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w to Talk to Anyone: 92 Little Tricks for Big Success in Relationships (Paperback, 2)
레일 라운즈 지음 / Contemporary Books / 2003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화법관련 서적에서 상당히 유명한 서적이다. 실제 기업을 돌아다니며 강의를 하고 경영자들에게 맨투맨 교습을 하면서 쌓은 경험에 개인적으로 인간관계를 세심하게 관찰하면서 얻은 통찰에서 나온 것이다. 설명도 직접 경험한 사례를 중심으로 서술되기 때문에 실천하는 것은 별개의 문제이지만 생생하고 쉽게 공감할 수 있다. 이책이 설정하는 기본적인 목표는 어떻게 다른 사람에게 거물로 보이면서 대접을 받는가 하는 테크닉에 관한 것이다. 다른 류의 화법서적과는 접근법이 조금 다르다. 실제 비즈니스를 뛰는 사람들에게 필요한 점이기도 하다. 그러나 문제는 문화차이이다. 한국인에게는 적용하기 힘든 면이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Encyclopedia of Japanese Business and Management (Hardcover)
Allan Bird / Routledge / 2001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제목대로이다. 설명이 상당히 간략하면서 요령있게 되어 있다. 그러나 일본에서 나온 경영관련 사전들보다는 당연히 항목도 설명도 작을 수 밖에 없다. 경영실무자보다는 학자를 위한 사전이다. 

다음은 내가 아마존에 썼던 리뷰이다 

For the dictionary on Japanese economy, ¡®MIT Encyclopedia of the Japanese Economy¡¯ has been widely used. Such a dictionary is needed for you can¡¯t read all the material on the Japanese economy. Literatures on Japanese economy are still flooding on the market. Moreover, there are so many sub-disciplines that you can never read through them all, and even making a reading list is prohibitively time-consuming.
MIT Encyclopedia was updated in 1999 to the 2nd edition. It deals with mainly big topics such as unemployment with some length. But this book, published in 2002, tackles not only general economic subjects, but business affairs like Sony, Japanese business in US, and Chalmers Johnson, as title implies. And that I think the quality of articles is not behind MIT¡¯s. This book¡¯s contributors are well-known figures in Japanese studies. And like MIT¡¯s at the end of each article is the reading list on that subject.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Regime Shift (Paperback) - Comparative Dynamics of the Japanese Political Economy
T. J. Pempel / Cornell Univ Pr / 1998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펨펠은 비교정치학의 거장이다. 정치학과에서 수업을 들을 때 여러권의 편저를 잃을 기회가 있었다. 이책은 펨펠이 자신의 논리틀을 완성해 보여주는 성격을 가지면서 왜 일본이 헤이세이 불황을 10년동안 방치할 수 밖에 없었는가를 정치경제학적으로 접근해 설명하고 있다. 그가 제시하는 개념은 regime이다. 이익집단의 대결과 타협이 정치이고 한 정치경제 단위에서 일정한 균형에 도달하면 그 균형은 쉽게 바뀌지 않는 regime이 된다는 것이다. 그 regime이 바뀌기 힘들었기에 10년을 끌 수 밖에 없었다고 설명하는 논리이다 

다음은 내가 아마존에 포스팅했던 리뷰이다. 

 

since the 1982, the developmental state, articulated by Chalmers Johson in his infulential book 'MITI', has been the standard approach in the field of North East Asian studies at least in the circle of political economy. but the model of developmental state does not fit into the phenomenon since the 1980s, in SOuth Korea, and the 1973, in Japan. the bureacrats is not that autonoumous like the past, i.e. the rapid growth period, the ruling party proned to be the masters of fork barrel politics, and constituents were not that concensual like the past. there must be some 'shift'. Pempel's work is the attempt to provide a comprehensive framework to explain the shift in systematic and succinct way. his framework is based on the concept of 'regime' which is common in the field of comparative politics. I think he succeeded in that point.
but the concept of regime has some limitation: for example, it can't expalin why keiretsu or main bank system developed and why it has been disolved since 1980s. sure I know it was not Pempel's intention to include them. but to understand Japan or Korea, we should include big businesses. without them, explanation can't be comprehensive. it's the point of political economy, I think.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The Great Transformation: The Political and Economic Origins of Our Time (Paperback, 2)
칼 폴라니 지음 / Beacon Pr / 2001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학위과정에서 본 책이다. 이 책은 기본적으로 역사서이다. 영어원서로 읽는데도 평이하게 읽혔었다. 자본주의가 꽃핀 영국의 사회경제사를 기술하면서 시장과 사회는 균형을 이뤄야 한다고 주장한다. 주류경제학에서 말하듯이 시장을 자유롭게 내버려두면 경제적 효율성만 추구하다 그 시장을 지탱하는 사회가 무너진다는 것을 보여준다. 신자유주의와 세계화가 화두가 되면서 그 반대논리의 원천이 되었던 서적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Inside the Kaisha (Hardcover) - Demystifying Japanese Business Behavior
Noboru Yoshimura / Harvard Business School Pr / 1997년 3월
평점 :
품절


일어로 회사를 말하는, 카이샤 내부에서 바라본 일본기업이다. 일본회사에서 근무한 미국인과 일본인이 인사이더의 시각에서 일본기업의 조직운영논리와 전략이 어떻게 돌아가고 왜 그렇게 되는가를 설명한다. 종신고용이라든가 무한경쟁과 같은 전략이 왜 나왔는가를 직원과 매니저의 입장에서 설명한다. 보통 외부에서 학자들이 바라본 이해와는 아주 다른 설명을 하고 있다. 내부경험에서 나온 것이기에 상당히 설득력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