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최소한의 사랑
전경린 지음 / 웅진지식하우스 / 2012년 7월
평점 :
품절
가장 최소한의 것들을 지키지 못해 세상엔 이토록 많은 고통과 상처가 얽히는 것이다.
멀리 남쪽에서 이 곳으로 온 여자는 단지 동생을 만나러 왔을 뿐이다. 의붓동생, 새엄마의 딸. 어린 마음에 그 아이로 인해 자신의 자리가 위협받는다 여겼고, 그래서 옳고 그름을 따질 여유없이 그렇게 했다. 그러나 그 때는 몰랐었다. 그 일이 이토록 평생, 그녀의 뒤를 따라다니고 마음을 짓누르며 그녀의 인생 전체에 영향을 끼치게 될 줄은. 특별히 동생을 생각하며 산 것은 아니었으나 새엄마의 죽음은 여동생을 다시 그녀의 기억 속으로 불러들였고 남편과 소원해지고 딸마저 자유롭게 훨훨 날아간 지금, 그녀는 동생의 집에서 동생을 생각하며 기다리고 있다. 무언가를. 누군가를.
첫 문장을 읽고 그 다음 문장을 읽어내리기가 왜 그리도 어려웠는지. 아마도 처음부터 요양원이 등장했기 때문일 것이다. 행복하지 않은 주인공, 우울한 분위기, 상실의 고통. 내 마음은 아직도 어린아이라서 아프고 힘든 부분은 책이라도 쉽게 넘겨버리지 못한다. 어쩌면 책이기 때문에 더. 책만큼은 나의 의지로 선택한 것이므로 슬픔과 괴로움에 닿고 싶지 않았을지도 모른다. 그런데. 이 책 재미난다. 크게 자극적이지도 않고 엄청난 소설적 장치가 들어있는 것도 아닌데 손에서 책을 놓을 수가 없었다. 그녀가 동생이 사는 곳에 발을 딛고 생활하는 시간들, 그 시간들 속에서 만나게 된 사람들, 그리고 종내는 만나게 될 여동생에 대해 호기심이 생겼고, 모든 것을 내려놓은 듯한 그녀가 과연 자신의 인생을 어떻게 꾸려나갈 지 궁금했다.
이 작품은 굳이 정의하자면 '치유의 책'이다. 적어도 나에게는 그렇게 느껴졌다. 그녀는 동생이 살고 있는 도시에 머물며 아무 일도 하지 않는다. 그저 흘러가는 물처럼, 바람에 흔들리는 나뭇가지처럼 자연스럽게 그곳에 동화될 뿐. 성스럽게 추앙받는 성모상은 그녀에게 죄책감의 상징이고, 마음 한 켠에 새겨진 주홍글씨이며, 최소한의 도리를 다하지 못한 벌이었다. 그런 그녀가 반짇고리 노인을 만나고, 고양이 칠월을 만나고, 세상만사 상담소의 상담사를 만나고, 동생의 지인들을 만나며 동생을 맞아들일 준비를 한다. 아무런 꿈도 없던 미래에 그녀의 흔적을 벌써부터 남겨놓은 채.
일본문학에서 엿볼 수 있었던 형식에 우리의 정서를 담아낸 따스한 작품이다. [최소한의 사랑]이라는 제목처럼 작품 안에는 간간히 '최소한'이라는 단어가 등장한다. 그녀가 만나는 사람들의 모습도 그러하다. 최소한. 그녀의 인생에 들어오기는 하지만 최소한의 선을 넘지 않고, 그녀에게 연정을 품었던 대학 동기조차 과도한 표현으로 그녀를 괴롭히지 않는다. 그저 거기 있으니 존재할 뿐, 서로에게 영향을 주기는 하지만 마음을 불편하게 하지 않는 정도로. 인간관계에서 스트레스를 받게 되는 우리로서는 감히 상상할 수도 없는 그런 세계였는데, 마치 유토피아 같으면서도 실제로 존재할 듯한, 아무것도 아닌 듯 하나 굉장히 마음이 든든해지는 그런 세상이었다.
최소한이라는 단어는 '아주 조금'이 아닌 '당연히 지켜야 할' 로 귀결된다. 사랑에서, 인연에서, 생활 속에서. 억지로 큰 것을 얻으려 하지 않고 최소한의 것을 바라며 최소한을 다해 살아가는 사람들의 세상. 아름답지 않은가. 많은 사람들이 원하는 힐링은 최소한에서부터 시작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