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건 신판 (16년? 최근이다). 

60년에 초판이 나왔고 내가 갖고 있던 건 75년에 나온 그 초판의 4쇄. 

거의 내 나이급 책. 종이가 변색되긴 했지만 다 말짱하고 짱짱하다. 종이책의 견고함에 새삼 감탄. 

이백년 정도는 가뿐히 가지 않나. 칸트가 읽던 책 지금도 볼 수 있고. 


하튼 이런 좋은 책, 좋고 어려운 책도 갖고 있었다. 

갖고만 있었다가 얼마 전 읽기도 시작했는데, 많이 감탄한다. 

학부 강의가 출발이었던 책이 이럴 수도 있다니! --> 이런 감탄도 있다. 

저자 길레스피는 프린스턴에서 가르쳤고 영어권에서 과학사가 독자적 학제가 되게 하는데 결정적으로 기여한 인물. 이 책은 그가 프린스턴에서 했던 과학사 강의에 바탕한 책. <인문학 304 Humanities 304> 과목명이 이러했다. 


헌사가 이런 식이다. (*번역은 멋대로 엉망입니다. "이런 식".....) 


"1956, 1957, 1958년에 <인문학 304>를 수강하면서 

말로 전해진 이 역사에 눈을 반짝이며 그리고 인내하면서 반응했던 학부 학생들에게. 

그 역사의 전달이 이 책에 담긴 형식이 된 건 그들과 했던 토론 덕분이다. 


우리가 나누었던 대화가 이 책이 되었다. 내 열정을 견제하기도 했지만 또한 그 열정을 자극하기도 했던, 그들이 보여준 호기심과 회의주의의 매혹적인 조합을 특별히 더 애정과 함께 기억하면서, 이 책을 내 학생들에게 바친다. 


프린스턴, 1959년 6월." 



헌사에서부터 이미 그런데 본문으로 들어가면 더더, 더더더, 길고 복잡한 (복잡한데 압축적인) 문장들 쓴다. 고풍스럽기까지 하다. 요즘 이렇게 쓰는 사람은 없을 것이다. (요즘의 복잡하고 압축적인 문장은 요즘 스타일로 그럴 것이다.....). 문장만이 아니라 요즘 학술 경향에서는 금기일 감정, 평가들도 적지 않다. 유럽 과학의 성취에 열정적으로 감탄하기라든가. 베이컨의 경험론은 "미들 브로우" 부르주아들에게만 설득력을 가졌을 거라는 둥. 


그런데 그게 다, 전혀 단점이 되지 않는다. 다 장점이 된다! 

어떤 대목들엔, 살면서 알았던 가장 강력한 시름도 잊게 할 힘이 있다. 시름. 싫음. 

과학자들의 전기 제목에서 흔히 보는 "life in science" "life in physics" 같은 구절 생각하게 한다. 

과학자들 전기가 저렇게 쓰이는 데 반해, "life in history of science" 아니면 "life in history of ideas" 같은 구절을 제목에 넣으면서, 과학사학자나 사상사학자의 전기가 나오지 않는 이유는, "과학에 바친 일생"은 만인에게 설득력을 갖지만 "과학"사"에 바친 일생"은 그렇지 않기 때문인 건가? 과학의 권위가 역사의 권위보다 강하기 때문인가? 


이 분, 정말 읽고 생각하고 쓰는 일에 일생을 바치신 분.....: 이런 깨달음이 ㅎㅎㅎㅎㅎ 좀 뭐랄까 머리를 치듯이 들게 하는 책.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이 책. Piezoelectricity라는 말도 생소하고 

월터 기톤 케이디라는 저자 이름도 바슐라르 책에서 본 게 다인데, 전기학 분야의 고전인가 봄. 

케이디는 20세기 미국의 물리학자, 전기학자. 


<응용 합리주의> "결론"에서 바슐라르가 

18세기 프랑스에서 전기학 연구했던 피에르 베톨롱과 20세기 미국의 전기학자 케이디를 비교한다. 

베톨롱의 전기학은 과학이 아직 아니었던 과학. 케이디의 현대 전기학은 확고히 과학. 온전히 과학. 

