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뿔 ㅣ 모중석 스릴러 클럽 32
조힐 지음, 박현주 옮김 / 비채 / 2012년 8월
평점 :
품절
대박입니다! 완벽해요! 짝짝짝! 예전 조 힐의 작품을 읽었을 때는 그 기괴함에 놀라서 다시는 보지 못할 작가라고 생각했었습니다. 스티븐 킹의 아들이기 때문에 그 평가 기준이 더 높아졌기 때문일 수도 있었겠죠. 그러나 그것과는 별개로 작품의 분위기가 제가 별로 좋아하지 않는 스타일이었어요. 영화 <드래그 미 투 헬>같은 그런 분위기라고 할까요. 그래서 [뿔]도 그런 성향이면 어쩌나 조마조마했는데, NO!! 어느 부분에서는 그런 분위기를 풍기고 있다 해도 이번 작품은 구성이나 인물, 이야기 전개 그 어느 것 하나도 흠 잡을 데 없는 완벽한 소설인 것 같습니다. 어쩌면 조 힐은 이런 말을 듣기 싫어할지도 모르지만 -스티븐 킹의 아들다운- 굉장한 작가라고 할까나요. 역시 사람은 오래 두고 볼 일입니다.
어느 날 아침 일어나 보니 벌레로 변해 있었다는 카프카의 [변신]과 유사한 첫 장입니다. 술에 취해 잠들었다 일어나보니 머리에 뿔 두 개가 생겨난 남자, 이그나티우스 마틴 페리시. 약칭 이그 페리시라 불리는 남자는 어느 날 아침 세면대 거울을 통해 변신한 자신의 모습을 발견합니다. 그런데 이 뿔, 정말 기가 막힙니다. 사람들로부터 듣기를 원하지 않았던 온갖 더럽고 추악한 말들을 뱉어내게 할 수 있거든요. 사람들이 자신의 마음 안에만 담아놓고 타인에게는 절대 밝힐 수 없는 어두운 비밀들을요. 이그는 여자친구 메린을 강간하고 살해한 혐의로 기소되었지만 풀려난 전력이 있는 남자로, 그 일로 인해 매우 오랫동안 괴로워하고 있었습니다. 이제 이그는 뿔을 통해 사람들로부터 진실을 듣고 기묘한 체험을 하며 진범을 처단합니다. 신이 아닌 악마의 이름으로.
이 작품은 섬뜩한 스릴러이자 굉장한 러브 스토리입니다. 이 작품을 영화로 만들고 있는 감독 알렉산드르 아야도 -세상의 모든 죄와 벌에 대한 가장 신선한 접근이며 인간의 악마성을 드러내는 폭로이자 마음을 울리는 러브 스토리이다-라고 소감을 밝혔는데요, -마음을 울리는 러브스토리-라는 부분에서 절대 공감합니다. 그리고 그 사랑은 이그의 살해된 여자친구 메린으로 완성되죠. 반전으로 밝혀지는 그녀의 사랑 앞에 저는 그만 별 다섯 개를 미련없이 주었답니다.
어떻게 보면 기독교인이나 천주교인들에게는 신성모독으로 비춰질 수도 있는 이 작품은, 과연 우리 세상에서 진정한 악마란 무엇인가에 대해 진지하게 묻고 있습니다. 뿔이 자라나고 코에서 연기를 내뿜으며 불에 타도 죽지 않는, 그야말로 완벽한 악마의 형상을 하고 있는 이그가 정말 악마인지, 악마보다 더한 악마같은 인간성의 사람이 사실은 진짜 악마가 아닌지에 대해서요. 때문에 -그렇게 인간과 악마가 같이 누워있는 잠시 동안 옛날 주물 공장은 고요했다. 어느 쪽이 인간이고, 어느 쪽이 악마인지는 아마도 신학적 논의의 문제가 되겠지만-이라는 문장은 굉장히 의미심장합니다.
해피엔딩을 사랑하는 저로서는 당연히 이그가 행복해지기를 바랐습니다. 어쩌면 이 모든 것은 꿈이고 한순간 꿈에서 깨어나보니 메린은 여전히 이그의 곁에서 사랑스러운 미소를 보내고 있고, 이그가 그 미소를 보며 행복해하는 장면이 마지막이 아닐까 조금 기대했어요. 그런데 역시 조금 뻔했는지, 색다른 결말을 보여주네요. 어쩌면 해피엔딩일 수도 있고 어쩌면 아닐 수도 있는. 저는 나름대로 이그에게 있어 해피엔딩이라 결정지으렵니다. 굉장한 재미와 울림을 주는 [뿔]. 이제 스티븐킹의 아들이라는 수식어 없이도 혼자서 훨훨 날게 된 조 힐의 다른 작품들을 주시해야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