쿤의 이 책에 좀 묘한 대목이 있다. 왜 과학은 (17세기 이후 과학은) 서구에서 시작했고 그리고 성공했나. 

왜 근현대에 과학의 진보를 서구가 주도했나. 이런 질문을 하고, 답하지 않는다. 질문을 하고 답하지 않는 그 흐름이 묘함. '이건 (중요하지는 않을지라도) 흥미로운 질문인데 그러나 답이 서구의 우월함 방향으로 갈 수밖에 없다면 그 질문 차라리 하지 않는 것이 낫겠지. 그럴 거라면 하지 마. 나라면 지금 어디로 갈지 나도 모르겠어 당신은 어때? 당신은 어떻게 답하겠는가?' : 이런 느낌? 


<과학 혁명의 구조>가 좀 답답한 책이 되는 이유가 쿤의 저런 면에 있다는 생각도 든다. 애매하게 신중함? 오래 전 이 책 읽은 수업이 있었는데, 수업에서 읽은 흔적이 많이 있는데도 남은 기억은, 읽기 고역이었다는 거 말고 거의 없는 책. 페이퍼 쓰면서 옆에 두고 조금씩 읽었는데, 지속적으로 답답한 책이긴 했다. 그런데 50년대 말 시작해서 60년대에 절정에 달한달까 서구 문화의 자기반성? 서구 이성의 자기반성? 그 조류에 속하는 책 아닌가 하게 된다. 근현대 과학의 진보를 서구가 주도한 건 순수히 역사적 우연이었다..... 같은 결론을 내릴 수 있었다면 아마 그는 진심으로 기뻐했을 거 같다. 


바슐라르에게는 과학의 진보가 가리키는 이성의 운명, 인류의 운명이 있다.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바슐라르님. 하여튼 신중함은 개나 줘버리시는 바선생님. 무분별하게, 과장스럽게 철학하시는. 


그에 따르면, 과학 진보의 결정적 순간을 과학 도시의 수립에서 볼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랑스에서 "물리학 도시"는 19세기 초에 수립되는데, 물리학 도시의 수립을 전후하여 한 세대 동안 과학의 성격이 전면적으로 변화한다. 아마추어들의 여흥에서 "가르치는 합리주의"와 "배우는 합리주의"의 결합으로. 물리학 도시의 수립은 학교로서의 물리학의 수립이기도 했다. 학교가 되기 전 아마추어 물리학에게는 "독자"가 필요했다. 학교가 된 다음 물리학자에게는 "제자"가 필요했다. 학교가 되고나자 진보는 막을 수 없는 무엇이었다. "인간은 망설인다. 학교는 망설이지 않는다. 학교는 반드시 가르친다." 


............ 저렇게 적어두니 논의의 매혹은 말할 것도 없고 설득력도 1도 없어 보이는데, 나는 완전히 설득되었다. 다른 많은 조각들도 가져다가 연결하면 더 설득력 있게 될 것이긴 하다. 


바슐라르에게는 "지금 내가 하는 이건 서구의 역사지..." 같은 생각이 없었다. 

그 생각없음은 '나는 인류를 대표하는 구세계 백인남자'의 오만이 아니고, 잘 반성된 보편주의 관점이 언제나 강하게 실행되기 때문에 가능한 편견의 삭제. 그런 거라고 나는 생각한다. 


인간의 이성은, 그것이 학교가 되는 순간 막을 수 없는 운명을 갖는다. 

그렇기 때문에 누구라도 학교에 들어오면, 그 운명에 참여하게 된다. : 여기서 학교는 뭐고 그 운명이란 또 뭐고 따지자면 아주 길게 (영원히....) 따질 수 있을 것이긴 함.  그런데 '해방의 페다고지' 이것으로 전환시킬 아이디어가 여기 압축되어 담겨 있다고 봅니다. 


