문예 응모를 하지 않았을 것이다. 응모가 끝나면 후배는 집으로 돌아갈 예정이었지만 나는 계속 그곳에서 살아야 했다. 겨울철엔 일자리 구하기도 어려웠다. 내가 택한 곳은 지방 신문사였다. 응모하고 나서 기다리고 있었고 머지않아 당선되었다는 소식이 왔다. 담담했다. 앞으로 살아야 할 시간들, 짐작하지 못했던 것들이 돌발적으로 엄습해오는 미래만 무거웠다." (p.173)

 

책에 소개한 작가의 일과는 단순했다. '새벽 기상, 바람의 방향과 세기를 가늠하기, 담배 피우면서 그냥 있기, 원고 쓰기, 낚거나 뜯어온 것으로 국 끓여 밥 먹기, 책 읽기, 산책이나 생계형 낚시하기, 그리고 사람들 이야기 듣고 있기'(p.109) 소설가보다는 어부를 직업으로 선택했어야 했는지도 모른다고 작가는 말한다. 책에서 그가 밝힌 삶의 궤적을 따라가다 보면 아시바를 매고 고기를 낚던 그의 손에서 짙푸른 감동을 길어올릴 수 있었던 건 어쩌면 생각보다 쉬운 일이었는지도 모르겠다는 생각에 이르게 된다. 에둘러 말하지 않아도 그가 쓴 소설은 그가 속했던 삶의 현장에 대한 정밀한 기사글일 수 있기 때문이다.

 

"가난과 외곽을 그리는 소설이 의미를 잃는 시대에 나는 소설가로 살고 있다. 변방의 삶을 그들의 언어로 쓴 소설이 나오면 으레 고색스러운 방 하나에 한꺼번에 모아놓고 체크인 해버리는 게 요즘 풍토이다. 토속적이다, 질펀하다, 한마디 내뱉어주면 된다고 여긴다. 평론가들의 모국어 기피, 근친 혐오, 그 배경 속에서 쓰고 있다." (p.108)

 

책에서 작가는 유용주 시인, 고 이문구 선생, 송기원 시인, 고 박영근 시인, 이흔복 시인, 박남준 시인, 이정록 시인, 안현미 시인 등 작가와 교류가 있었던 문인들을 소개하고 있다. 나는 그들 중 공지영의 <지리산 행복학교>에서 버들치 시인으로 소개되었던 박남준 시인과 안현미 시인에 대한 소개글을 재미있게 읽었다. 그러나 그의 넋두리와도 같은 이 책을 끝내 다 읽을 수밖에 없었던 이유는 따로 있었다. 삶의 변방으로 밀려났던 한 사람이 결국 소설가로 살아가면서 깨닫게 되는 작은 깨달음들, 그것을 나는 차마 외면할 수 없었다. 내 일인 양 아팠다.

 

"상상보다 앞서 나간 현실이 얼마나 많은가. 그들이 없다면, 그런 모습이 없다면 자본의 확대재생산 속도를 늦춰줄, 도시와 비도시의 균형을 맞춰줄, 사람이란 그렇게 독하고 모진 것만은 아니라는 것을 보여줄 이 어디 있겠는가. 나는 쓰기 시작했다. 섬의 딸들이 어떤 식으로 위기를 넘겼는지, 어떤 형식으로 지리적 천형과 운명의 굴레를 이겨냈는지, 숨은 마음과 유쾌한 말을 적어나갔다. 죽음과 삶이 한 쾌에 엮여 있는 것. 울음과 웃음이 한 장소 같은 시간대에 뒤범벅되는 것. 자신이 떠나는 자리에 웃음소리 돋아났다면 그 인생도 괜찮은 인생 아니겠는가." (p.294)

 

비가 예보되어 있는 오늘, 여전히 비는 내리지 않고 한여름인 양 무덥다. 타들어가는 농작물을 보며 불기운에 데인 양 아프지 않은 사람은 농부가 되지 못한다. 철썩이는 파도를 보며 망망한 외로움을 느끼지 않는다면 어부가 되지 못한다. 결국 소설을 쓰는 작가는 세상의 모든 삶을 아파해야 한다. 소설가의 숙명은 아파하는 모든 인생에 경배하는 일이다. 어쩌면 직접 세상을 사는 본인보다 지켜보는 소설가가 더 아파하는 것이 우리네 인생인지도 모른다. 그래서 세상의 모든 독자는 소설을 통해 한줌 위로를 받는다.

 

* 알라딘 공식 신간평가단의 투표를 통해 선정된 우수 도서를 출판사로부터 제공 받아 읽고 쓴 리뷰입니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초딩 2015-06-11 12:52   좋아요 0 | URL
하릴없이 초록 그늘 아래에 서 있다 꼼쥐님의 글을 읽고, 도대체 왜 그랬는지는 잘 알 수 없지만 유레카를 왜치며 성큼 성큼 계단으로 올라왔습니다. :)
왜 쓰는가?에서 출발한 왜 사는가에 대한 질문,
유대인들이 말하는 삶의 정수 - 일상을 특별한 날로 만들고, 평범한 것을 멋진 것으로 만드는것과 같이 생산적이고 밝은 하지만 조금 무겁게 느껴지는 - 까지 복잡하게 생각하기전에,
˝인생은 아름다워서˝라고 간단히 말해버리고 싶어서 그렇게 계단을 성큼 성큼 올라왔는지도 모르겠습니다.
말씀하신 것처럼, 상금이 주어진 것도 아니고 누군가 중독된 것처럼 매번 내 글을 확인하며 읽고 펑펑 울거나 배를 잡고 웃지 않아도,
그냥 예쁜 꽃을 보면 ˝예쁘다˝라고 말하는 것처럼 그렇게 글을 쓰가고 사는 것 같습니다.
좋은 책을 보고 ˝책 참 좋다˝를 조금 더 길게 쓰는 것처럼요.
그리고 어디에가면 더 예쁜 꽃이 있는지, 언제 예쁜 꽃이 피는지를 알아가는 것처럼, 지식과 지혜를 탐구하는 것 같습니다.
독자와 목적는 그 다음인 것 같습니다 :)

감사합니다.

꼼쥐 2015-06-12 13:04   좋아요 0 | URL
때로는 블로그에 부담감을 느낄 때도 더러 있어요. 그래서 블로그를 닫을까 생각한 적도 있었죠. 그럼에도 이렇게 유지하는 까닭이 뭔지 손에 딱 잡히지는 않아요. 말씀처럼 `예쁘다`는 말을 조금 더 길게 늘여 쓰면서 그 기분을 더 오래 느껴보는 것인지도 모르겠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