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헤드헌터
요 네스뵈 지음, 구세희 옮김 / 살림 / 2011년 7월
평점 :
제2의 스티그 라르손이라 불리는 작가가 있다면 귀가 솔깃해지는 사람들이 많을 것이다. <밀레니엄>시리즈로 엄청난 재미와 기대를 선사했다가, 계획했던 10부작을 끝마치지 못하고 생을 마감해 안타까움을 자아냈던 작가,님! 처음 <밀레니엄> 시리즈를 접하고 그 후편이 출간되기를 기다렸던 설레임은 북유럽 문학의 매력으로 나를 이끌었고 그의 죽음을 뒤늦게 알고나서는 한동안 마음이 허전했었다. 자칭타칭, 스티그 라르손의 이름을 걸고 북유럽 문학의 신성이라느니, 기대주라느니 하는 평가를 받아 출간된 책이 없었던 것은 아니지만 스티그 라르손만큼 내 마음을 사로잡는 북유럽 작가는 영원히 나오지 않을 것 같았다. 그런데, 그런데! 이 작가, 요 네스뵈에게는 조금은 기대를 해봐도 좋지 않을까!
북유럽 스릴러의 자존심, 제2의 스티그 라르손, 북유럽의 제프리 디버, 마이클 코넬리, 할런 코벤 등 화려한 별칭을 달고 다니는 이 남자, 노르웨이의 한 록 밴드에서 보컬을 맡고 있는 특이한 전력의 이 남자는(사진 꽤 멋지다!) 현재 북유럽에서 가장 인기 있고 잘나가는 스릴러 작가라고 한다. 그야 처음에는 나도 힘차게 콧방귀를 날려주었었다. 그런 사람들이 한 둘이었어야지! 하지만 호기심은 억누를 수 없는 법. 밑져야 본전이라는 마음으로 읽기 시작했는데, 발단 부분의 설명이 조금 자세하다는 것이 흠이라면 흠일 뿐, 기대 이상이라고 해도 좋을 정도.

주인공은 업계 최고의 헤드헌터 로게르 브론. 추천한 인재가 단 한 번도 채용 심사에서 거부당한 적이 없는 유능함을 자랑하는 데다, 아름다운 아내에게 갤러리를 선물할 정도로 능력있는 남자지만 그에게는 한 가지 비밀이 있다. 바로 유명한 미술작품을 훔쳐 팔아왔다는 것. 인생의 한 방을 노리는 그 앞에 클라스 그레베라는 거물이 나타나고 로게르는 언제나처럼 그가 가진 미술품을 훔쳐내는 데 성공한다. 그러나 그 순간부터 비틀리기 시작한 그의 운명. 동업자인 우베는 그의 차안에 쓰러져있고, 평생의 사랑이라 믿어 의심치 않았던 아내 디아나의 배신에, 진정한 '헤드'헌터에게 쫓기에 되는 로베르. 자신의 인생에 무슨 일이 일어났는지 알아내기 위한 그의 고군분투가 마치 한 편의 영화를 보는 것처럼 스피디하게 펼쳐진다.
앞서 언급한 것처럼 도입 부분이 조금 길다. 보통 작품의 경우 100페이지 정도면 갈등상황이 일어나기에 충분한데도 이 작품에서 100페이지는 여전히 시동을 걸고 있는 상태. 그 탓에 초반 집중력이 조금 흐려지기는 했지만 그 부분은 로게르의 성격과 일이 진행되는 과정을 찬찬히 이해하는 데 필요하기도 하다. 클라스 그레베의 미술품을 훔쳐내기 시작한 순간부터 높아진 긴장감은 작품이 끝날 때까지 그칠 줄 모르고 한 번 발동이 걸린 속도감은 순식간에 책을 읽어내기에 부족함이 없었다. 생각보다 잔인하고 구체적인 묘사들에 인상이 약간 찌푸려지기도 했지만 어느새 로게르에게 동화되어 현실에서라면 허세와 열등감으로 가득찬 도둑에 불과한 그를 응원하게 되는 자신을 발견하게 될 것이다.
한 가지 이해가 안 되는 점은 로게르의 아내 디아나의 인물설정이다. 그녀는 아이를 간절히 원하지만 그녀와는 달리 로게르는 아이를 원하지 않는다. 바로 그 '아이' 때문에 디아나가 사건에 개입하게 되는데, 아무리 그래도 어떻게 그런 말에 홀딱 넘어가 자신의 남편에게 그런 상황을 초래할 수 있는지는 잘 이해가 되지 않았다. 하지만 마지막 부분의 디아나의 대사는 꽤 마음에 남는다. -뭐든지 균형이 가장 중요해. 건전하고 조화로운 모든 관계에도 균형이 중요하거든. 죄책감의 균형, 수치심과 양심의 가책의 균형.-
사건이 발생하고, 위기에 몰리며, 상황을 파악하여 복수를 하고 일상의 평온한 자리를 되찾는 모든 과정을 거치며 퍼즐맞추기 같은 구성력으로 기대 이상의 재미를 보여주었지만, 아직은 조심스럽다. 그를 정말 제2의 스티그 라르손으로 인정할 것인지 아닌지는 다음, 혹은 그 다음 작품으로 결정되지 않을까. 다른 출판사에서도 곧 요 네스뵈의 작품을 만날 수 있을 듯 하니. 부디 그를 진정한 스티그 라르손의 후계로 인정할 수 있게 되기를 간절히 기대해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