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령 - 2011년 제7회 세계문학상 수상작
강희진 지음 / 은행나무 / 2011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최종 당선작으로 결정된 <<유령>>은 탈북자들의 소외를 리니지 게임과 연결시켜 서술한 점이 신선하고 흥미롭다. 기존 탈북자 소설들처럼 남/북, 탈북자/비탈북자를 대립시키지 않고, 현실과 가상현실, 자살과 타살, 탈북자와 다른 탈북자들 사이의 모호함과 구분 불가능성을 오히려 리얼하게 문제 삼은 점이 주목할 만하다.          -심사평 中

젊은 세대들에게 통일과 북한에 대해 어떤 생각을 가지고 있냐고 묻는다면 돌아오는 대답은, '잘 모르겠어요', '글쎄요' 정도가 아닐까. 고향과 가족이 북에 있는 사람들에게는 절실한 문제고 생각하면 안타까운 사연이 한 둘이 아니겠지만 대다수 사람들에게 북한과 통일은 '남일'과 같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 같다. 오랜 시간 떨어져 살아왔고 '먹고 살기 바쁜' 현대인들에게 그들은 이미 남과 마찬가지 아닐까. 탈북자들에 관한 기사가 등장해도 그 뿐, 그들이 어떤 모습으로 어떻게 우리와 살아가고 있는지 깊은 관심을 가지기란 어려운 일이다. 그 속에서 탈북자들에게 초점을 맞추고 그들에 관해 숙고하며 글을 써온 작가에게 쏟아진 관심과 심사평. 심사위원과 독자의 눈은 다를 수밖에 없겠지만 나에게 이 작품은 딱 저 심사평만큼의 작품에 지나지 않았던 것 같다.

 

탈북자인 하림은 현실에서는 소외된 계층에 현실마저 불투명한, 겨우 허우적대며 살아가는 힘든 인물이다. 그런 그가 자유를 맛보고 진정으로 살아있다고 느끼는 공간은 게임 속. 게임 '리니지'에서 그는 쿠사나기로 통하며 그와 그들 무리를 억압하는 무리에게 대항하며 혁명을 이끄는 멋진 전사들이다. 게임에 열중해 있는 하림 주위에는 같은 신세인 탈북자 후배들과 선배, 탈북자는 아니지만 한국 사회에서 소외당하고 살아가는 수많은 인물들이 기거한다. 하림이 몸담고 있는 하숙집, 음식점에서 만나는 사람들은 대부분 탈북자들. 게임에 너무 빠져들어 현실과 가상공간도 구분할 수 없게 된 어느 날, 하림과 가깝게 지냈던 회령아저씨의 안구가 동네 백석의 시비 밑에서 발견되고, 사건을 기점으로 탈북자들 사이에 감돌던 갈등과 긴장 등의 온갖 감정이 폭발한다.

 

심사평과 마찬가지로 소외당하는 탈북자들의 이야기를 리니지 게임과 연결시켜 서술하는 점은 독특하다. 남북 사람들의 대립이 아니라 탈북자들 사이에 존재하는 그들만의 갈등을 그린 것도 신선한 관점이었는데, 문제는 그리 재미는 없다는 걸까나. 탈북자들의 문제를 '재미'로 보려고 하느냐 한다면 100% 그런 것만은 아니고 여기에서 말하는 재미는 조금 다른 유형의 재미다.  가벼운 장난같은 재미말고 이야기 자체에서 뿜어나오는 재미. 문학이란 그런 심오함과 동시에 재미도 추구해야 하는 게 아닐까. 탈북자 문제에 대해 진지하게 고민하고 그들의 삶에 대해 연구하고 싶다면 인문서적을 읽으면 된다. 다만 그 인문서적이 너무 어려워 많은 사람들에게 공감을 얻지 못하기 때문에 문학이 나서는 것이다. 그런데 그런 문학에서마저 작품으로서의 재미없이 이야기를 구성해나간다면 인문서적과 다를 게 뭐가 있을까나.

 

작가가 무엇을 이야기하고자 하는지는 충분히 전해져 온다. 하고 싶은 이야기가 참 많기도 할 것이다. 오랜 시간 준비해 온 사람으로서 얼마나 많은 조사과정을 거쳤고 머릿속에서 수십번의 구상을 했을 것이다. 하지만 그 하고 싶은 이야기가 너무 많이 쏟아져 나온 것은 아닐까. 탈북자들 사연 하나하나, 탈북해서 그들이 느끼게 된 또 다른 삶에 대한 허무함 등을 그리려 한 것은 괜찮았지만 여기에 살인사건까지 가미한 것은 너무 이어붙인 느낌이 들어서 나는 좀. 이런 저런 하고 싶은 이야기가 정리되지 않고 '그냥 이렇다!' 라고 펼쳐보인 것만 같은 느낌이 들어 아쉬웠다.

 

매번 '~문학상' 을 받았다고 하면 당연히 관심이 간다. 상금이 어마어마하니까. 그런 어마어마한 상금을 받을만한 작품이란 과연 어떤 작품일까, 무척 궁금하다. 그런데 읽어서 확 붙지 않는 이야기를 접하다보면 내가 아직 부족한 것인지, 심사위원과 독자의 눈이 다른 것인지 알쏭달쏭할 때가 많다. 다른 독자들에게는 어땠을지 모르겠지만 이 작가가 나에게 중요한 작가가 되기 위해서는 이 다음 작품이 무지무지 중요하다. 두 번째까지 나에게 확 붙지 않으면 뭔가 맞지 않는다는 거니까. 세상에는 재미있는 책이 무척 많으니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