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고령화 가족
천명관 지음 / 문학동네 / 2010년 2월
평점 :
이마에 '우리 가족 잘못 건드리면 큰일 날 줄 알아!'라고 쓰여 있었다.
책 표지 가족들 말이다.
동네 어르신들이 빌라 앞 소파에 앉아 수근거리는 이야기를 빌리자면,
쥐 잡아 먹은 거모냥 입술 시뻘겋게 칠하고 다니는 여편네와, 가막소를 수도 읎시 드나든 새끼 밴 도야지 같은 놈과, 북어대가리같이 비쩍 마른 마약쟁이와, 화냥기가 있어서 사내라면 죽고 못 사는 년과, 지 에미 닮아 벌써 싹수가 노란 딸내미가 그 가족 구성원이다.
이들이 좁디 좁은 302호에 모여 함께 살게 되었다. 평균 나이 49세를 기록하며.
아니, 근데 저것들은 낫살이나 처먹고 무슨 웬수가 져서 아직까지 늙은 지 에미 등골을 뽑아먹고 있댜?(49)
멀쩡한 사람이 하나도 없는 집구석의 이야기라기에 간단한 흥미거리 말고 뭐가 있겠는가 싶었다. 그래도 천명관 작가의 작품이니 입담 하나는 구성지겠지. 그래 천명관 작가의 손끝에서 탄생한 콩가루 집안 이야기는 어떤가 구경이나 해볼 요량이었는데, 읽다보니 내가 구경을 하는 건지 그 가족 구성원이 되겠다는 건지...
'이눔의 집구석' 이야기에 공감을 하면 이건 어찌 되는 건가? 알고보니 우리 집도 '이눔의 집구석'과 다를 바 없었더란 말인가?
물론 우리 집은 이 엄청난 아우라를 내뿜는 집안과 많이 다르다. '가막소' 들락거린 자식도 없고 마약쟁인지 알코올중독자인지도 없고 바람피고 남편한테 쫓겨난 딸내미도 없고 담배 피우다 들켜 삼촌에게 '삥 뜯기는' 조카도 없고 왕년에 사랑의 불꽃에 휩싸여 가족들 버리고 도망갔던 엄마도 없고 말이다.
그런데도 이 가족의 어떤 모습들에서 우리 가족의 모습을 찾게 되고, 저 멀리 뒷짐 지고 서 있던 나는 좀 더 그 가족들 이야기에 귀 기울이며 다가갈 수밖에 없었다.
우리 언니 손전화에는 내가 '이교수님'으로 저장되어 있다. 가끔은 그렇게 나를 부르기도 한다. 나는 언니 손전화에 내 이름이 '이교수님'으로 뜨는 걸 생각하는 것 만으로도 손발이 오그라들고 남들 앞에서 그런 호칭으로 나를 부를 때면 당장 그 입을 틀어쥐고 싶어진다(아마 이 책 속 '오감독'도 마찬가지 심정이었을지도 모른다). 내가 진짜 '교수님'이었으면 그렇게까지 정색할 이유가 뭐가 있으랴. 문제는 내가 일주일에 한 번 강의 나가는 시간 강사일 뿐이라는 거지. 알아주지도 않는 지방 대학의 시간 강사 동생을 두고 "대학 교수님이에요~"라고 말하는 언니와 영화 한 편 찍고 완전 망해 먹어 십 년째 '백수'에다 이제는 알코올중독까지 되어버린 동생을 '오감독'이라고 부르는 오함마의 모습이 겹쳐졌다. 겨우 시간 강사 하는 걸 가지고 교수님 대접을 받고, 달랑 영화 한 편 찍고 망해먹은 걸 가지고 감독님 대접을 받고, 에잇 정말 변변치 못한 집안인 게 닮았다.
