톨락의 아내
토레 렌베르그 지음, 손화수 옮김 / 작가정신 / 2022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내 이름은 톨락. 나는 과거에 속한 사람이다. 나는 이 세상 어느 곳과도 걸맞지 않는다.




화자인 톨락이 자신의 지난 삶과 현재의 삶을 오고 가며 그린 소설이다.



실종된 아내 잉에보르그를 추억하고 자식들과의 사이도 친밀하지 못한 그-



자신을 사랑하고 이해하려고 노력했던 아내는 어디로 사라진 것일까?



 딸과 아들과의 사이도 원만치 못하고 목공소 일을 하며 사교적이지도 못한 그의 인생에서 부드럽고 그를 알아보는 이는 아내 잉에보르그였다.



어느 날 오도라는 아이를 키우지 못하겠다던 오세의 말에 오도를 집으로 데려와 키우면 어떻겠냐고  건넨 말에 수긍하던 아내, 그런 아내의 실종사건은 딸과 아들의 마음에도 상처를 남겼고 소원해진 그와의 사이는 좁혀지지가 않는 상태다.



오로지 그의 곁에는 정상적이지 않은 오도만 있을 뿐-



더군다나 자신의 건강에 이상이 생겼음을 알게 된 후 자식들에게 만나길 희망하는 그가 전하고자 하는 이야기를 통해 그 내용이 사뭇 궁금해지지 않을 수가 없게 한다.




시종 글의 분위기는 짧은 문장과 그 단락 안에서 느껴볼 수 있는 그들 부부 사이에 어떤 일들이 벌어졌는지에 대한 내막조차도 친절하게 부연 설명하는 않는 흐름은 그래서 읽는 내내 더욱 톨락이란 남자의 말을 끝까지 들을 수밖에 없는 힘을 지닌다.




그 자신이 자신했던 아내에 대한 사랑은 진실된 사랑이란 이름으로 행해졌던 것인지, 밝혀지는 진실들은 스릴러의 성격과 내면의 생각들이 함께 깃든 자전적 고백으로 다가온다.



압축된 문장미를 통해 인간의 내면에 깃든 어두운 면을 마른 감성으로 느껴질 만큼 무미건조한 문체도 인상 깊었지만 그들 사이에 벌어진 되돌아갈 수 없는 일들을 통해 인간의 불안과 사랑에 대한 의미와 그 대상을 대하는 자세, 여기에 상대가 느꼈을 힘든 부분들을 이해하려 하지 않았던 미숙함으로 인한 안타까움이 내내 들게 한 작품이다.




노르웨이의 대표 작가라 불리는 저자의 이 작품을 통해 톨릭이란 남자를 대표로 그린 인간 내면의 심리를 잘 드러낸 작품, 외통수이자 고집불통인 그의 고백을 들으니 상대에게  잘하란 말이 떠오른다.





*****출판사 도서 협찬으로 쓴 리뷰입니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얄라알라 2022-09-09 22:2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표지와 사진 배경 조합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