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보이지 않는 도시들 ㅣ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138
이탈로 칼비노 지음, 이현경 옮김 / 민음사 / 2007년 2월
평점 :
'마르코 폴로가 자신이 사신으로 방문했던 도시들을 쿠빌라이 칸에게 묘사했을 때 칸이 그의 말을 모두 믿은 것은 아니었다'
라는 문장으로 이 책은 시작된다.
이 책에는 수많은 도시들이 나온다. 바로 마르코 폴로가 쿠빌라이 칸에게 묘사해주는 도시들이다.
모두 우리의 지도에서 찾을 수 있는 도시들이 아닌, '보이지 않는 도시들'.
도시와 기억, 도시와 욕망, 도시와 기호들, 도시와 교환, 도시와 이름, 도시와 눈들, 도시와 죽은 자들, 도시와 하늘, 섬세한 도시들, 지속되는 도시들, 숨겨진 도시들……
여러 성격에 따라 수많은 도시가 묘사되지만, 어쩌면 그 모든 도시들은 하나일 수도 있고, 같은 도시의 다른 이름, 다른 도시의 같은 이름일지도 모른다.
이야기는 처음에는 쉽게 읽히지 않았다. 요즘 계속 읽어오던 소설들과는 확실이 무언가 다른 느낌, 다른 구성의 글이어서, 이야기가 시작된 것인지, 아니면 이야기 시작 전에 배경이 되는 도시를 묘사하고 있는 것인지 감도 잡지 못하고 얼만가를 더 읽어 갔다.
그리고 이 이야기의 주인공은 마르코 폴로와 쿠빌라이 칸이 아니라 이 이야기 속에 묘사되는 수많은 도시들임을 깨닫고서야 나는 비로소 '정상궤도'에 진입해 다음 이야기를 읽어나갈 수 있었다.
그리고 그 수많은 '주인공'들의 매력에 정신없이 빠져들었다.
도시들에 대한 묘사와 묘사를 이루고 있는 문장들이 모두 내 마음을 사로잡았다.
책을 읽는 중에도 계속해서 머릿속으로 이 책의 제목에 빨간 밑줄을 긋고 별표를 잔뜩 그려두었다.
꼭 다시 읽어 볼 책, 두 번 읽고 세 번 읽고 계속계속 읽어보고 싶은 책,이라고.
책을 얼마 읽기도 전에 지인들에게 '강추' 문자를 보내고 싶은 마음이 드는 책이 있다.
이 책이 바로 그랬다. 나의 온 마음과 정신이 이 책 안으로 빨려 들어가는 기분?
무척 마음에 드는 책을 만나 기쁘고 또 기쁘다.
_ 도시는 기억으로 넘쳐흐르는 이러한 파도에 스펀지처럼 흠뻑 젖었다가 팽창합니다. 자이라의 현재를 묘사할 때는 그 속에 과거를 모두 포함시켜야 할 것입니다. 그러나 도시는 자신의 과거를 말하지 않습니다. 도시의 과거는 마치 손에 그어진 손금들처럼 거리 모퉁이에, 창살에, 계단 난간에, 피뢰침 안테나에, 깃대에 쓰여 있으며 그 자체로 긁히고 잘리고 조각나고 소용돌이치는 모든 단편들에 담겨 있습니다.(18)
_ 사실 제노비아를 행복한 도시로 분류해야 할지 불행한 도시로 분류해야 할지 결정하는 일은 무의미합니다. 그런식으로 도시들을 둘로 나누기보다는, 여러 해가 흐르고 변화를 거듭해도 욕망에 자신들의 형태를 부여하기를 계속하는 도시와, 욕망에 지워져버리거나 욕망을 지워버리는 도시, 이렇게 두 종류고 나누는 편이 더 의미가 있습니다.(48)
_ 젬루데 시는 그것을 바라보는 사람의 기분에 따라 형태가 바뀝니다. 만일 도시를 지나가면서 휘파람을 불다가 얼굴을 들면, 폐하계서는 아래에서 위로 도시를 보실 수 있습니다. 창턱, 바람에 날리는 커튼, 뻗어 나오는 분수의 물줄기가 보일 겁니다. 만일 고개를 숙이고 주먹을 꽉 쥐고 걸어간다면, 폐하의 시선은 땅바닥과 개울, 하수구 뚜껑, 생선 비늘, 종이 쓰레기 들에 머물게 될 것입니다.(84)
_ 기억 속의 이미지들은 한번 말로 고정되고 나면 지워지고 맙니다. 저는 어쩌면, 베네치아에 대해 말을 함으로써 영원히 그 도시를 잃어버릴까 봐 두려웠는지도 모릅니다. 아니면 다른 도시들을 말하면서 이미 조금씩 잃어버렸는지도 모릅니다.(113)
_ '살다 보면 자기가 알고 지냈던 사람들 가운데 산 사람보다 죽은 사람들이 더 많아지는 날이 찾아오게 돼. 그러면 마음은 다른 얼굴, 다른 표정들을 받아들이기를 거부하지. 새로운 얼굴을 만날 때마다 거기에 옛 형상을 새기고 각 얼굴에 가장 적당한 가면을 찾게 되지.'(122)
_ 살아 있는 사람들의 지옥은 미래의 어떤 것이 아니라 이미 이곳에 있는 것입니다. 우리는 날마다 지옥에서 살고 있고 함께 지옥을 만들어가고 있습니다. 지옥을 벗어날 수 있는 방법은 두 가지입니다.(*. 궁금하면 읽어보세요~! 옮기자니 길어서;;)(207~2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