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금단 현상 - 5학년 2학년 국어교과서 국어활동(가) 수록도서 ㅣ 책읽는 가족 50
이금이 지음, 김재홍 그림 / 푸른책들 / 2006년 9월
평점 :
구판절판
책표지부터 무언가 심상치 않는 느낌!
너무 재미있으면 어쩌지! 하는 걱정이 먼저 든다.
책을 읽기 시작하면 책에 빠져 들어서 저녁준비 시간도 잊고 열심히 책을 읽다보니 아이들이 옆에서 “엄마! 배고파요.”하며 야단들이다.
적당히 쉬어가며 읽을 수 있기를 바라면서 책을 펼쳤다.
그러나 역시 그렇지 않다. 한 편, 한 편 읽을 때마다 뒤에 이어질 이야기가 궁금해서 책을 놓을 수가 없었다.
[금단현상] 누군가를 좋아 한다는 건 정말 설레고, 행복한 일이다. 학교에 다니면서 친구들과의 사이에서 흔히 있을 수 있는 이야기들이 바로 나의 이야기처럼 느껴진다. 요즘처럼 메일을 주고받는 건 우리세대가 어릴 때 하고는 많이 다르다. 효은이 좋아하던 현기가 전화통화의 주인공이 아니어서 아쉽기는 하지만, 그것도 작은 일상의 인연이 아닐까? 체육시간에 효은이가 미란에게 보여주는 용기는 나 자신도 기분이 홀가분해 지는 느낌이 든다. 친구사이에는 누가 잘나고 못나고를 견줄 필요는 없다고 생각된다.
[꽃이 진 자리] 공원의 모습을 담은 그림이 너무나 예쁜 이야기이다. 할머니의 조용하고 따뜻한 마음이 슬프게 가슴에 스며든다. 어린 손녀의 모습을 그리워하며 지내는 할머니의 쓸쓸함이 손녀들을 보고 싶어 하는 나의 어머니를 생각나게 한다. 병석에 누워 계시던 할아버지께 할머니가 했던 말씀이 너무나 아프게 남는다. “비둘기처럼 오순도순 함께 살다가 한 날 한 시에 함께 가자고 말이야. 그게 내 마지막 소원이란다.” 라는 말처럼 그렇게 두 분이 함께 떠나신 것일까? 이 글은 우리의 부모님을 너무 쓸쓸하게 하지는 말아야겠다는 생각이 들게 한다.
[촌놈과 떡장수] 정말 재미있는 글이다. 학창 시절에는 누구나 별명이 한 가지씩은 있었을 것 같다. 작은 말에 상처를 잘 받는 여학생들은 별명을 그다지 좋아하지는 않지만, 남학생들은 끝까지 별명을 부르며 놀리곤 했었다. 이 글에서도 나와 장수의 별명에 대한 이야기가 펼쳐진다. 시골에서 전학을 오면서 생긴 별명 “촌놈”과 이름 때문에 생긴 별명 “떡장수”이다. 나와 장수는 PC방에서 서로 만나게 되면서 서로에 대해 알게 되고, 서로 힘겨루기를 하기도 하지만, 나중에는 친한 친구가 된다. 친구들의 별명을 너무 심하게 지어서 친구의 마음을 상하게 하는 일은 없었으면 좋겠다. 시간이 지나고 보면 같은 추억을 간직하게 될 고마운 친구들이기 때문이다.
[나의 마니또] 학창시절의 추억이 그대로 떠오르는 이야기이다. 참 많이 했던 “마니또놀이” 궁금하고 설레고 행동도 자연스럽지 못했다. 괜히 주위를 둘러보게 되고, 나만 예쁜 척 하게 되는 놀이이다. 이 글에서도 진짜 나의 마니또는 따로 있는데, 다른 친구에게만 잘해줘서 나중에 그 사실을 알고 나서는 나의 마니또에게 미안해하는 혜주의 모습이 옛날의 나의 모습 같아서 미소 짓게 된다. 우리아이들은 많은 친구들을 사귀면서 서로 힘이 되어주고, 학교생활을 즐겁게 했으면 좋겠다는 생각이든다.
[십자수] 자연스러운 우리들의 현재 모습을 보는 것 같다. 요즘은 남자들도 집안일을 서로 도와주면서 가족들간의 사랑을 돈독하게 해가는 것 같다. 가족은 서로 사랑하고 아껴주면서 살아가는 것이 당연하다고 생각한다. 화목하게 지내던 선재의 집이 할머니의 등장으로 집안분위기를 싸늘하게 만들 때도 있지만, 현실은 많이 달라지고 있다고 생각된다. 이 글에서 선재가 할머니를 “뚜껑이 활짝 열린 방향제” 같다고 표현한 부분이 정말 재미있다. 방향제 하나만으로도 집안 분위기는 많이 달라진다. 나 자신도 향기가 좋아서 옆에 두고 싶은 방향제로 남아있기를 바라는 마음이다. 남녀를 따지지 말고 서로 아끼면서 살아갔으면 좋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