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유산 - 대한민국의 오늘을 만든 마흔다섯 가지 힘
KBS 한국의 유산 제작팀 지음 / 상상너머 / 2011년 7월
평점 :
절판


이 책으로 말할 것 같으면, 별 다섯 개를 백만 번은 줘도 모자라는 책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안타깝게도 2010년 1월부터 시작되었다는 방송을 전 단 한 차례도 보지 못했지만 그나마 다행인 것은 이렇게 책으로라도 만날 수 있었다는 점, 더더욱 다행인 것은 책 맨 뒤에 초판 한정으로 DVD가 붙어있다는 점입니다.  한국의 유산, 하면 떠올리기 쉬운 딱딱함과 어려움, 왠지 풍겨나올 것 같은 옛것의 고리타분함이 아니라 아끼고 지켜나가야 할 가슴벅찬 우리의 유산들이 여기에 있습니다. 그리고 그 유산을 지키기 위해 노력해 온 수많은 사람들도요. 전 읽는 내내 이렇게 좋은 책은 많은 사람이 읽어야 할텐데 걱정 아닌 걱정까지 했답니다.

 

책을 읽으면서 가장 많이 든 생각은 '우리는 참 어리석구나'였습니다. 우리의 소중한 유산을 길거리에 굴러다니는 돌멩이 취급하고, 빼앗겼는지 어쨌는지, 돌아왔는지 없어졌는지도 모른 채 그저 살아가고 있다는 것이 부끄러웠어요. 창경궁 추녀 밑에 버려져 오래된 돌덩이로 여겨졌던 <천상열차분야지도>도, 원본은 커녕 후대에 제작된 모사본조차 모두 일본에 있어 그것을 다시 어렵게 모사한 <혼일강리역대국도지도>도, 2001년 10월 쓰레기 더미에서 발견된 우리나라 최초의 조리서 <산가요록>도 여차하면 그저 폐기처리가 되었을 유산들이죠. 수많은 전쟁을 겪어 다른 나라로 강제 반입된 문화재도 많지만, 현재 우리는 그러한 유산이 얼마나 되는지 다 파악하고 있는 걸까요? 돌아올 수 있을지 없을지 관심이나 가지고 있었던 걸까요? 세계 강국으로 떠오른다는 우리 대한민국이 선조들의 유산에 대해서는 너무 무관심한 듯 해 제 자신도 부끄럽고 마음이 아팠습니다.

 

이 책은 한국의 유산을 기록유산, 인물유산, 문화유산으로 나누어 전부 45가지의 유산을 소개하고 있습니다. 수난의 역사에서 살아남은 <팔만대장경>, 500년 역사의 기록 <조선왕조실록>, 유학생 신부의 눈에 띄어 고국으로 돌아올 수 있었던 <겸재 정선 화첩>, 광복의 희망 속에서 써내려간 <제시의 일기>, 우리말의 소중함을 일깨워주는 <조선말 큰 사전 초고>, 명문가 출신으로 독립운동에 뛰어든 <이회영>과 위대한 시인 <윤동주>와 그의 시를 편찬해낸 <정병욱>, 전통적으로 내려오는 <매사냥>과 <강강술래>에 <무령왕릉>과 같은 문화재들까지 그 동안 알지 못했던 사람들, 모르고 지나쳤던 유산들에 대해 들여다보는 시간을 가질 수 있었습니다. 진부한 표현이지만 정말 값진 시간이었어요.

 

어쩌면 그냥 스치고 지나가 한낱 먼지가 되었을지도 모를 유산들을 지켜낸 것은 안타깝게도 '개인'이었습니다. 1927년 프랑스 국립중앙도서관에서 역사학자 박병선의 눈에 띄어 오랜 시간에 걸쳐 우리 품으로 돌아온 <직지심체요절>도, 80년만에 고국으로 돌아온 <겸재 정선 화첩>을 발견한 선지훈 신부도, 전쟁의 화마에 휩싸여 사라질뻔한 <조선왕조실록>도 사비를 털어 목숨을 건 안의와 손흥록이 있었기에 지금 우리에게 전해질 수 있었던 겁니다.

 

부끄럽지만 저조차도 우리의 유산을 그리 소중하게 생각하지 않았던 것 같습니다. 여행이나 유적도 타국의 것만 신비하고 대단하게 보였죠. 하지만 우리의 유산을 지키기 위해 노력한 사람들의 모습을 보니 문화강국이 되기 위해서 우리가 얼마나 노력해야 하는지 깨닫게 되었습니다. 이제는 개인의 노력이 아니라 우리나라 전체가 세계 곳곳에 퍼져있는 우리의 유산을 되찾을 수 있도록 눈을 크게 떠야 할 때가 아닐까요. 우리의 유산과 유적에 대해 소중한 마음을 가져야 한다는 점은 말할 필요도 없겠죠.

 

길지도 않은 1분의 영상. 그 영상이 저에게 전하고자 했던 것들을 저는 우리 아이들에게 전하고 싶습니다. 공부도 중요하지만 우리에게 소중한 것이 여기 있다, 한국의 혼이 담긴 것들이다, 자랑스럽게 이야기해주고 싶어요. 우리문화와 역사에 대한 자긍심, 학교 공부만으로는 키워지기 어려운 그 자부심을 길러줄 수 있는 소중한 기회가 될 거라 생각합니다. 자꾸만 자극을 받는 요즘, 그 어느 때보다 그런 마음이 필요하리라 여겨집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