염매처럼 신들리는 것 블랙 앤 화이트 시리즈 44
미쓰다 신조 지음, 권영주 옮김 / 비채 / 2012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저, 이 책 읽을 때 주위 사람들의 이상한(?) 시선에 조금 민망했다고 할까요. 제목에 '~신들리는 것'이라는 말이 있다보니 워낙 많은 분들이 이 책은 대체 어떤 책이냐 물어보시더라고요. 타인에게야 그저 미스터리 소설이라고 얘기하면 끝났는데, 어무니는 이게 정말 미스터리 소설이 많느냐는 시선으로 왜 너는 맨 미스터리만 읽느냐고, 오랜만에 한 소리 들었습니다. 헤헷. 미스터리만 읽는 것은 아닌데요;; 이것저것 읽지만 특히 좋아하는 분야가 미스터리일 뿐인 거랍니다! -0- 저는 연애소설도 좋아하고 판타지도 가끔 읽고 국내 작품, 일본 문학도 좋아해요. 재미난 거라면 뭐든 ok. 어쨌든 이 책은 공공장소에서 떡하니 펼쳐놓고 읽기에는 조금 어려웠던(?) 작품이라고 할까나요. 

 

미쓰다 신조의 '~처럼 ~인 것' 시리즈의 최고참 작품입니다. [잘린 머리처럼 불길한 것]과 [산마처럼 비웃는 것]을 먼저 읽은 저로서는 앞의 두 작품, 특히 [잘린 머리처럼 불길한 것]은 굉장히 충격적이었지만 이 [염매처럼 신들리는 것]은 그 충격의 최고봉이라고 말씀드리고 싶습니다. 사실 저는 그 동안 일본요괴에 대해 무섭다기보다는 귀엽다는 인상이 강했어요. 요괴여도 인간들 주위를 맴돌며 그들이 난관에 봉착했을 때 도움을 주는 아기자기한 소설들을 접했기 때문일까요. 그런 귀여움과 깜찍함(?)에 물들어있던 저에게 이 작품은 일본 요괴가 얼마나 무서운 것인지 새삼 일깨워주었답니다. 일본 공포영화는 <주온>이후로 보지 않았는데 그 <주온>만큼 아주아주 무서운 소설이었습니다.

 

시리즈의 주인공인 도조 겐야가 역시 주인공. 탐정이었던 아버지의 자유로운 영혼을 물려받은 그가 이번에 발을 내디딘 곳은 가가구시촌입니다. 사람들이 염매라고 부르는, 신이지만 굉장히 두려워하는 존재와 얽힌 행방불명 사건들, 그리고 이어지는 살인사건들. 한 집안에 전해 내려오는 전통이 오랜 시간에 걸쳐 어떻게 변색될 수 있는지, 신을 향한 인간의 잘못된 욕망이 얼마나 많은 사람들의 삶에 비극을 불러오는지 보여주는 이야기에요. 미스터리하다기보다 괴기스럽고 호러적인 색채가 강한 작품이라고 할까요. 부르르.

 

한편 이번 작품은 미쓰다 신조 작가의 똘똘함과 강한 탐구심이 반영된 것 같습니다. 머리속이 빙빙 돌 것 같은 마계신화와 수많은 민간전승들이 체계적으로 정리되어 있을 뿐 아니라 사건의 배후를 밝히는 과정도 어찌나 복잡하던지요. 이렇게 생각하고 저렇게 생각하며 결말을 만들어내야 했을 그의 노력과 천재성에 절로 감탄이 새어나왔습니다. 그럼에도 끝까지 놓치지 않는 그 호러 분위기란! 전 책을 읽는 며칠 동안 잠을 제대로 못잤습니다. 머리맡에 책을 놓아두는 것만으로도 무서워서 발로 저 멀리 밀어놓고 잠자리에 들었는데 꿈 속까지 따라오지 뭡니까! 지금까지 본 시리즈 중 가장 무섭고 충격적인 작품임에는 틀림없습니다만, 저처럼 겁이 많고 무서운 것을 보면 잠을 잘 못이루는 분은 조심해서(?) 읽으시길 권유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