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님의 주례사>를 읽고 리뷰를 남겨 주세요.
스님의 주례사 - 행복한 결혼생활을 위한 남녀 마음 이야기
법륜스님 지음, 김점선 그림 / 휴(休) / 2010년 9월
평점 :
구판절판


가을이다.
선남선녀가 만나 사랑을 키우고, 그 사랑의 결실로 결혼을 결심하는 계절.
나도 예외는 아니어서 이런저런 관계의 여러 사람들로부터 결혼식 청첩장을 받게 된다.
양복 안주머니에 챙겨간 축의금을 전달하고 카메라 앵글에 내 얼굴을 넣으면 일차 임무는 그것으로 끝.
혼주와 신랑 신부에게 축하의 인사를 남기고 돌아설 쯤에는 피곤이 몰려온다.
그렇게 오랜 시간을 보낸 것도 아닌데도 말이다.
그렇게 수많은 사람들이 상품을 찍어내듯 결혼하고, 세상의 미혼 남녀들이 그렇게 갈망하는 행사이건만 결혼 이후의 삶이 행복하냐? 물을라치면 다들 입을 닫는다.
대답을 못하는 이유야 제각각이지만 기대가 크면 실망도 크다는 것이 근본 원인 아니겠는가.

이탈리아 속담에는 "애정 때문에 결혼하는 자는 분노 때문에 죽는다."는 말이 있다.  우리 부모님으로부터 흔하게 듣는 "사랑이 밥 먹여 주냐?"는 말의 의미와 큰 차이가 없을 듯하다.  법륜 스님은 그 적나라한 실상을 민망할 정도로 가감없이 파헤친다.
그리고 그 원인과 대안을 찬찬히 들려준다.  목하 연애 중인 커플이 읽는다면 전혀 공감할 수 없는 이야기임에 분명하다.  어쩌면 거칠게 항의할 수도 있겠다.  들어가는 글의 제목에서도 스님은 "용감하게 결혼을 결심한 당신에게"라고 쓰고 있다.
싸움터에 나갈 때에는 한 번 기도하고, 바다에 갈 때는 두 번 기도하며, 결혼을 할 때에는 세 번 기도하라는 러시아 속담처럼 결혼 생활은 생각처럼 그렇게 쉽지만은 않은 일임에 틀림없다.  스님은 바로 그 점을 지적하고 싶었던 것이다.

"부부관계는 사랑으로 맺어졌다고 흔히 말하지요?  그러나 실제로 부부가 사랑으로 맺어진 경우는 극히 드뭅니다.  백에 하나 있을까, 말까예요.  그럼, 부부는 무엇으로 맺어질까요?  대부분의 경우 극도의 이기심으로 맺어집니다.  인간관계 중에서 이기심이 가장 많이 투영되어 맺어진 관계가 바로 부부관계예요.  여러분이 지금까지 알았던 것과는 정반대죠?"(P.76)

혹자는 물을 것이다.
그렇다면 결혼하지 말라는 것인가.  물론 아니다.  결혼은 하되, 행복한 결혼 생활은 자신이 만들어 가기 나름이라는 것을 말하는 것이다.  결혼이 불행해지는 근본 원인은 `누구 때문’이 아닌 전적으로 자신의 탓임을 솔직히 인정하고, 그 출발점에 서서 행복한 결혼 생활을 계획하라는 것이다.  결국 행복해지자고 행한 결혼이 불행의 원인이 된다면 그보다 더한 과오가 있겠는가.
좋은 결혼이 극히 적은 것은, 그것이 얼마나 귀중하고 위대한 것인가를 증명하고 있다.고 몽테뉴는 말한다.  다들 행복해 보이지만 실상 좋은 결혼은 그리 많지 않다.  결혼을 경험한 사람이라면 누구나 인정하듯, 결혼은 인내와 수행의 길에 놓인 고독한 두 사람임을 깨달아야 한다.  비단 결혼 뿐 아니라 모든 인생사에서 자신이 주체가 되어 꾸려나가지 않는다면 뒤틀리고 잘못되는 것이 하나도 이상할 것은 없다.

"주인이 되고자 하는 사람이 드물어요.  다 인사받으려고만 합니다.  사랑받으려고만 해요.  이해받으려고만 하고 도움을 받으려고만 합니다.  그러다 보니 항상 객꾼으로 떠도는 거예요.  떠돌이 신세로 늘 헐떡거리면서 사는 겁니다.  먼저 주는 사람이 될 때, 비로소 주인이 될 수 있다는 사실을 기억하세요."(P.271)

스님은 결혼하려는 예비신랑, 신부에게 그리고 결혼한 부부에게 값진 선물을 하고 계신 것이다.  이 세상에서 준비할 수 있는 최상의 혼수는 마음 다스림이요, 그것이 결혼하려는 상대방에게 줄 수 있는 가장 값진 선물인 것이다.  결혼은 행복의 출발점이 아니라 산사로 들어서는 수행의 길목임을 알아야 행복한 결혼을 기약할 수 있다.

결혼에 대하여 긴요한 것은 스무 번이고 백 번이고 깊이 생각해 보는 것이다.
사람은 항상 어찌할 수 없을 때 죽음에 임하듯,
다시 말하면 그렇게 할 수 밖에 별 도리가 없을 때 결혼할 것이다.
- 톨스토이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