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8만원 세대 - 절망의 시대에 쓰는 희망의 경제학 우석훈 한국경제대안 1
우석훈.박권일 지음 / 레디앙 / 2007년 8월
평점 :
품절


  고등학교 시절, 대학에 진학하기만 하면 이 지긋지긋한 삶의 굴레에서 벗어나 살아있는 공부를 하고 행복한 생활을 누릴 수 있을 것이라 생각했었다. 그러나 웬걸, 대학교는 더 이상 자유와 해방의 공간이 아니었다. 입학과 동시에 입시라는 짐보다 더 무거운 것들이 내 어깨위에 차곡차곡 쌓이기 시작했다.

  많은 대학생들에게 동아리 활동보다는 학점이, 방학을 이용한 국토 대장정보다는 토익 점수따기가, 자기 성찰과 전공공부의 심화를 위한 휴학보단 미국으로의 어학연수가 더 중요한 듯 보였다. 대학교 1학년이 고등학교 4학년이 되어버린 현실이 너무도 슬프지만, 마냥 슬퍼하고 있기에 현실은 너무 잔혹했다.

  군대까지 다녀온 어엿한 대한민국의 성인인 '대학생'은 아직도 독립을 하지 못하였다. 부모님이 내주시는 등록금으로 대학교를 다니고, 그것도 모자라 매달 꼬박꼬박 용돈까지 타서 쓴다. 원하는 공부를 하고 싶고, 독립해서 사랑하는 사람과 함께 살고 싶고, 넉넉하지는 않더라도 내가 필요한 만큼은 돈을 벌고 싶은데 한국 경제구조는 우리를 아기처럼 만든다.

  우석훈, 박권일의 '88만원 세대'는 이러한 시대의 우울한 현실을 다시 한 번 환기시키고, 경제학이라는 학문을 빌려 희망의 대안들을 어렴풋이 제시해준다. 세대 내의 경쟁보다는 세대 간의 경쟁이 한국 20대들의 숨통을 죄고 있고, 승자독식의 세계에서 20대가 희생양이 되었다는 것을 이제 우리는 알 수 있다.

  책에서도 이야기 하듯이, 우리 20대들은 자신들의 권리를 지킬 수 있는 장치들을 전혀 가지고 있지 못하다. 세계화와 신자유주의라는 거대 담론에 맞서는 것을 제쳐두더라도, 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세대 간의 단결이 필요한데, 20대는 너무도 파편화되어 있다. 물론 20대가 모두 동일한 배경과 성격을 지니고 있지는 않다. 그러나 그렇다고 하더라도 상위 5%을 제외한 나머지 95%는 크게 다르지 않은 현실적 문제로 시름하고 있을 터인데, 우리는 서로를 소외하고 따돌리기에만 급급하다.

  20대들이 서로 문제의식을 공유하고, 정치에 관심을 가지고, 우리 세대의 밥그릇을 챙기는 행동이 부당하고 주제넘은 행동이라고는 생각하지 않는다. 세대 간 경쟁의 문제는 스스로 내리게 되는 선택의 문제에 가깝고, 다른 주체들이 대신해 줄 수 있는 문제가 아니기 때문이다. 연이은 촛불 집회의 초기 추동 세력은 10대 소녀들이었다. 10대들도 자신들의 목소리를 이렇게 당당하게 내는데 20대라고 못할 것이 어디에 있겠는가. 더 이상 88만원 세대가 자랑스런 우리 20대의 명찰이 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20대여, 토익책을 덮고 바리케이드를 치고 짱돌을 들어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다르게 사는 사람들 - 우리 사회의 소수자들 이야기
정순택 외 지음, 윤수종 엮음 / 이학사 / 2002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소수자(Minority)는 수적으로 적은 사람을 의미하는 단어가 아니다. 그 수의 많고 적음은 상관이 없다. 예를 들면 대부분 사회에서 구성원의 절반 이상은 여성이지만 남성과의 관계에서 여성은 소수자다.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경우에서도 인구의 3/4이 흑인임에도 사회의 지배세력은 부유한 백인들이고 다수의 흑인들은 소수자다.

  누구든지 특정한 '권력의 배치 상황'에 위치하게 되면 소수자가 될 수 있다. 남성과 여성과의 젠더 권력 관계에서 여성은 소수자다. 그러나 뉴욕의 부르주아 백인 여성과 케냐의 프롤레타이아 여성의 관계에서는 뉴욕의 여성은 '여성'임에도 다수자다.

  소수자는 표준화된 인간상을 거부한다. 이성에 입각해 설정된 '표준적 인간상'(백인-남성-어른-이성애자-자본가-권력자)은 표준적 척도로부터 이탈한 자들을 배제하고 타자화 한다. 따라서 대부분의 사람들은 소수자를 비정상적인 사람들로 규정하고, 조금 생각이 있다고 하는 사람들 조차도 소수자를 우리가 도와주어야 할 대상, 더 나아가 우리가 생각하는 표준에 조금이라도 더 가까이 끌어와야 할 대상으로 바라본다. 

  우리 시대의 소수자는 정말 다양하다. 이주노동자, 장애인, 동성애자, 양심적 병역거부자, 비정규직 여성노동자, 트랜스젠더, 성매매여성 등 '우리'가 되지 못하는 사람들이 너무도 많다. 심지어 그들은 인간 취급도 받지 못하고 동물처럼 사냥의 대상이 되기도 한다.

  위의 책은 우리 시대의 소수자들이 처해있는 상황을 알려주고 그들의 간절한 목소리를 생생하게 들려준다. 소수자들에게 필요해 보이는 것들은 정말 많다. 기본적인 인권의 보장, 불평등한 제도의 개선, 재정적 지원 등 어찌보면 매우 중요한 것들이다. 그러나 소수자들에게 정말 필요한 것은 주류적 척도에 다가서려는 시도가 아니라 그 척도를 파괴하는 실천적 운동일 것이다. 소수자가 다수자의 질서에 편입된다고 해서 소수자의 문제가 이 세상에서 사라질 수 있을 것인가. 천만의 말씀, 이러한 방식의 문제 해결은 또 다른 소수자를 만들어 낼 뿐이다.

  표준적 척도에서 벗어나는 순간 우리는 모두 소수자가 된다. 따라서 지금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저항의 전선을 형성하기 위한 '연대'이다. 다수자/소수자, 동일자/타자의 경계 자체를 허물어뜨리는 거대한 소수자들의 운동이 필요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