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오 바디스 2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129
헨릭 시엔키에비츠 지음, 최성은 옮김 / 민음사 / 2005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2권(36장-74장)의 대략적인 줄거리는 다음과 같습니다.

안티움으로 외유를 나간 황제 일행을 따라 페트로니우스와 비니키우스도 이동한다. 포페아가 비니키우스를 염두에 두고 있음을 알기에 페트로니우스는 경고를 한다. 페트로니우스가 네로를 설득해서 비니키우스와 리기아의 결혼을 명령하도록 하지만 그 순간 (극중에서) 네로와 작당한 티겔리누스가 주도한 로마 방화가 알려지면서 관심은 모두 로마의 화재로 돌려진다. 비니키우스는 리기아의 안전을 걱정하여 먼저 출발한다. 질투에 눈이 먼 포페아는 킬로(사실 이 대목은 좀 이해가 안되는 부분입니다. 킬로가 왜 여기에 등장하는지. 글의 앞 뒤를 연결하기엔 적당하지만 등장 자체는 어떠한 면에서도 정당성이 없습니다. 글도 생명체이기 때문이지요)의 고변을 바탕으로 리기아가 포함된 무리인 그리스도교들을 박해하기로 결심하고 티겔리누스와 입을 맞추어 방화범 일행으로 몰아버린다. 덕분에 그리스도인들은 눈에 띄는 대로 체포되어 수감된다. 갖은 방법으로 교도들을 처형한 다음 마지막으로 리기아를 오록스 뿔에 묶어 내보내자 조용한 죽음을 기대하던 우르수스는 자신의 공주를 구출하기 위해 온 힘을 다하고 마침내 들소를 쓰러뜨린다. 열광한 관중은 황제에게 압력을 가해 이들을 살려 보낸다. 리기아가 건강을 되찾자 비니키우스 일행은 시칠리아로 가서 지낸다. 페트로니우스는 황제의 눈밖에 나자 사랑하던 에우니케와 함께 자살을 한다.

상하권을 합하여 천 페이지(비록 좁은 편집으로 되어 있는 민음사의 책이지만 그래도 천 페이지입니다)에 달하는 내용이지만 순식간에 읽어 내려갈 수 있는 책입니다. 구구절절이 아름다운 서술을 볼 수 있네요. 시엔키에비츠의 다른 책도 읽어야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다른 리뷰어가 말하는 기독교 사상은 이 작품을 읽는데 큰 영향을 주지 않습니다. 사실 작가가 여러 군데에서 인용한 사도들의 어록들은 성경에서 따온 것이기 때문에 (기독교를 아는 사람에게는) 소설 속에 매몰되지 않고 일부 겉도는 느낌도 줍니다. 그러나 책 전체를 지나는 느낌으로 볼 때 이 작품은 뛰어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쿠오 바디스 1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128
헨릭 시엔키에비츠 지음, 최성은 옮김 / 민음사 / 2005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편집의 편의상 두권으로 되어 있습니다. 1권(1장-35장)의 줄거리는 대충 다음과 같습니다.

파르티아 전쟁에서 돌아온 비니키우스를 맞이한 페트로니우스는 비니키우스에게서 리기아에 대해 듣는다. 그는 조카인 비니키우스의 간절한 소망을 촉진시키기 위해 리기아를 아울루스 플라우티우스에게서 빼앗아 네로가 있는 팔라티움 궁으로 보내지만 황후 포페아의 눈에 띄인다. 황제에게서 양도를 허락받은 비니키우스는 노예들을 보내 리기아를 데려오지만 우르수스가 지휘한 그리스도교인들에게 빼앗긴다. 빈민촌에 숨은 리기아의 소재를 킬로를 통해 알게 된 비니키우스는 로마 제일의 검투사 크로톤을 데리고 가지만 우르수스에게 맥없이 죽는 것을 보고 자신도 맞아 기절하게 된다. 리기아의 간호를 받고 기운을 차린 후 약간 달라진 비니키우스는 다시 리기아가 있는 곳에 가서 베드로에게 자신이 달라졌다는 것을 말하고 둘의 결혼을 축복받는다.

사실 다른 고전들을 읽으면서도 이것은 이전(대략 30년 전입니다)에 읽었을 때에 힘들었던 기억이 나서 주저되었습니다. 약간 지겨웠던 것 같은 기억이 났기 때문입니다. 게다가 데보라 카와 로버트 테일러(맞나요?)가 주연한 영화 쿼바디스를 통해서 (비록 각색되었지만) 내용도 여러번 접촉했던 터라 더 그랬습니다. 그런데 막상 책을 들고 읽기 시작하니 쉽게 매몰될 수 있었습니다. 아무래도 아직 어렸을 때의 경험은 믿을 만한 게 아닌가 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전쟁과 평화 3 밀레니엄 북스 90
레프 니콜라예비치 톨스토이 지음, 김상영 옮김 / 신원문화사 / 2007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에필로그 2편이 뒤에 추가되어 있어 총 7편입니다. 다 읽은 소감은 뒤에 쓰겠습니다.

