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구나 어른이 되기 위해 성장통을 겪기 마련이다. 이러한 마음을 아름다운 문장으로 엮어낸 작품이 바로 이 ‘데미안‘이다.

사실 데미안은 주인공이 아니다. 책 제목으로 나왔기에 뭔가 주인공 같지만 읽어보면 주인공의 친구 격으로 나온다. 하지만 그렇다고 제목이 전혀 이상하지 않는 게, 주인공보다 데미안이 더 눈에 띄는 행보를 보이기 때문이다.
데미안은 주인공 싱클레어를 완전한 ‘나‘자신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마치 단테의 ‘신곡‘에서의 베아트리체처럼 말이다.
싱클레어가 자라면서 느끼는 쓰디쓴 성장통은 데미안과 피스토리우스를 만나면서 점차 완성되고 마침내 완벽한 ‘나‘ 자신이 된다. 비로소 내가 데미안이 되었다는 것을. 아래의 문장이 싱클레어가 내면의 성장통을 겪고 나서 깨달은 점이다. 온전히 자기 자신에게 가는 것, 그것이 우리들이 추구해야 할 목표가 아닐까.

그렇다면 진정한 ‘나‘가 된다는 건 도대체 뭘까.

가끔가다보면 사회적으로 성공한 사람들이 많이 보인다. 그런 사람들을 보면 나 자신이 괜히 서러워지고 ‘내가 지금 뭐하고 있는 걸까‘하는 질문이 들곤한다. 그리고 저런 사람들이야말로 진정한 ‘나‘가 되었기 때문에 저렇게 된 것이로구나,하고 느낀다.
그런데 데미안은 이런 고정관념을 확실히 깨부순다. 그것이 진정한 ‘나‘가 된 것이 아니라고. 진정한 ‘나‘는 내가 내면적으로 정말 하고 싶은 것을 강렬히 열망하고 누구의 시선을 신경쓰지 않고 온통 자신에게 집중해야 한다는 것을 말이다. 또한 그게 직업적 성공이나 사회의 성공을 말하는 것도 아니라고 설명한다. 꼭 사회에서 성공해야 ‘나‘가 되는 것이 아니다.

내가 데미안에게 끌린 이유도 이러한 이유 때문이다. 데미안은 뛰어난 능력을 가지고 있지만 사회적으로 성공한 사람이 아니다. 그저 싱클레어 곁에 있는 평범한 사람이다. 그리고 소수의 사람들에게 영향을 미친다.

진정한 ‘나‘가 되기 위한 과정은 오직 자기 자신만 알 수 있는게 아닐까한다.


우리 각자에게 주어진 진정한 소명이란 오직 자기 자신에게로 가는 것, 그것뿐이다.

누구나 언젠가는 제 아버지와 선생님들에게서 떨어져나오는 발걸음을 옮거야 하고, 누구나 고독의 가혹함을 조금이라도 느끼지 않을 수 없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인생은 늘 산 사람의 편이죠. 그래서 무슨 이유인지 희생자들은 비난을 받습니다.
하지만 살아 남은 사람들이 최선의 인간이 아니었듯이 죽은 사람들도 최선은 아니었죠. 무작위였으니까요!

지금까지 대학살에 대해 얼마나 많은 책들이 쓰여졌는지 봅시다. 무슨 소용이 있었죠? 사람들은 변하지 않았어요.
어쩌면 더 새로운 대규모의 학살이 필요할지도 모르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맹상군은 수많은 식객을 거느린 것으로 유명하다.
그는 비록 하찮은 재능을 가진 사람이라도 식객으로 받아들여 대접했다. 그러나 왕의 의심으로 인해 실각하자 그 많던 식객들은 그에게서 떠나갔다.
그런데 그가 다시 복직하자 떠났던 식객들이 돌아오는 것을 보고 맹상군은 분노하지만 그를 따르는 풍환이 다음과 같은 말을 했다고 한다.

