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실 이 글은 언젠가 했던 주장의 재탕입니다.
--------------
<폰부스>라는 영화는 어디 있는지 모를 저격범에 의해 공중전화 부스에 갇힌 남자(콜린 파렐)의 수난기를 그리고 있다. 거기서 주목할 장면. 남자가 공중전화를 지나치게 오래 쓰자 화가 난 여자들이 ‘기도’를 데려온다. 기도는 방망이로 전화부스를 두들겨 깨고, 남자의 멱살을 쥐고 흔든다. 그런 남자에게 저격범은 “내가 해결해 줄까?”라고 재차 묻고, 남자는 그렇게 해달라고 부탁한다. 기도는 저격범이 쏜 총을 맞고 몇 걸음 걷다가 즉사하는데, 신기한 것은 여자들의 반응이다.
“나쁜 자식, 죽이기까지 하다니!”는 흔히 있는 반응이라 쳐도, “저 자식이 쐈어요. 내가 봤어요” “권총을 갖고 있었어요”라고 경찰한테 말하는 건 전화만 걸고 있던 남자로선 억울하기 그지없는 일이다. 그들이 직접 봤다는데 “내가 총이 어딨냐”고 아무리 우겨본들 무슨 소용이 있겠는가?
인간에겐 만물을 볼 수 있는 눈이 있지만, 사람은 거기에 자기 마음을 더해서 사물을 바라본다. 족구를 하다가 아웃이냐 세이프냐를 놓고 설전을 벌이는 일이 흔한 것도 다 그 때문이다. 십년쯤 전 내 여친이 차를 몰다 교통사고를 냈을 때, 옆자리에서 똑똑히 지켜본 나와 다른 목격자들의 증언이 180도 틀린 것도 내 생각처럼 “일부러 거짓말 하는 것”만은 아니었을거다. 다시 얘기하지만 사람은 자기가 믿는만큼 보고, 자신의 신념을 눈을 통해 재확인하는 경향이 있다.
꼭 눈만 그런 게 아니다. 작년 여름이 오기 전, 언론에서는 ‘십년만의 더위’라며 호들갑을 떨었다. 하지만 막상 작년 여름의 더위는 십년 전의 그것에 전혀 미치지 못했다. 밤 12시에도 30도를 넘는 불볕더위, 에어콘이 동이 나고 사람이 죽기까지 했던 그 더위에 비하면 작년의 더위는 애들 장난 수준이었다. 94년 7월에는 밤에 30도를 넘는 ‘열대야’ 현상이 27회나 있었던 반면, 작년 여름에는 단 세 번에 그쳤다는 통계도 그 사실을 뒷받침해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람들은 “올 여름은 정말 덥다”며 손사래를 쳤고, 심지어 ‘94년보다 더 더웠다’는 말을 주고받기도 했다. 십년 전 기억을 잊어버린 것도 한 이유가 되지만, ‘십년만의 더위’를 소리높여 외친 매스컴과 거기에 세뇌당한 사람들의 습성이 더 큰 이유이리라.
여름으로 치닫는 4월, 올 여름은 “백년만의 무더위가 올 것”이라고 말하는 사람이 있었다. 누가 그러냐고 물으니 주위 사람들이 다 그런단다. 작년은 십년만의 더위, 올해는 백년만의 더위? 뭔가 수상한 냄새가 난다. 해마다 더위를 강조하는 게 혹시 에어콘 회사들의 농간은 아닐까? 십년만의 더위로 작년에 짭짤한 수익을 올렸으니, 올해도 비슷한 전략을 펴는 것은 아닌지. 우리나라에서 봄이 실종되고 5월부터 9월까지 근 5개월간 여름이 지속된 것은 벌써 오래 전의 일이다. “올 여름은 정말 덥다”는 호들갑이 아니더라도, 최근 우리나라의 여름은 늘 더웠다. 백년만의 더위 운운에 현혹되지 말고 그저 묵묵히 자신의 삶을 살지어다. 덥다 덥다 하면 더 덥게 느껴지는 것이 인지상정이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