과학이 아직 아닐 때의 과학들이 얼마나 거침없는 광증들의 장소였나에 대해서는 <과학정신의 형성>에서도 긴 내용 볼 수 있는데, 베톨롱의 전기학에 대해 그와 비슷한 지적들을 이 책에서 함. 요즘 과학사 연구 경향에서는 이렇게 과거 과학이 아직 과학이 아니었다, 합리성을 몰랐다, 지적하는 게 바로 비판의 대상일 것이다. 바슐라르는 일관되게 이런 입장이다. 과학 이전의 과거 과학(전과학)과 현대 과학 사이에 중대한 단절이 있음.  


하튼 둘을 비교하면서 이런 문단을 쓴다. 


"베톨롱의 책과 케이디의 책을 같이 읽던 그 가을 날들을 기억한다. 이 두 저자들을 가르는 시간은 두 세기가 채 되지 않는다. 그럼에도 이들의 사유엔 어떤 공통의 척도도 없고 이들을 연결할 어떤 친연성도 수립할 수 없다. 18세기의 박식이 갖는 막대한 종합은 이제 더는 무엇도 합해내지 못한다. 20세기에 수정의 실험으로 결정된 한 세부, 그것에 관한 정밀하고 논증된 종합은 과학 현상의 견고한 핵심을 형성한다. 라 브리(la Brie) 평원을 명상하면서 레옹 고즐랑은 썼다: "라 브리는, 물이라기보다는 바다다." 끝을 모르고 이어지는 베톨롱의 책들을 읽으면서 우리는 비슷하게 말할 수 있을 것이다. "이 과학은, 그러나 과학 사유는 아니다." (.....) 


그 가을의 세 달. 케이디의 책을 읽을 때, 어느 페이지에나 배우고 이해하고 적용해야 할 내용이 있었다. 60대 나이에, 나는 학창 시절을 다시 찾은 즐거움을 느꼈다. 내 나이의 사람들 모두가 그러듯이, 나는 이십대의 유토피아를 다시 살았다. 나는 이렇게 말했다. "현대 과학의 아름다운 책들을 놓고 공부하는 스무살이 되고 싶다. 케이디의 책, 글래스스톤의 책, 로카르의 책, 보웬의 책, 헤르츠베르크의 책." (원주: 꼭 집어 이 저자들을 말하는 건 이들을 실제로 내가 1947-48년 동안 읽고 공부했기 때문이다). 햇빛 비치는 내 테이블 위에 이 책들이 놓여 있다. 9월이 내 뜰의 과일들을 무르익게 한다. 곧 10월이, 그 위대한 달이 온다! 모든 학교들이 새로이 청춘을 찾는 달, 모두가 근면한 사유를 다시 시작하는 달. 한 권의 좋은 책이 있다면, 한 권의 어려운 책이 있다면, 나는 영원한 10월을 살 수 있는 것이다! 새로운 이성엔 그같은 활력이 있는 것이다! (.....)" 


이런 문장들이 바슐라르 책들이 주는 즐거움이 어떤 것인가 알게 하는 문장들인데 

질색하는 사람들도 (특히 요즘엔) 적지 않은 거 같다. 이 다음 이어지는 문장들도 이와 비슷하게 완전히 바슐라르적 삶의 예찬, 공부 예찬 ㅎㅎㅎㅎㅎ 문장들. 오늘 읽으면서 나는 거의 울었. 이런 말씀 남겨주셔서 감사합니다. 심정으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어제 별 안주도 없이 맥주가 술술 들어가서 

4캔 (2캔이면 족할 줄) 다 마시고 더 사러갈 뻔했다. 역시 기쁨은 좋은 안주다. 안 취함. 오래 감. 

주당 김자케는 얼마전 발견하고 요새 업로드 될 때마다 보는 채널인데, 여기도 좀 상상초월이다. 

말에 그치지 않는다. 정말 전투적으로 마심. 소주병 흔들면 병 안에 생기는 회오리. (이거 국룰인 거 같던데, 언제부터? 라떼도 있었나? 확실치 않음). 하튼 회오리에서 시작하여 "위하여 (We higher)" "May 노포스 be with you" 후렴까지, 전투적이고 꾸준히 보다 보니 저 후렴이 수시로 귀에 울린다. 


