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혼"으로 검색한 결과에, 

이것도 10년 전인데 <우상의 황혼> 읽다가 옮겨 둔 것도 있다. 


제도란 것이 개인의 기벽/기행(idiosyncracy)을 토대로 세워진다는 건 절대 불가능한 일이다. 해서, 내가 앞서 말했듯이, "사랑"을 토대로 결혼 제도를 수립할 순 없다. 결혼의 제도적 토대라면, 성욕이나 재산욕(아내와 자녀도 재산에 포함된다), 혹은 지배욕이어야 하는 것이다. 지배욕이 결혼의 토대일 때, 최소 단위의 지배 구조가 끊임없이 조직되는데 그것이 가족이다. (<우상의 황혼> "모더니티 비판")


여기엔 이런 (허접한... ㅋㅋㅋㅋㅋ) 감상을 적어두었다: 누구나 한번쯤 진심으로든 '인용'으로든 해본 말, "사랑이 밥먹여주냐..." 혹은, <약한척 남자 부려먹기>였던가 <미친척 남자 부려먹기>였던가, 그런 제목 책. 90년대 중반쯤인가 황금가지에서 나왔던 책. 그 책 저자가 썼던 다른 책, <사랑하니까 결혼한다고?>. 사랑하니까 결혼한다고? 풋. 이런 인식의 면에선, 수많은 사람들이 다 니체언........


"사랑하니까 결혼한다고"로 알라딘 검색하니 나오는 책은 없다. "사랑하니까"와 "결혼한다고"는 각각 수백 혹은 수천 건 검색된다. "남자 부려먹기"로 검색하니 나온 책은, 어리숙한 척 남자 부려먹기. 약한척, 미친척이 아니라 어리숙한 척. 
















<미니마 모랄리아>엔 결혼(이혼)이 주제인 단장이 셋 정도 있다. 11번 단장이 그 중 하나. 영어판으로 읽고 옮겨 둔 게 있는데, 이런 식이다. 


이혼은, 심지어 선하고 친절하며 잘 교육받은 사람들 사이에서 일어날 때에도, 먼지 구름을 -- 그것에 닿는 모두를 덮고 변색시키는 -- 일으킨다. 친밀성의 영역, 공유하는 삶에 대한 경계심 없는 신뢰가, 그 안에서 그것이 번영할 수 있게 했던 두 사람의 관계가 깨지는 순간 독(毒)으로 변한다. 사람들 사이의 친밀성은 인내이며 관용이고 기벽들의 피신처다. 이 피신처가 바깥으로 노출되면, 그 안에 있던 허약함의 계기가 드러난다. 그리고 이혼에서 이같은 외부 노출은 불가피하다. 이혼은 친밀성의 창고를 압수한다. 한때 애정어린 보살핌의 표시였고 화해의 이미지였던 물건들이, 갑자기 독자적 가치를 획득하면서, 그것들이 품고 있던 사악하고 냉정하며 유독한 면을 드러낸다. 이혼한 교수는 전처의 아파트에 침입해 책상에 있던 물건들을 몰래 빼오고, 부유한 여자들은 그들의 남편이 탈세를 했다며 규탄한다. 만일 결혼이 비인간적 보편 내에 인간적 세포/섬을 형성할 마지막 가능성을 제공했다면, 결혼의 붕괴에서 보편의 복수가 일어난다. 보편은 규칙의 예외처럼 보였던 것을 포획하며, 그것을 권리와 재산이라는 소외된 질서에 종속시키고, 안전이라는 망상 속에 살았던 이들을 비웃는다. 아끼고 애착했던 것일수록 잔인하게 희생된다. 부부가 서로에게 더 관대했을수록, 소유와 의무에 대해 별 생각이 없었을수록, 이들의 모욕은 더욱 무참해진다. 법적으로 규정되지 않는 영역에서, 싸움과 비방, 이해 관계의 끝없는 갈등이 무성하게 일어나기 때문이다. 결혼 제도의 컴컴한 토대, 아내의 재산과 노동에 대해 남편이 행사하는 야만적인 권력, 한때 잠자리의 즐거움을 주었던 여자에게 평생의 책임을 지도록 남자를 강제하는, 그만큼 야만적인 성 억압 -- 이 모두가, (결혼이라는) 집이 붕괴할 때 웅크리고 있던 지하실과 기반으로부터 바깥 세상으로 기어 나온다. 각자를 구속적으로 소유하면서 선한 보편을 경험했던 이들이, 이제 사회에 의해 자신을 배덕자로 여기게끔, 구속 없는 비열함이라는 보편 질서에서 그들이 예외가 아니었음을 인정하게끔, 강요된다. 이혼에서 보편은 개별에 찍힌 치욕의 상처로 모습을 드러낸다. 이 사회에서 결혼, 즉 개별자는 진정한 보편성을 실현할 수 없기 때문이다.

