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데몰리션 엔젤 ㅣ 모중석 스릴러 클럽 28
로버트 크레이스 지음, 박진재 옮김 / 비채 / 2011년 7월
평점 :
가슴에 상처를 안고 살아가는 수사관이 있습니다. 사랑하는 사람을 잃은 마음의 상처, 커다란 수술자국을 남긴 폭탄상처. 둘 중 가장 큰 상처는 말할 필요도 없이 사랑하는 사람을 잃은 마음의 상처겠죠. 하지만 수사관은 그 위험한 현장으로 다시 돌아가고 싶어합니다. 폭탄을 만지고 해체하는 과정을 통해 만족을 얻어요. 그 사람을 보며 저는 참 이해할 수 없는 사람이다 싶었습니다. 매순간 목숨을 내놓고 임무에 돌입해야 하는 그 상황을, 저라면 견딜 수 없을 것 같거든요. 제가 너무 겁이 많고 편안하고 안정된 상황에서 벗어나고 싶지 않기 때문인걸까요? 하지만, 실제 그런 임무를 해내는 사람들이 어떤 생각을 하든, 작품 속 주인공들은 그럴 수도 있겠다 싶습니다. 아시다시피 주인공들은 크게 다칠지언정 쉽게 죽지는 않으니까요. 에헴. 아, 앞에서 소개한 우리의 주인공 수사관은 캐롤 스타키, 강인하면서도 여린 여수사관입니다.
이야기는 캐롤의 동료였던 찰리 리지오가 폭탄을 해체하려는 장면에서 시작됩니다. 긴장감, 불안한 예감은 어김없이 들어맞아서 찰리 리지오는 해체 과정 중 죽음을 맞죠. 폭탄의 성분, 모양 등을 분석하던 중 폭파범을 뒤쫓던 잭 펠 요원이 등장하여 범인의 정체는 미스터 레드라는 정보를 제공, 스타키와 펠 요원은 티격태격 알콩달콩 사건을 수사하기 시작합니다. 전체적으로는 3인칭 시점이지만, 펠 요원과 미스터 레드의 관점도 종종 등장해서 그들의 심리와 앞으로의 상황 등을 예측하기가 어렵지 않았어요. 죽음과 다른 이의 고통에 환상을 가지고 잔혹함을 즐기는 미스터 레드는 요즘 자주 듣게 되는 사이코패스의 전형적인 모델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그 외 여러 경찰인물들이 등장하면서 과연 이 이야기가 어떻게 흘러가게 되는가 촉각을 곤두세우게 되는 스릴러 소설입니다.
이해 안 되는 것이 당연하다고 생각되면서도, 어째서 작품 속 폭파범들은 하나같이 폭탄에 열중하고 있는 걸까요? 심지어 자신의 손가락 몇 개를 희생하면서까지 말이에요. 실제로도 그런 것인지도 모르겠고 알고 싶지도 않지만 스릴러 소설 속 범인들의 마음은 하나같이 이해하기 어려운 것 투성입니다. 아, 이해가 되면 큰일나는 건가요. 그런 인물들을 창조해내기 위해 작가가 조사에 엄청 공을 들였다는 점은 앞부분만 봐도 느낄 수 있습니다. 사실 앞부분은 이해하기 어려운 폭탄 용어도 나오고 폭탄의 성분들이 등장하는 바람에 머리가 혼미해지긴 했어요. 하지만 사건의 줄기를 따라 작품속으로 빠져들면 마치 한 편의 화려한 액션영화를 보는 것 같은 느낌에 읽는 속도가 빨라집니다. 물론 이런 소설에 등장하는 반전과 범인과의 한판 대결, 그야말로 현실에서는 볼 수 없는 살아남기 장면도 빼놓을 수 없겠죠. 또 서로에게 끌려 결국 사랑하게 되는 수사관들도요.
저는 주로 줄거리에 집중해서 책을 읽는 편이기는 하지만, 이 작품에서는 약간 번역의 아쉬움을 느꼈다고 할까요. 뭔가 문장이 정리되지 않은 느낌이 살짝 들었어요. 그리고 표시를 제대로 해놓지 않아서 어디인지 지금은 못찾겠지만 문맥상 도저히 이해가 되지 않는 부분도 한 군데 있었습니다. 저는 문장 쪽으로는 그리 까다로운 사람이 아닌데 그런 제가 몇 번씩 읽어도 이해가 되지 않는 문장과 문맥이라면 그건 확실히 문제가 있는 거라고 생각합니다. 나중에 발견하면 첨부하도록 할게요. 어쨌든 열대야에 허덕이는 여름밤, 한 편의 뜨거~운 액션을 즐기고 싶은 사람이라면 즐겁게 읽을 수 있는 그런 소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