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각 - 이어령 창조학교 Creative Thinking Academy
이어령 지음 / 생각의나무 / 2009년 7월
평점 :
절판


축소지향형의 책을 보면서 무심코 지나칠 수 있었던 여러가지 사물들을 비교해 왜 일본이 지향하는 스타일이 축소인지에 대해서 무척 재미있게 읽었던 기억이난다. 

과연 이번에도 시대에 거스리지 않는 현재 진형형의 우리나라에서 과연 무엇이 필요한 정신을 갖고 있어야 하는지에 대한 목록에 대해서 우리것과 서양의 다른점, 한곳에 머물지 말고 시선을 다른 각도에서 보란 소리엔 정신이 번쩍든다. 풍부한 천연자원이 없는 우리나라에서 더 나아갈 길은 이런 관점을 다시 변화해야 하며, 생각 자체에도 이제와는 확연히 다른 변신이 필요하단 주장을 하고 있다. 흔히 보는 미키마우스가 왜 세계적으로 명성을 유지하고 어마하게 벌어들이는 수입이 어떻게 해서 생겨났는지,(저작권의 중요성이 참으로 중요하다.)  뽀빠이의 잘못된 손가락 실수로 시금치에 대한 엉뚱한 인식이 쉽게 바뀔수가 없는지, 우리나라의 보자기 생각, 김치의 생각, 계란 꾸러미의 차이점, 한복과 양복의 차이점, 3D를 가져야 한다는 주장은 고개를 끄덕이게 한다.이번에도 간단한 예시, 비교를 하면서 창조의 생각을 해야하고 그것이 세계를 나아가는 길이라는걸 다시금 깨닫게 해준 책이다. 소소한 주변의 물건 하나 지나치질 않고 비교, 분석해서 쓴 글은 우리에게 우리조상님들의 생각깊은 생활의 지혜를 다시 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그건, 사랑이었네
한비야 지음 / 푸른숲 / 2009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해외 여행이 자유화 되면서부터 부쩍 젊은이들 사이엔 베낭여행이 인기를 끌고 있다. 젊은 피를 가진 사람이라면 나이를 불문하고 꼭 해보라고 , 이미 경험자들에게 숱하게 들어온 것 또한 사실이다. 이번엔 한.비.야.씨... 

말로 안해도 세계구호 활동으로 열심인 그녀가 올해 8월 다시 새로운 세계로 떠나기전, 그간 쌓아 놓았던 일상에서 오는 얘기, 자신의 얘기, 생각, 앞으로의 계획, 궁극적으로 이루어졌음 하는 바램, 첫 사랑과의 만남, 등... 옆집 언니가 모처럼 시간이 나서 우리집으로 와 차 한잔을 놓고 여유를 부리며, 수다떠는 착각이 들정도로 무척 가깝게  글이 다가온다. 강인한 체력엔 등산을 좋아해서 아마도 조금의 도움을 받지 않았나 하는 생각부터 학창시절에  만났던 첫 사랑과의 실연 후의 마음 아픔을 나타낸 심정은 소설에서 보는 것 이상으로 현실감 있게 다가온다. 우연히도 마주친 첫 사랑 앞에서의 마음 표현도 가슴에 와 닿는다. 씩씩한 사람으로만 기억되던 한비야씨도 이런 풋풋한 사랑의 추억이 있었구나 하는 생각도 들고... 또한 그 나라의 고유한 문화 관습때문에 고통 받고 있는 아프리카 여성의 할례 의식을 쓴 부분에선 눈물이 주착없이 흐른다. 이것을 보면 과연  진정으로 인간을 행복하게 살게하는 것이 무엇인가 하는 생각이 수차례 뇌리를 휩쓸고 간다.

무엇보다도 지치지 않는 자신의 채찍을 높이 사고 싶다. 한 장소에 머물지 않고 미래의 나를 그려보고 거기에 맞춰서 다시금 새로운 세계로 발을 뻗는 한비야씨에게 격려의 박수를 치고 싶다. 아울러 모든 종교를 아우르는 폭 넓은 포용정신, 젊은이들에게 들려주고 싶은 자신만의 갈림길에 섰을 때의 무엇이 가슴을 뛰게 하는가?란 질문을 던져보란 글엔 깊이 새겨 볼 만한 문구란 생각이 든다.  

내 수첩엔 지금 한비야 씨가 추천한 책 목록이 적혀있다. 그 중엔 읽은 책도 있지만 나도 몰랐던 다른 종류의 책도 눈에 띄기에 서둘러서 적어놓았다. 책 읽는 즐거움에 대해선 동감하는 부분이 많고 그것을 꼭 읽어보리란 생각이 들어서다.  

다시 목표한 대로 일이 끝나면 어느 곳에서 다시 만날 한비야씨가 쓴 이글은 가슴이 따뜻한 우리의 언니 이야기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오렌지비치 - 꿈꾸던 삶이 이루어지는 곳
앤디 앤드루스 지음, 강주헌 옮김 / 웅진지식하우스 / 2009년 5월
평점 :
절판


전작에 비추어서 여전히 우리에게 따뜻한 내용으로 다가온 책이다. 