 

- Minima Moralia, 11, "With all my worldly goods"


니체의 단장에서 밑줄 친 문장, "제도가 개인의 기벽을 기반으로 세워진다는 건 불가능하다"는 카우프만의 영어 역문에선 이렇다: Never, absolutely never, can an institution be founded on an idiosyncrasy; one cannot, as I have said, found marriage on "love.". 이 문장 독어 원문을, 내 집에 있는 최고 장식품 니체 독어 학생판 전집을 장식 아닌 목적으로 처음인가 두번짼가 이용해 찾아보니 이렇다: Man gründet eine Institution nie und nimmermehr auf eine Idiosynkrasie, man gründet die Ehe nicht, wie gesagt, auf die "Liebe." 


아도르노 단장에서 밑줄 친 문장, "친밀성은 인내이고 관용이며 기벽들의 피신처다"의 영어 역문은: Intimacy between people is forbearance, tolerance, refuge for idiosyncrasies. 그리고 독어 원문은: Das Intime zwischen Menschen ist Nachsicht, Duldung, Zuflucht für Eigenheiten. 


니체 문장에선 Idiosyncrasie가 그대로 idiosyncrasy로, 

아도르노 문장에선 Eigenheiten이 idiosyncrasies로 번역된 것인데, Eigenheit를 독한사전에서 찾아보니 "특징, 특성, 이상함, 진기함"으로 뜻을 달고 있다. 형용사 eigen이 영어로는 one's own (Room of One's Own), 그럴 때 own의 뜻 같던데, 그것을 명사화하면 "개성" 비슷한 뜻이 되는 거겠다고 이해함. 


idiosyncrasy (Idiosyncrasie) 이것도 "번역불가인 말"에 일단 올려둘 수 있을 것이다. 의미를 염두에 두면 "개성"이 무난한 역어처럼 보이기도 하지만, "개성"이 한국어에서 쓰이는 용례들이 그걸 쓰지 못하게 할 것. 또 개성의 "개"보다는 기벽, 기행.. 같은 말에서 "기"의 의미가 이 말에 있다고, 어쨌든 나는 이해한다. 그런데 기행도 기벽도 좋은 역어는 아니다. idiosyncrasy는 일회적인 것도 아니지만 그렇다고 반드시 습관적인 것도 아니라서. 


니체 문장을 책세상판 <우상의 황혼>에선 이렇게 옮겼다: "하나의 제도는 결코 괴상한 어떤 것에 기초해서 성립되지 않으며, 결혼은 이미 말했듯이 '사랑'에 기초해서 성립하지 않는다." 


아도르노 문장의 한국어판 번역은: "인간들 사이의 친근감이란 배려하고 인내하는 마음으로 독가시를 감싸주는 보호막이다." 오늘 아침 니체와 아도르노의 두 문장을 놓고 한국어, 영어, 독어를 오가다 생각이 자극됨. "개인"이나 "개성"이 (그것에 실제로 내용이 있을 때) 억압된다, 그것들은 여기선 중요성의 위계에 아직 들어가지도 못했다..... 같은 생각도. 