'나'가 스스로에 대한 모든 희망을 버리고 나락으로 빠져들고 있는 때에조차 가족들은 그에 대한 희망을 버리지 않고 있는 것도 우리 집과 닮았다. 겉으로 내색은 안해도 다들 '오감독'이 다시 영화를 찍고 영화 감독으로 성공하기를 속으로 바라고 있었을 거다. 어머니의 유품으로 '나'의 영화 포스터가 잘 접혀 보관된 채 발견된 것도 그렇고, 급하게 한국을 떠나면서 진지하게 "오감독"이라고 부르는 오함마의 말투에서도 그들이 '나'에 대한 희망의 끈을 끝내 버리지 않았음이 느껴졌다. 언젠가는 영화 감독으로 대성하리라 믿고 있는 거겠지. 우리 가족들이 내가 번역가로 대성하리라고 믿고 기다리고 있는 것처럼. 언젠가 남동생이 '우리 둘째 누나는 통역사예요'라고 말할 때 무척 자랑스럽다는 이야기를 한 적이 있다. 나도 한때는 통역사였지. 안타깝게도 '나'가 첫 영화 말아먹고 실의에 빠져 허송세월 한 것처럼, 나도 어느 날 맡았던 동시통역 하나 말아먹고 실의에 빠져 다시는 통역 부스에 들어가지 않겠다고 다짐하고 말았다. 요샌 통역 안 나가느냐는 가족들에게 이젠 번역만 할 거라고 말해 두었지만, 그때 상실된 자신감은 번역으로도 이어져 나는 어디에도 이력서도 넣지 않고 있다. 그러니 번역 일인들 많을 턱이 없다. 그래도 가족들은 내 이마에 '나 번역 중이야'라고 쓰여 있는 날은 집안 일도 안 시키고 얼른 들어가 일 하라고 배려해 준다. 무슨 대단한 번역이나 하는 줄 알고, 나중에 번역가로 대성할 떡잎인 줄 알고. 아, 정말 '나'와 마주 앉아 술잔 기울이며 흉금을 털어놓고 이야기 나누고 싶어지는구나! 오함마의 동석도 대환영이다.
이런저런 장면들에 우리 가족들의 모습이 떠오르며 정말 세상에 어느 가족이든 '평범'한 모습은 없을 거라는 생각이 들었다. 아니, 굳이 '가족'으로 묶어 놓지 않더라도 이 지구에 발 딛고 사는 한 사람 한 사람 누군들 '평범'한 사람이 있으랴? 얼마 전에 친구 셋이 모여 수다 떨다가 이런 이야기가 오갔다.
A : 내 주위에는 다 희한한 사람밖에 없어(물론 함께 이야기 나누고 있던 나머지 둘도 포함된 거였다).
B : 왜? 나는 정상이지 않아?
A : 너도 독특해
C: 이 세상엔 다 자기만 정상이야.
뭐 결론은 A도 B도 C도 다 지극히 평범하기 그지없는 사람들이라는 거고, 또한 A도 B도 C도 다 평범하지 않은 독특한 사람들이라는 거다.
한 개인도 이럴진대 그들 여럿이 묶여 이루어진 가정이라는 단위가 어떻게 처음부터 끝까지 평범하기만 하랴. 평범함 속에 '이건 뉴스거리군!' 싶은 희한한 일도 있는 거고, 독특함 속에 그럼에도 불구하고 별거 아닌 듯한 평범함도 있는 거고 그런 거겠지. 그러니까 지극히 평범하다고 생각한 우리 집에도 가끔은 오함마도 살고 '나'도 살고 미연이도 살고 민경이도 살고 칠순 노모도 살고 그러고 있지 않을까? 어쩌면 의식을 못 했을 뿐, 어쩌면 믿고 싶지 않았을 뿐, 어쩌면 내가 보고 싶은 대로만 보아 왔을 뿐.
어쨌든 나는 이 책이 고마웠다. 오랜만에 우리 가족들 한 사람 한 사람의 모습을 떠올려 보고 그 동안 잊고 있던 우리 가족들과의 추억을 떠올리게 해주어서다. 평범한 추억이든 독특한 추억이든.(아니, 평범과 독특은 시점의 차이일 뿐이다. 내 시점인가 다른 누군가의 시점인가.)
오랜만에 가족들 둘러 앉아 도란도란 지난 추억을 꺼내 펼쳐놓고 싶다. 이들 가족처럼 같은 추억인데도 누군가에겐 아름다웠고 누군가에겐 힘겨웠던 그런 장면이 우리 가족에게도 있다.
"난 그때가 제일 좋았는데?"
"난 그때로 다시 돌아가라면 끔찍할 것 같아!"
희한한 일이지만 그렇다. 같은 장소 같은 시간을 보냈지만 서로 다른 추억을 가진 가족이라는 이름. 서로의 마음 속에 또 어떤 장면들이 서로 다른 색깔로 칠해져 있는지 문득 궁금해진다. 이 이야기가 다채로워지려면 지금 국방의 의무를 다하고 있는 우리 집 아들내미가 반드시 동석해야 한다. 녀석의 휴가를 목 빼고 기다려본다.
모든 가정의 이마에는 이렇게 쓰여 있다.
'우리 집이 한 독특 하거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