1편(9-187) 모스크바 함락, 로스토프가의 피난, 부상당한 안드레이의 동행
2편(188-267) 엘렌의 사망, 피에르의 체포와 처형 모면, 안드레이의 죽음
3편(268-330) 프랑스군의 후퇴 시작과 뒤를 쫓는 쿠투조프
4편(331-398) 피에로의 구출, 페트루샤의 죽음
5편(399-479) 모스코바로의 귀환
에필로그 1편(483-557) 피에로와 나타샤의 결혼, 마리아와 니콜라이의 결혼
에필로그 2편(558-611) 정치관

30년 전쯤에 읽었던 것은 두 권으로 되어 있었고 지금 읽은 것과 조금 다른 문체였습니다. 번역자가 다르니 그렇겠지요. 하지만 이 책들에서 읽은 그런 모순되는 것 같은 문장이 있었는지는 기억이 안 납니다. 나중에 다른 번역본을 읽어보아야 할 것 같습니다.

1805년과 1812년을 중심으로 1805년에서 1820년까지의 이야기를 담은 이 책들은 뒤로 갈수록 책에 매몰됩니다. 이상한(또는 이상하다고 생각하는) 번역도 익숙해져서 읽을 만하고요.

하지만 당대의 다른 소설처럼 변덕이 심한 사람의 묘사는 여전해서 기분이 언짢아집니다.

러시아나 프랑스나 영국이나 왜 다들 비슷한 묘사를 하는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전쟁과 평화 2 밀레니엄 북스 88
레프 니콜라예비치 톨스토이 지음, 김상영 옮김 / 신원문화사 / 2006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권도 5편으로 나뉘어 있습니다.

1편(9-128) 안드레이의 변화, 피에르의 일기, 로스토프가의 쇠락, 안드레이와 나타샤의 연정
2편(129-214) 니콜라이의 사냥
3편(215-336) 나타샤와 아나톨리의 연정
4편(337-471) 1812년 여름
5편(472-719) 1812년, 8월 연속된 패주, 중상을 입은 안드레이

번역은 계속 마음에 안 듭니다. 지명도 제대로 번역이 되었는지 의문이네요. 지도를 찾아보니 조금씩 발음이 다른 것 같은데, 러시아어를 버역한 것인지 다른 나라 말로 번역된 것을 재번역한 것인지 알 수가 없네요.

하지만 조금씩 적응이 되어 읽을 만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전쟁과 평화 1 밀레니엄 북스 88
레프 니콜라예비치 톨스토이 지음, 김상영 옮김 / 신원문화사 / 2006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고전을 요즘 읽고 있어 선택된 책입니다.

3권으로 편성되어 있는데 각각을 5편씩으로 나눠놓았더군요. 원작이 그러했었는지는 기억이 안 납니다.

1편(9-196): 페테르부르크의 사교계 - 주요 주인공들의 등장과 나폴레옹의 시대
2편(197-343): 오스트리아의 러시아군 - 1805년 10월, 전투와 패퇴
3편(344-470): 뒤엉키는 관계 - 피에르와 바실리 공작(엘렌), 11월의 전투 안드레이의 부상
4편(471-535): 니콜라이의 이야기와 안드레이 아내(리자)의 죽음
5편(536-631): 별거한 피에로의 메이슨 가입과 안드레이와의 재회

로 되어 있는데 내용은 제가 적은 것이고 양은 보시다시피 일정하지 않습니다.(1-188, 2-147, 3-137, 4-65, 5-96) 전반적으로는 시간별로 진행하지만 간혹 왔다갔다 합니다. 그리고 작가가 모든 사람의 생각을 알고 있기에 얼굴 표정 하나까지 간섭하는 문체입니다. 그래서 읽을 때 작가의 의도대로 끌려가는 것은 어쩔 수 없습니다.

예를 들어 1편에서 엘렌은 매우 아름다운 여자로 나옵니다. 아름다운 얼굴, 아름다운 미소, 우아한 몸가짐 등등 3, 4편에서는 남편(피에르)에게 상스러운 말도 함부로 하는 여자로 나옵니다. 피에르는 엘렌이 다른 남자와 연정에 빠진다고 생각하고 별거합니다.

그리고 번역상의 문제인지 상대의 멸시하는 표정을 보고 이쪽은 호감을 느끼기도 하고 그렇네요. 다른 분도 번역의 문제를 지적하는 것으로 보아 구입하시는 분은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대위의 딸에서도 그러했지만 당시 러시아 귀족은 군대를 가도 하인들이 시중을 들어주는 게 당연했던 것 같습니다. 그런데 부상을 당하면 짐짝처럼 내팽개쳐지는 신세가 되네요. 오래전에 느꼈던 그 당혹감이 되살아나고 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