올해 내가 산 비싼 책 top 10안에 들어가기도 하겠지만, 

그보다 "인류에 대한 믿음을 회복시켜줄 책 top 100" 이런 걸 누가 어디서 선정한다면 후보작이 될지도 모를 이 책. 이 책 배송받고 넘겨보다가, "아 인간은 이런 일도 하는 존재다!" "누가 인간을 비방하는가..." "이 인간들(책 만든 사람들)을 보라.."며 혼자 감격했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버트란드 러셀의 첫번째 아내는 미국인이었고, 브린 모어 대학 출신으로 똑똑한데다 아름답기도 하고 여러 모로 시대를 앞선 사고를 하는 강하고 독립적인 여성이었다. 그녀는 러셀보다 다섯살 연상이었다. 러셀이 그녀를 처음 만나는 건 열여덟살 때 일이고, 처음 만나던 무렵부터 그녀와 결혼하겠다고 작정한다. (괴테에게 그랬듯이 러셀에게도, 아메리카는 제약없는 자유의 땅, 특히나 섹스와 표현에서 자유를 상징하는 나라였는데, 그것이 추가한 매혹도 있었고).

 

스물 한 살 생일을 맞으며 성년이 된 직후, 러셀은 그녀 알리스에게 청혼하는데,

강하고 독립적인 여성들이 흔히 그렇듯이, 그녀 역시 결혼엔 부정적이고 비관적인 생각을 갖고 있었고 러셀과 그녀의 연애는, 진보적인 남녀에게 왜 결혼이 필요한가에 대한 철학적 토론이 주된 화제였던 연애였다.  

 

스물 한살의 러셀이 내놓았던 의견은,

진보일수록 결혼을 해야 한다로 요약된다. 결혼은 나쁜 제도지만,

그게 나쁘다는 걸 알고 있는 사람들이 해보임으로써, 해보이고 계속 비판함으로써, 전복할 수 있다. 또 진보일수록 '수도승과 같은 금욕'의 생활을 하면 안된다. 혼외 정사가 나쁜 것은 아니지만 그것이 불러올 스캔들이 그들의 (정치적) 활동을 마비시킬 수 있을 거라서. (*여기서 "혼외 정사"는 뭔갈 잘못 옮긴 듯). 

 

또한 그들의 자녀들이라면 거의 어김없이 진보적 가치를 추구하고 실천할 사람들일 것이므로, 그런 이유에서도 리버럴/진보는 결혼을 해야 한다........... 그것이 그들의 도덕적 책임이다. "평균보다 어느 면에서라도 뛰어난 사람이 결혼을 하지 않는 건, 부도덕하다"


결혼이 주제인 글을 수업에서 읽을 예정이라 

<미니마 모랄리아>에서 결혼에 대한 단장을 다시 읽어보려다 "결혼" 키워드로 검색을 해봄. 근 10년 전 쓴 위와 같은 노트가 발견되었다. 레이 몽크의 러셀 전기 1부에서. 책 내용을 저 정도 옮겨 놓고 몇 줄 코멘트한 게 있는데: 러셀은 이젠 그리 깊이 있지도 재미있지도 않음. 21세때 그의 지적 성향과 습관을 보여주는 에피소드들에서 이미 예견되는 헛똑똑이 기질. 그것으로 설명할 수 있겠음. 


그러게.. 읽다가 동의함.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게스트 거의 전부가 교수들인 Entitled Opinions에 

학부생이 게스트였던 에피가 하나 있다. 스탠포드 정치학과 3학년이었던 트루먼 첸이 출연하고, 

랜돌프 본이 주제였던 14년의 한 에피. 로버트 해리슨이, 트루먼이 얼마나 뛰어난 학생인가 노골적으로 말하기도 하는 그런 에피가 있다. 랜돌프 본이라는 잊혀진 인물에 대해서 알게 된 것도 트루먼 덕분이라든가, 트루먼을 보고 스탠포드 학부생들 수준은 저 정도냐 놀랄 필요가 없으니 그는 대단히 예외적이다.. 등등의 언급을 한다.  