오늘 아침 할 일이 있었는데, kt 모바일 요금이 며칠 전 자동 이체 출금이 되고 또 카드 대금으로도 청구가 되어서, 이게 머선129. kt와 카드회사에 전화해 알아보기. 신청한 적 없는 자동 이체 출금이 어떻게 될 수 있나도 이해가 안되지만 그런 다음 카드 청구도 되었으며 kt 홈페이지의 요금 청구 납부 내역에는 이것들이 반영이 안되어 있다는 아아아 (비명입니다) 하튼 이게 머선129. 


전화를 마치고 나니 머리가 아프고 

그리고 해결은 안된 거 같다. kt와 카드회사 두 쪽 다 답이 이해가 되지 않음. 카드 대금은 25일에 이체되는데 

그 날 보아서 며칠 전 자동이체된 요금이 선결제된 걸로 처리된다면, 그러면 해결된 걸로. 아니면 그 날 다시.. 

아 여전히 머리 아프다. 미니멀리즘은 다른 무엇보다 이런 영역에서 필요하다. 그런데 어떻게? 모바일 없이 삶? 

내가 노인이 된 세계에서는 이 문제에서 미니멀리즘이 가능한 세계이기를. 





수학에서 오랫동안 난제였다는 "원적문제" (구글링 해보니 이렇게 불린다. "squaring the circle").

원과 같은 면적을 갖는 사각형. 


<응용 합리주의>에서 바슐라르가 이 문제 잠깐 언급하기도 한다. "프랑스 과학 아카데미에서, 원적문제를 해결했다고 주장하는 몽상가들에게 더 이상 응대하지 않겠다는 정당한 결정을 내렸다. 원적문제의 현대적 증명은 전부 광증에 속한다. 철학자들을 선동하는 얼마나 많은 문제들이, 그것들이 수학적 형식으로 표현될 때, 이같은 판결에 처해질 수 있겠는가. 무한의 문제를 한 예로 들 수 있다." 


그런데 저 마지막 문장이, 무한(infinity)에 대한 수학적 이해가 있다면 무한에 대한 우리의 이해는 끝난 것이다, 같은 뜻은 아닐 것이다. <물과 꿈>에서 "물의 고통은 무한하다" 같은 문장을 그 자신 쓰기도 하고. 


통신 요금으로 인한 머리 아픔 때문에 

원적 문제가 남의 일이 되는 세계. ;;;;;; 쉽지 않은 적이다. 


댓글(2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han22598 2021-06-24 02:01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봄에 한국 가보니. 요즘 대세는 막걸리인것 같던데요. 다양한 막걸리를 마셔보니. 늠나 맛있더라고요. 또 먹고 싶다능 ㅠㅠ 돈도 돌려받으셨나요?

2021-06-25 16:25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21-06-26 08:52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21-06-26 09:12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21-06-26 16:53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21-06-27 13:16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21-06-27 14:31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21-06-27 14:42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21-06-27 15:37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21-06-28 04:25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21-06-28 11:06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21-06-28 12:03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21-06-28 14:55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21-06-28 16:15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21-06-29 12:08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21-06-29 12:43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21-06-30 06:21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21-06-30 07:46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21-06-30 12:08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21-06-30 13:03   URL
비밀 댓글입니다.
 



사놓고 읽지 않은 과학 책들도 많다. 이것도 있는데, 이건 표지는 

어쩐지, 어딘가 조금은, 위협적이지만 실제로 읽어 보니 거의 아동 도서 풍이다. 어린이를 위한 위인전 풍. 

중학생은 아니라도 고교생부터는 대상 독자로 생각했을 거 같은 책. 

빠져들어 읽는 과학 취향 어린이들이 곳곳에 있을 책. 


















번역판 표지 이미지 옮겨 오려고 했더니 복붙이 안되어서 알라딘 상품 이미지로. 

번역판 표지가 뭔가 더 "얘들아 어서와" 느낌이기도 하다. 