댓글(10) 먼댓글(0) 좋아요(1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라파엘 2021-12-21 16:43   좋아요 3 | 댓글달기 | URL
몰리님 덕분에 ˝학교˝에 대한 시각을 하나 더 가질 수 있게 되었어요!! 감사합니다~ ^^

몰리 2021-12-21 16:55   좋아요 2 | URL
아이구. 다행입니다. 이 무슨 암짝에도 소용없는 포스팅을..... 이럼서 썼는데 말이에요. 저도 감사합니당.

scott 2021-12-21 16:48   좋아요 3 | 댓글달기 | URL
제가 쿤의 과학 혁명의 구조를 이해 못했던 이유를 몰리님 포스팅 읽고 끄덕^^ 끄덕^^

몰리 2021-12-21 16:57   좋아요 2 | URL
쿤의 경우도
책은 (체계는) 사라져도 인간은 남는다의 예가 되지 않을까 싶기도요.
굉장히 답답한데 좋으신 분 ㅎㅎㅎㅎㅎㅎ 무엇에든 진심이신 분. 이런 느낌이 남음.

얄라알라 2021-12-21 21:54   좋아요 2 | URL
(제 기억을 뒤지면) 그냥 쿤은 당연히 다 읽어야 하는, ‘너, 당연히 읽었지?‘ 그런 분위기가 있었죠?
읽었어도 이해 못했기 때문에 아주 부담스러웠던 시선.


몰리님 덕분에 토머스 쿤님의 얼굴을 처음 보았습니다.

북다이제스터 2021-12-21 20:15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쿤 자신이 이 책을 썼지만 자신도 이 책 의미를 잘 몰랐고 나중 다름 사람들이 진짜 의미를 알려 주어 쿤도 비로소 깨달았다는 글을 읽은 적 있습니다.
아마 자신도 잘 모르는 얘기를 쓰다보니 책이 어려워진 것 아닌가 조심스레 추측해 봅니다.

얄라알라 2021-12-21 21:59   좋아요 2 | URL
북다이제스터님께서 전해주신 말씀대로라면, 쿤은 서글퍼야할 것 같습니다. 의미 파편을 던져놓앗는데 퍼즐은 독자들이 맞추고 포장까지.....

수능 예비고사에 자주 등장해서, 더욱 권위(?)를 입었던 이 책, 저야말로 파편도 아니고 구절 구절 읽었던 것 같습니다.

북다이제스터 2021-12-21 22:04   좋아요 2 | URL
전 넘 어려워 읽다 포기했는데, 다른 사람들 얘기론 저자 자신도 잘 모르는 이야기여서 제가 잘 이해 못한 것은 넘 당연하다는 말에 큰 위안 받았습니다. ^^

몰리 2021-12-22 16:29   좋아요 1 | URL
뭐랄까, 이건 내가 꼭 써야 하는 책이라는 사명감도 배어나면서
이러고 싶지는 않다는 저항감도 느껴지는, 오묘하게 양가적인 태도가 있는 책이지 않나는 생각이 듭니다. 과학을 민주화(과학의 탈권위화)를 해야겠는데 그러기엔 과학을 너무 사랑한 사람. 정말 자기가 무얼 썼나 잘 몰랐을 거 같아요.

북다이제스터 2021-12-22 16:57   좋아요 1 | URL
어디서 읽었는지 기억나서 찾아봤습니다. <푸코와 하버마스를 넘어서>라는 책에 있는 내용입니다.

˝<과학혁명의 구조>를 쓴 토머스 쿤은 자신 저서의 깊은 뜻을 몰랐다. 나중 인문학자들이 그의 책을 읽고 쿤에게 그 의미를 알려주었는데, 쿤은 자신 책 뜻에 놀랐다고 한다.


과학은 단순하게 사실의 나열이나 반증주의의 학문이 아니다. 과학은 마음의 상태다. 과학은 주관성과 객관성의 이분법을 뛰어넘어 상호주관적 진실을 다루는 학문이다. 우주의 객관적 진실은 우리 모두의 주관적 진실이 모여 이루어진다. 따라서, 인문학과 사회과학뿐 아니라 자연과학에서도 해석이 중요하다. 대상에 중립적이고 순수한 접근은 불가능하며, 우리는 ‘합법적 편견’에서 출발할 수밖에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