랜돌프 본은 (저 에피에서 주워들은 게 전부인데 그에 따르면) 20세기 전반, 특히 1차 대전 시기 미국에서 타협없이 반전, 평화주의 입장이었던 좌파 사상가. 존 듀이의 제자였지만 듀이가 1차 대전에서 참전(찬전?) 입장이 되면서 불화가 시작되고 불화 이후 듀이는 랜돌프 본의 앞길을 막는 일에 적극적으로 나섰다고. 듀이의 방해 때문에, 본의 글들이 제대로 (혹은, 전혀) 발표되지 못햇을 정도. 


아래 포스트 쓰고 보니, 학부생이 게스트면서 작정하고 공부 얘길 ;;; ㅋㅋㅋ ;;; 하는 팟캐스트도 (있다면)

오히려 어쩌면 한국에선 아주 신선할 (그리고, 재미있고 중요할) 수도 있겠단 생각이 든다. 이미 EO가 선례를 보여주었고. 저 에피에서 트루먼, 사실 그렇게 해리슨이 칭찬을 아낄 수가 없을만큼 탁월한 학부생처럼 보이진 않는데 그런가 하면, 어쩌면 학부생에게만 가능할 것같은 종류, 좀 드문 종류 진지함이 그에게 있다. 


저 에피에서 웃겼던 대목은, 제목에 쓴 저것. 

1차 대전의 의미를 생각해야 한다며 해리슨이 트루먼에게 질문한다. 

1차 대전이 어떤 의미야 너에게? 너와 네 세대에겐 혹시 트로이 전쟁 같은 거니? 

이러는 대목이 있는데, 이잉? ;; 하하하. 이런 반응으로 즐거워했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지난 학기부터 수업에서 토론 주제로 쓰기 시작한 질문. 

니체나 울프, 그리고 수많은 다른 예들이 있는데, 19-20세기 지식인, 작가, 예술가들이 

친구들과 주고받은 수많은 편지들. 주로 서구에서. 왜 한국엔 그에 비견할 사례가 없을까. 


울프 서한집들은 이렇다. 




호가스 출판사에서 새로 내고 있는 판본인듯. 



내가 갖고 있는 건 이 쪽이다. 


오늘 이 주제로 얘기하는데, 

아무도 길고 진지하게 얘기하지 않고, 그러는 사람이 있으면 싫어한다....: 이런 답이 나왔다. 이런 내용이긴 했으나 표현이 이보다 더, 듣는 나에게 절실했던 말이었어서, 아 맞다 그거였지 !! 정확히 복원, 재생하는 보람이 지금 들지 않고 있다. 많지도 않고 두 단어 정도, 들으면서 밑줄 쳐지고 꼭 기억해야지 했던 말이 있었다. 답했던 학생은 인문학 전공 여학생. 오죽했으면 집에 오면서, 그 학생이 게스트 출연하는 팟캐스트.. 한국판 Entitled Opinions, 이거 있으면 좋겠다는 공상을 함. 호스트는 나. ㅋㅋㅋㅋㅋㅋ;;; 위에 적은 걸론 그렇게 보이지 않을 것같은데, 굉장히 열심히 생각하고 열심히 답해 주었다. 


그리고 내가 보탠 건,  

여성 언어는 관계의 형성 및 유지를 지향하고 남성 언어는 정보 전달을 지향한다는 (수업에서 읽었던 글) 그 얘기에서 여성 언어, 그것이 우리 언어의 특징이 아닌가. 한국에선 사적인 관계면 어디서나 거의 언제나 누구에게나 관계의 형성 및 유지.... 이것이 대화의 지향인 듯하다. 


즉석에서 생각나 보탠 것이라, 앞으로도 저렇게 생각하려면 더 많은 생각이;;;; 필요하다. (생각이 세 번 등장한 짧은 문장. 나쁜 문장이겠다.) 그렇긴 한데, exchange of new ideas 같은 영어 구절이 그대로 옮겨져 "아이디어 교환"이 되면 갑자기 그 내용에 일어나는 쪼그라듬. 실제로, 이곳의 사상가들, 작가들, 예술가들이 블룸스베리 그룹이나 말라르메의 화요(요일은 헷갈린다, 목요였나?) 모임 같은 데서 그랬다듯이 새로운 아이디어의 교환... 을 한 적이, 