누구나 외롭고 괴롭고 생각지도 않은 일에 무참히 무너지기 쉬운 인생길에서 존스라는 인물은 쉽게 쉽게 아주 다양한 사례의 사람들을 만나면서 우리에게 어떻게 살아가야 할 지를 따뚯한 시선으로 그려내고 있다.  

보는 관점에 따라서 상황이 전혀 달라지고 그러한 결실의 행동이 나타남으로써 변화된 삶을 살 수 있다는 긍정의 마인드를 그려내고있다 

더불어서 그것이 오렌지 비치에서 사는 모든 사람들에게 뿐만이 아니라 그 사람들이 알고 있는 모든이들에게 씨를 뿌리듯이 살아가라는 메시지를 우리에게 알려주고 있다. 씨앗의 봉투 메세지는 참으로 우리에게 선사하는 바가 크다고 할 수 있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신 6 (반양장)
베르나르 베르베르 지음, 임호경 옮김 / 열린책들 / 2009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혹시나 신 위의 누가 있을까 ? 작가는 과연 누구라고 생각하기에 이렇게 긴 여정의 책을 발간한 것인가 하고 궁금증을 갖고 읽기 시작한 지가 벌써 완결편을 모두 마친 지금, 책을 덮으면서 과연 베르베르 답다고 생각했다. 여전히 식을줄 모르는 지식과 다양한 체험을 고스란히 책에 쏟아붓고 맨 마지막엔 독자들에게 그 공을 돌리는 솜씨가 내가 생각했던 바를 허를 찔렀다. 델핀과의 무인도 섬에서 시작한 생활은 흡사 로빈슨 크루소를 모방한 듯한 묘사가 이루어지고 다시 신의 후보로 끌려가서 과연 신 의 위에 무엇이 있는가 하는 여정 탐구는 교묘히 흡사 추리 소설을 보는 것 같이 그간의 인간의 팽숑, 천사의 세계, 다시 신의 후보자, 다시 암흑의 지하 세계로 이루어지는 여정은 지하 여정에 필요한 도움지기인 오르페우스를 앞세워서 다시 신화와 어울러져 책의 공간을 확보하고 써내려간다.  

과연 신의 제우스위에 은하세계, 우주 세계, 그리고 최종적으로 작가가 지향하고자 했던 으뜸의 세계는?...이것은 책을 읽어보라고 권하고 싶다. 내가 굳이 말하지 않아도 독자들은 더 이상 궁금증을 참지 못하고 책을 들테니까... 참고로 책 겉표지의 그림을 생각하면서 읽었음 더 좋단 생각이 든다. 내 자신이 겉 표지를 그냥 훑어보고 책의 내용만 읽고서 나중에야 무릎을 치면서 웃음이 나왔으니까.(이 책표지의 그림이 출판사의 의도대로 나타낸것인지, 아님 애초에 프랑스에서 출간했을 때부터도 이렇게 나왔는지 모르겠지만,,,) 

작가의 마무리가 기대했던 것 만큼 실망이 큰 건 아니었지만, 생각지도 못했던 그 이유는 나름대로 우리에게 고개를 끄덕이게 하는 솜씨가 일품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신 5 (반양장)
베르나르 베르베르 지음, 임호경 옮김 / 열린책들 / 2009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최종적으로 남은 신 후보생 12명이 자신의 세계인 각 부족들을 대상으로 경쟁하는 이야기와 그 실패로 인해 상대부족인 상어족의 리더에게 일격을 가함으로써 자신이 다스렸던 돌고래 족으로 떨어져 세상을 습득하는 내용이 주를 이루고 있다.  

과연 작가는 이미  세계의 각 나라가 저지른 인간으로서 행할 수 없는 국가의 힘이란 명목하에  소수의 국민들을 자신들의 뚯으로 이끄는 열광의 도가니 현장을 마치 신의 후보가 이루어 놓은 세계에서도 그 행태를 나타내면서 꼬집고 있다. 읽어 내려가면서, 어떤 때는 러시아가, 독일이, 히틀러의 아우슈비츠가, 홀로코스트가 생각이 나는건, 어쩌면 책에서도 제시했듯,역사는 새롭게 만들어 지는 것이 아니라 다시 그 바퀴를 예전 것으로 돌아가고자 하는 것이 아닌가 하는 주장이 설득력이 있게 들려온다. 인간의 광기를 무참히 서술한 묘사는 읽는 내내 기분이 울컥하는 뭔가가 치밀어 오르게 한다. 

돌고래 족으로 떨어져서 공상과학 소설가로서 살아가는 미숑에게 다시금 새로운 사랑이 나타나고 그를 이용해서 다시금 새로운 세계를 이루고자 하는 푸르동의 야심앞에선 주인공이  다음 마지막 6권에서 어떻게 그려질지 궁금하다. 

중간 중간 새로운 백과사전지식을 읽음으로서 새로운 것을 알게 되는 재미 또한 쏠쏠하고 이야기를 이끌어가는 구성이 읽은 독자가 생각지도 못하게 쓰여있다는 점이 부럽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