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요일엔 돌아오렴]을 읽고 리뷰 작성 후 본 페이퍼에 먼 댓글(트랙백)을 보내주세요.
금요일엔 돌아오렴 - 240일간의 세월호 유가족 육성기록
416 세월호 참사 기록위원회 작가기록단 엮음 / 창비 / 2015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김훈의 수필 '광야를 달리는 말'에는 이런 구절이 나온다.

"슬픔도 시간 속에서 풍화되는 것이어서, 30년이 지난 무덤가에서는 사별과 부재의 슬픔이 슬프지 않고, 슬픔조차도 시간 속에서 바래지는 또 다른 슬픔이 진실로 슬펐고, 먼 슬픔이 다가와 가까운 슬픔의 자리를 차지했던 것인데, 이 풍화의 슬픔은 본래 그러한 것이어서 울 수 있는 슬픔이 아니다. 우리 남매들이 더 이상 울지 않는 세월에도, 새로 들어온 무덤에서는 사람들이 울었다. 이제는 울지 않는 자들과 새로 울기 시작한 자들 사이에서 봄마다 풀들은 푸르게 빛났다"

 

끔찍했던 '세월호 사건'이 떠오를 때마다 나는 김훈의 문장을 생각하곤 한다. 특히나 '슬픔조차도 시간 속에서 바래지는 또 다를 슬픔이 진실로 슬펐고'하는 대목에서는 나도 모르게 컥컥 목이 메인다. 무시로 찾아드는 슬픔에 이따금 나는 그 문장을 혼잣말로 되내이다가 찔끔 눈물을 보였고, 누가 볼세라 서둘러 눈물을 훔치곤 했었다. 그러나 '슬픔도 시간 속에서 풍화되는 것이어서' 세월호 참사의 슬픈 기억은 아주 오래된 옛일처럼 잊혀져간다. 불과 1년도 지나지 않았는데 말이다. 나는 세월호 참사 유가족 13명의 육성기록을 담은 책 <금요일엔 돌아오렴>을 읽으며 그날의 기억을 떠올렸다.

 

"저는 앞으로도 오래 살려구요. 오래 오래 살아서 우리 아들 기억해줘야죠. 시간이 지나면 우리 아들 잊는 사람들도 많아질 거고 벌써 잊은 사람들도 있을 텐데 나는 오래 버텨야 되겠는데... 이런 생각이 들었어요. "건우 아빠, 나는 아흔살 백살까지 살 거야. 내가 혼자서라도 끝까지 기억해줘야 할 것 같아"라고 했더니 "아흔살? 너무 많지 않아"라고 해요." (p.42 김건우 학생의 어머니 노선자 씨)

 

내가 어렸을 때, 놀러간 친구네 집의 안방에서 친구들과 법석을 떨며 놀다 보면 아랫목 이불 속에 묻혀 있던 밥주발이 나동그라지곤 했다. 친구는 혹여라도 어머니께 들켜 불벼락이 떨어질세라 흩어진 밥알을 주워담으며 황급히 수습했었다. 보온밥통이 없던 시절의 한겨울. 삼시 세끼 식구들에게 더운밥을 먹이고 싶어 하던 어머니 마음은 아랫목에 깔린 솜이불처럼 따사로웠다. 나는 이 책 <금요일엔 돌아오렴>의 부모 마음이 그런 게 아닐까 생각했다. 예나 지금이나 변하지 않는 게 있다면 그것이 아닐까 하고 말이다.

 

295명이 숨지고 9명이 실종된, 대한민국 역사상 최악의 해난 사고에 대하여 우리는 아는 게 없다. 사고의 원인은 무엇이었는지, 왜 그 많은 사람들이 희생될 수밖에 없었는지, 국민의 재산과 생명을 책임져야 할 대한민국 정부는 무엇을 하고 있었는지... 정부의 무능을 비판할라치면 반드시 뒤따르는 옹호 논리가 있다. 대통령이, 대한민국 정부가 사고를 냈느냐는 질문. 이런 세살배기 어린애와 같은 논리로 국민들의 분노를 잠재우겠다는 발상을 하는 놈들이 국정을 운영하고 있다는 사실에 나는 분노한다. 끝내 가라앉지 않는 분노. 2014년 4월 16일 수요일의 그날, 금요일에 돌아올 아이들을 기다려야 할 부모들은 따순 밥 한그릇 준비하지 못한 채 아이들을 보냈다.

 

"4월 16일 이후 우리는 모두 세월호 참사가 만들어낸 시간을 살아가게 되었다. 슬픔을 벗어나기가 어렵다. 그래서 슬픔을 잊기 위해 그 시간들로부터 벗어나려는 사람들이 생긴다. 이제 그만이라고 말하며. 그 말들이 비수가 되어 다시 하나의 시간을 슬픔에 가둔다." (p.342)

 

그날 우리 가슴에 달았던 노란 리본에는 기다림이 배어 있었다. 그러나 그 기다림은 물거품처럼 흩어지고 그리움은 국화꽃처럼 시들었다. 우여곡절 끝에 세월호 참사 특별조사위원회가 발족되고 가동을 시작했지만 그날의 진실은 여전히 바닷속 어둠에 갇혀 있다. 누군가를 잊는 것도, 누군가로부터 잊혀지는 것도 저 나름의 권리가 아니겠는가, 생각했던 적이 있다. 그러나 자식의 죽음을 제 가슴에조차 묻지 못하는 희생자 부모의 마음을 생각할 때 그날의 진실은 반드시 밝혀내야 한다. 죄인인 양 오그라든 가슴을 끝내 펴지 못하는 사람들을 위해서라도 진실은 반드시 밝혀져야 하는 것이다.

 

"어쩌면 숙명일지도 모른다고 생각했다. 그저 불운한 일이라고, 이제는 큰아이를 잘 보듬어야 할 때라고도 여겼다. 주변에서도 그렇게 말하는 이가 많았다. 하지만 수현이 아버지는 그렇게 넘어갈 수 없었다. 사랑하는 아이가 억울하고 원통하게 죽었는데, 그걸 숙명으로 그냥 받아들여야 한다는 걸 견디기 어려웠다. 아무리 생각해도 그건 도무지 아버지가 할 일이 아니었다." (p.207 박수현 학생의 아버지 박종대 씨)

 

지난 9일 세월호 특별조사위원회가 출범 후 첫 공식회의를 열었던 날 로마 교황청을 방문한 한국 주교들에게 프란치스코 교황이 이렇게 물었다고 한다. "세월호 문제는 어떻게 되었나요?"라고. '고통 앞에 중립 없다'는 말을 남기며 세월호의 아픔을 보듬었던 교황. 이 땅에 사는 우리는 먼 이국땅의 교황에게 어떤 대답을 준비해야 하는가. 뜨거운 시간을 홀로 식혀온 찬밥 한 덩이처럼 4월 16일의 아침에 걸려 미래를 향해 단 한 발짝도 내딛지 못하는 우리의 시간. 거짓과 부정의 발걸음은 저 멀리 성큼성큼 거침 없는데 진실의 발걸음은 어찌 그리 더디기만 한 것인지.

 

*알라딘 공식 신간평가단의 투표를 통해 선정된 우수 도서를 출판사로부터 제공 받아 읽고 쓴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