없진 않을 것 같은데...;;;; 

있지만 매우 약할 것같다. 강했다면 그들도 전설들이 되었고 나도 들어봤겠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助詞論


우리말을 우리글로 옮기다 보면 

다루면 다룰수록 어렵고 깐깐해지는 것은 

아홉 품사 중에서도 다름아닌 조사올시다 


비유컨대 

말이 입고 있는 옷이 글이라면 

조사는 아주 사소한 단추라고나 할 수 있으나 

첫 단추 잘못 끼운 나머지 결과가 어떠한 줄이야 

이미 잘 알고 계시다시피 

단추 하나 엉뚱해지면 

옷이 삐뚤해지면서 

몸도 빼뚤해지고 급기야는 

마음마저 삐딱하게 툴툴거리는 것처럼 

아무렇지 않아 보이는 이 조사 하나가 

문장이란 외출복에 날개를 달아 주느냐 

아니면 무겁게 발목 잡느냐 

다시 말해 문장의 품질을 결정적으로 결정하는 것입니다 


우리말과 우리글을 사랑하고 자랑해야 할 우리끼리 이야기입니다만 

조사란 마치 약방의 감초와도 같은 것이어서 

우리말의 경쾌하고 컬컬핫 멋도 

우리글의 감칠맛과 낭창낭창한 탄력도 

바로 이 조사에서 우러나서는 

지은이의 생각과 읽는이의 마음을 

감쪽같이 바느질하여 줍니다. 



일어나서 커피 마시고 밀린 채점을 하다가 찾아야 할 책 때문에 책장 보던 중 구석에 끼여 있던 이 시집 발견. 

며칠 전 수업에서 weary, obsolete 두 단어 얘기하다가 이 시집 생각나 말해봤었다. 단어가 그 소리와 모양에 이미 자기 뜻을 갖고 있는 듯한 일. 그것에 대해 쓴 한국 시인도 있는데.... (까지 말했지만 시인 이름, 시집 제목 둘 다 기억이 안 나서, 시와 소설 애독자임이 분명한 학생이 나 대신 말해주길 기대. 기대는 이루어지지 않았는데 지금 보니 시집은 91년간. 이갑수 시인은 쭉 시집을 낸 것같지는 않은?) "한글은 표의문자"라는 구절이 등장하는 그 시는 이렇다: 




       우리나라 글들의 풍경 

        ----말은 존재의 집이다, 하이데거 


글에는 표정이 있다 

우리나라 글자에는 풍경이 숨어 있다 

(한글은 표의문자가 아닐까?) 


개울 모래 자갈 돌 물, 개울물 속 모래자갈돌 

굴러 흘러 내려가는 소리 리을이 꼬부라져 졸졸졸 


마을, 마음들이 모여 살고 부드러운 말씨로 줄이면 말 


부드럽다, 는 부드럽다 


손, 길고 짧고 펴고 구부린 것 그리고 강조되는 엄지 

과연 하나도 모자라지 않는 5획으로 


옷, 옷 입고 씩씩하게 두 팔 흔들면서 

두 발로 걸어가는 사람모습을 사실적으로 인상 깊게 


몸, 옷에 꼭 맞게 들어앉은 신체 

과감한 생략과 극도의 절제를 구사한 추상 조각품 


뫼, 몸이 아랫도리를 걷고 의자에 앉아 있는 듯 

가뿐하게 올라 피곤을 걷은 등산객이 쉬고 있는 것 같군 


묘, 나무요 깔고 하나로 접어 허공에 누운 

몸과 마음이 묘하기만 하네 


----글은 존재의 건물이다 



우리말(우리글)도 그렇지만 영어도 그렇다. 

weary는 목이 말라도 팔을 들 힘조차 없는 무력함과 축(축축하게) 늘어진 다리를 말하는 것같고 

obsolete은 고철이 되어가는 자전거들이 엉켜있는 고물상, 녹냄새 나는 공기와 붉은 색조의 풍경을 말하는 것 같고. 이런 얘기 하면 즐거워하는 학생이 반드시 한 사람은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