<응용 합리주의>에 전기, 전자기에 대한 논의도 있어서 

이미 집에 있는 이 책 같이 보면 좋겠어서 보기 시작함. 


"패러데이와 맥스웰은 각자 자기 몫의 전기작가들을 매혹했다. 그럴 만하다. 이들은 천재였지만 또한 동시에 존경스러운 인물들이었다. 이들은 관대한 영혼들이었다. 이들은 보는 이를 감염시키는 열정과 함께 과학을 했다. 이들이 발산하는 매혹 앞에서, 사람들은 자기 자신 그리고 세계에 대해 더 만족감을 느꼈다." 


저런 내용이 서두에 있다. 아.... 번역이 잘 안되니 

원문을 일부라도 옮겨 오면: Aside from their genius, both were admirable, generous-spirited men who conducted their science with infectious enthusiasm and exuded the kind of charm that made people feel better about themselves and the world in general. 


오늘 온종일 채점을 했는데 

"시간의 체험" 주제로 주었던 작문 과제 중에 "그와 함께 하는 1분도 견딜 수 없을 사람과 1시간을 보낸 적이 있다"는 내용의 글이 있었다. 그가 어떤 사람이며 그 1시간 동안 그는 내게 무엇을 했는가. 그의 말은 어떻게 모두 어김없이 악취를 풍겼는가. 


패러데이와 맥스웰의 열정, 매혹. 그리고 모든 단어가 쓰레기가 되게 하는 사람과의 한 시간. 

이게 뭔가 기록할 가치가 ;;; 있는 대조를 형성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great courses에서 출시한 강의들 중에 

특히 더 효자상품, 스테디/베스트 셀러들이 있는데 

이 <과학의 즐거움> 강의가 그 중 대표일 거 같다. 


어제 1강 들어보았다. 

과학이란 "way of knowing"에 관한 것이고, 그 "way of knowing"을 위한 과학의 "방법"이 있고, 미국 시민 모두에게 과학적 문해력이 요구되고, 그 문해력과 함께 과학 교육의 개혁이 진행될 수 있을 것이고, 이런 얘기 체계적이고 압축적으로 하고 있었다. 막연하게 듣기 좋은 소리가 아니었. 다시 들어봐야 하고 강의 자료도 보면서 하튼 좀더 "각잡고" 봐야 할 내용이었다. 이것도 스프링 제본이 필요하다. 가슴에 확 와 닿은 두 대목이 있었는데, 하나는 어떤 질문들은 과학적 질문이 아니었다가 과학적 질문이 되기도 한다던 얘기. 그런 질문의 예로 교수는 "우주의 기원"을 들었다. "우주의 기원"이라는 문제는 20세기에 들어서야 (허블 망원경과 함께?) 과학의 질문이 될 수 있었다. 그러기 전에 그것은 공허하고 한가한 질문이었다. 예를 하나 더 추가하면 "의식 (consciousness)"의 문제는 현재 과학적 질문이 아닌데, 아마 곧 과학적 질문이 될지 모른다고 교수는 덧붙였다. 


다른 하나는, 무엇보다 좋은 질문들이 과학을 풍요하게 하고 과학을 앞으로 이끄는데, 바로 그렇기 때문에 과학은 여성 과학자, 소수 집단 과학자들을 적극적으로 과학으로 끌어들여야 한다던 얘기. 새로운 관점의 유입이 부단히 필요하다. 


이런 얘기 듣는 게 정신 건강에 막대히 도움이 된다. 

부정적 감정들에 장악될 거 같을 때 이런 얘기 들으면, 그 감정들을 차단 혹은 정화할 수 있다. 


세상엔 좋은 것들이 있고 특히 인간 정신이 성취한 좋은 것들이 있는데 

그것들이 자기 삶과 직접 연결되게 해야 한다는 것. 남의 일이 아니게 해야 한다는 것. 

그것들을 내가 직접 살아 보아야 한다는 것. 


그걸 남의 일로 만드는 모두에게 맞서야 한다는 것. 

------ 그렇다고 새삼스럽게 생각했.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