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천 개의 찬란한 태양
할레드 호세이니 지음, 왕은철 옮김 / 현대문학 / 2007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마지막 책장을 덮은 지금, 나는 아무 말도 할 수 없다. 지도에서 찾아야 겨우 위치를 알 수 있는, 저 지구편 어디에서 오늘도 하루를 힘겹게 살아내고 있을 그들에 대해 감히 내가 한 마디 한다는 것은 너무나 주제넘는 일이다. 지금 그들의 가슴에 남아있는 것은 한 줌의 슬픔일까, 혹은 그 보다도 더 작은 희망일까. 아니면 그들의 삶에서 영원히 얻을 수 없을 것이라 생각되는 것에 대한 절망일까. 지금 내 가슴에는 슬픔과 어찌할 수 없이 휘몰아치는 복잡한 감정들만이 뒤섞여 있다.
이 이야기는 마리암과 라일라, 두 여자의 이야기다. 아니, 운명이 허락했다면 다른 모든 여자들이 빠짐없이 겪었을지도 모르는 삶의 이야기다.
나는 타지크 족, 너는 파쉬툰 족, 저 남자는 하자라 족, 저 여자는 우즈베크 족, 이러한 것들이 난센스지. 우리는 모두 아프간이야.
아프간. 이 하나의 말로 모든 사람을 설명할 수 있었던 그 나라에서 전쟁이 일어났다. 처음에는 소련의 침공으로. 그 다음에는 적군이 물러간 자리에서 한 나라의 국민들끼리. 마리암.아버지에게 부끄러운 자식이었고, 그 때문에 고향에서 먼 카불로 강제 시집을 보내졌다. 나이도 많고, 폭력적이고, 예의라고는 없는 구두장이 라시드에게. 라일라. 사랑하는 연인 타리크와 가족들이 있었지만, 결국 전쟁으로 인해 가족을 잃고 뱃속에 타리크의 아이를 임신한 채 홀로 남았다. 아이를 지키기 위한 마지막 수단으로 라시드의 두 번째 부인이 된다. 마리암의 거칠고 이기적인 남편 라시드의.
내 딸아, 이제 이걸 알아야 한다. 잘 기억해둬라. 북쪽을 가리키는 나침반 바늘처럼, 남자는 언제나 여자를 향해 손가락질을 한단다. 언제나 말이다.
두 여인의 삶에 참혹한 그림자를 드리운 건 전쟁이었지만, 그 고통을 더 심화시킨 것은 그녀들의 남편 라시드였다. 때때로 남자에게 있어 여자란 무엇일까를 생각하게 된다. 라시드에게 마리암과 라일라는 아들을 낳는 도구, 식사를 챙겨주는 식모, 청소와 빨래를 담당하고, 화가 날 때 때려도 괜찮은 하찮은 존재다. 우리의 보수적인 사상에도 아직 남아있지만, 여자는 남자의 부수물이라는 생각의 처음은 대체 어디였을까. 전쟁 속에 홀로 남겨진 여인들의 삶이 눈물로 얼룩져 있었어도 따뜻하고 다정한 남편이 있었다면 마리암의 삶은 어린시절의 아픔을 떨치고 행복한 인생을 보낼 수 있었을 것이고, 라일라 또한 잘못된 선택을 하는 일도 없었을 것이다.
사람 앞에 운명을 내려놓는 것은 신의 뜻이지만, 결국 그 운명의 방향을 결정짓는 것은 사람이다. 그 결정자가 자신이 아닌 다른 사람일 때 인생의 비극은 시작된다. 가끔 인터넷에서 접하게 되는 이슬람 국가에서의 여자들의 삶을 나는 단순한 기삿거리로 넘겨버렸다. 그 기사 속에서 가련한 여인들은 다른 사람 (남편, 부모, 형제)에 의해 결정된 삶을 살아내고 있었다. 나에게는 절대로 일어나지 않을 일. 나 아닌 다른 사람에게 일어난 일이니 그리 크게 신경을 쓰지 않아도 좋을 일이었다. 하지만 이제야 깨닫는다. 나에게도 일어났을지도 모를 사건이었다고. 내가 지금 이 자리에서 행복하게 웃고 있는 것은 내가 좋은 일을 해서가 아니라 어쩌면 그것은 단순한 우연에 지나지 않을 일이라고. 어쩌면 내가 그 곳에 태어났을지도 모를 일이었다고.
마리암과 라일라에게 있어 결국 [찬란하게 빛나는 태양]은 무엇이었을까. 어쩌면 서로가 서로에게 힘겨운 삶을 견뎌낼 힘을 주는 <찬란한 태양>이 아니었을까. 그리고 그녀들에게는 이제 그 빛을 오래도록 아프간에 비춰 줄 수 있는 두 명의 아이들이 있다. 아무도 그네들의 인생에 대해 이러쿵저러쿵 떠들 수는 없지만 마리암과 라일라, 결코 하찮은 인생이 아니었다고 말하고 싶다. 추억을 간직하고 끝없이 인내하며 결국은 사랑으로 모든 것을 승화시킨 아름다운 삶. 서로가 서로에게 의지가 되었던 성실했던 삶. 지도자가 되지 못해도, 신문에 시끌벅적하게 등장하는 유명인사는 되지 못해도 우리 모두의 인생은 충분히 찬란하게 빛날 가치가 있는 것이고, 그래야만 한다.
책을 다 읽은 지금도 쉽사리 책장에 책을 꽂을 수 없다. 여간해서는 별 다섯개를 주지 않는 내가 별 다섯 개를 주어도 아깝지 않은, 100개라도 주고 싶은 근래 읽은 책 중 최고의 책이다. 서평을 쓰기 시작하면서부터, 좋은 책은 쓸 말을 많게 하는 것이라고 생각했지만, 이 작품에 대해 더 이상 내 생각을 모두 말한다는 것은 불가능하다. 다만, 마음으로 느끼고 생각할 뿐이다. 책을 통해 배우는 세상은 허구의 아무 쓸모없는 것만 있는 것은 아니다. 이렇게 내 마음을 감동으로 적시고, 책과 관계된 세상에 대해 생각하게 되고, 급기야는 인터넷을 뒤져 아프간에 대해 조사하게 만드는 것. 진정한 문학의 힘은 여기에 있다. 오늘 나는 또 조금 성장한 느낌이 든다.
지붕 위에서 희미하게 반작이는 달들을 셀 수도 없었고 벽 뒤에 숨은 천 개의 찬란한 태양을 셀 수도 없었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