옛말에 ‘선비는 자기를 알아봐주는 사람을 위해 목숨을 걸고, 여자는 자기를 알아봐주는 남자를 위해 화장을 한다‘라는 말이 있다.
맹상군 입장에선 자기가 식객들에게 은혜를 베풀어준 사람이라고 생각했을 것이다. 그런데 자기가 실각하자 바로 떠나버리다니, 얼마나 실망감이 컸을까. 하지만 풍환은 이 모든 것이 당연한 일이며 순리라고 말한다. 그 수많은 식객들이 모두 저러한 생각을 가지고 있다고는 할 수 없다.
이에 맹상군은 떠나갔던 식객들이 다시 찾아올때 내치지 않았고 더더욱 그의 명성이 천하에 널리 떨치게 되었다.

이처럼 자신을 떠나갔던 사람들에게 복수심과 분노를 표출하면 되려 자신만 상처받고 처량해진다. 그럴 때는 무엇보다 자신을 돌아보고 가능하면 용서와 관용으로 자기자신을 더욱 성장시켜야 하는게 아닐까 한다.

모든 일에는 순리라는 것이 있습니다.
태어난 것은 죽기 마련이지요. 이것은 필연적인 순리입니다.
이처럼 부귀를 누릴 때는 따르는 자가 많고, 비천해지면 벗도 떠나가는 것은 당연한 이치지요.

아침에 장을 보러 가는 사람들을 생각해보십시오. 아침에는 앞다퉈 시장으로 갑니다. 그러나 저녁이 되면 사람이 뜸해지지요. 그것은 아침에 새 물건이 들어오고 저녁에는 물건이 떨어지기 때문입니다. 사람들이 시장을 좋아하거나 싫어해서가 아닙니다.
나리께서 실각하자 식객들이 떠나간 것도 같은 이유지요. 자기가 원하는 것이 없어졌기 때문입니다. 나리께서 그들을 원망하실 이유는 없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우리에게 잘 알려진 병법서라고 하면 단연 ‘손자병법‘이 아닐까 한다.
손자병법의 저자는 손무와 그의 먼 후손인 손빈이다. 그 중에서 손빈이 펼친 무공은 후세에까지 알려질만큼 대단하다. 이후로 손빈은 오로지 병법서 작성에만 열중했고, 아래와 같은 글을 남겼다.

손빈이 말하는 병법은 싸우는 기술뿐만 아니라 나 자신과 상대를 꿰뚫어보는 통찰력이었다. 인간관계도 하나의 작은 전장인 만큼 그들의 글이 인간관계의 기술을 익힐 수 있는 조언자로서 많은 사람들에게 널리 쓰이게 된 것이 아닐까.








지피지기백전불태 (知彼知己百戰不殆)

적을 알고 나를 알면
백 번을 싸워도
위태롭지 아니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이 말은 명재상으로 이름난 관중이 왕에게 간언한 말이다. 이것처럼 나라를 다스리는데 중요한 것은 그 무엇도 아닌, 백성들을 풍요롭게 하는 게 아닐까 한다.

역사서의 전설이라고 알려진 사기를 보면 인류의 역사와 전통이 위대하다는 것을 새삼 깨닫게 된다. 그리고 이것들을 기록하고 보관한 사람들도 대단하다고 느낀다. 저자인 사마천도 이런 느낌을 가지고 글을 썼는지도 모른다.
특히 요코야마 미츠테루의 사기 만화는 사기를 처음 접하는 사람에게 많은 도움이 될 책이다. 간략하게 사건을 정리하여 그림을 그린다는 것은 쉽지 않는 일. 게다가 방대한 역사를 가진 사기를 대상으로 하는 것 역시 쉽지 않다.
사기를 좀 더 쉽게 읽고자 하는 사람에게 적극 추천하는 책이다.


의식족이지예절(衣食足而知禮節)

사람은 누구나 창고가 가득 차야 예절을 알며, 의식(옷과 먹을 것)이 족해야 영욕을 압니다.
굶주린 자에게 예의와 범절을 논하면 무엇 하겠습니까? 먹고 사는데 여유가 생겨야 도덕을 알고 범절을 생각하는 법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