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88만원 세대 - 절망의 시대에 쓰는 희망의 경제학 ㅣ 우석훈 한국경제대안 1
우석훈.박권일 지음 / 레디앙 / 2007년 8월
평점 :
품절
고등학교 시절, 대학에 진학하기만 하면 이 지긋지긋한 삶의 굴레에서 벗어나 살아있는 공부를 하고 행복한 생활을 누릴 수 있을 것이라 생각했었다. 그러나 웬걸, 대학교는 더 이상 자유와 해방의 공간이 아니었다. 입학과 동시에 입시라는 짐보다 더 무거운 것들이 내 어깨위에 차곡차곡 쌓이기 시작했다.
많은 대학생들에게 동아리 활동보다는 학점이, 방학을 이용한 국토 대장정보다는 토익 점수따기가, 자기 성찰과 전공공부의 심화를 위한 휴학보단 미국으로의 어학연수가 더 중요한 듯 보였다. 대학교 1학년이 고등학교 4학년이 되어버린 현실이 너무도 슬프지만, 마냥 슬퍼하고 있기에 현실은 너무 잔혹했다.
군대까지 다녀온 어엿한 대한민국의 성인인 '대학생'은 아직도 독립을 하지 못하였다. 부모님이 내주시는 등록금으로 대학교를 다니고, 그것도 모자라 매달 꼬박꼬박 용돈까지 타서 쓴다. 원하는 공부를 하고 싶고, 독립해서 사랑하는 사람과 함께 살고 싶고, 넉넉하지는 않더라도 내가 필요한 만큼은 돈을 벌고 싶은데 한국 경제구조는 우리를 아기처럼 만든다.
우석훈, 박권일의 '88만원 세대'는 이러한 시대의 우울한 현실을 다시 한 번 환기시키고, 경제학이라는 학문을 빌려 희망의 대안들을 어렴풋이 제시해준다. 세대 내의 경쟁보다는 세대 간의 경쟁이 한국 20대들의 숨통을 죄고 있고, 승자독식의 세계에서 20대가 희생양이 되었다는 것을 이제 우리는 알 수 있다.
책에서도 이야기 하듯이, 우리 20대들은 자신들의 권리를 지킬 수 있는 장치들을 전혀 가지고 있지 못하다. 세계화와 신자유주의라는 거대 담론에 맞서는 것을 제쳐두더라도, 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세대 간의 단결이 필요한데, 20대는 너무도 파편화되어 있다. 물론 20대가 모두 동일한 배경과 성격을 지니고 있지는 않다. 그러나 그렇다고 하더라도 상위 5%을 제외한 나머지 95%는 크게 다르지 않은 현실적 문제로 시름하고 있을 터인데, 우리는 서로를 소외하고 따돌리기에만 급급하다.
20대들이 서로 문제의식을 공유하고, 정치에 관심을 가지고, 우리 세대의 밥그릇을 챙기는 행동이 부당하고 주제넘은 행동이라고는 생각하지 않는다. 세대 간 경쟁의 문제는 스스로 내리게 되는 선택의 문제에 가깝고, 다른 주체들이 대신해 줄 수 있는 문제가 아니기 때문이다. 연이은 촛불 집회의 초기 추동 세력은 10대 소녀들이었다. 10대들도 자신들의 목소리를 이렇게 당당하게 내는데 20대라고 못할 것이 어디에 있겠는가. 더 이상 88만원 세대가 자랑스런 우리 20대의 명찰이 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20대여, 토익책을 덮고 바리케이드를 치고 짱돌을 들어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