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예술가의 손끝에서 과학자의 손길로 - 미술품을 치료하는 보존과학의 세계
김은진 지음 / 생각의힘 / 2020년 11월
평점 :

미술 작품은 예술가의 의도가 물질의 형태로 구현된 것이다.
미술작품을 복원하고 보존하는 보존가°의 일을 소개하고, 미술 복원과 보존과학의 다양한 사례들을 담았다.
미술품 치료, 보존과학이라는 분야가 내게는 친근하기도 하고, 평소에 궁금한 점이 많았던 분야이기도
하다. 이런 특수한 분야의 일에 대해서 자세히 접할 기회가 별로 없다 보니 읽는 내내 흥미진진하게
다가왔다. 특히 익숙한 작품들에 대한 복원 이야기들이 많아서 더 반갑기도 했다.
특히 고미술이나 근대 화가의 작품들은 복원이 필요한 경우가 많다 보니 어떤 전시들은 복원에 관한
연계 강의가 열리기도 할 정도니 말이다. 내가 보존과학의 영역에 대해 자세히 접한 계기는 아이가
과학잡지의 기자로 활동하며 국립문화재 보존 연구소를 취재하러 갔을 때였다.
하얀 가운을 입은 복원 전문가들이 거의 형체를 알아볼 수 없는 오랜 시간의 풍파를 맞은 작품들을
복원하는 과정들을 살펴보며 엄청 느리고 신중하게 해야 하는 작업들이 까마득하게 느껴지도 했었다.
보존"은 예방, 치료, 복원의 3단계로 나누어지는데 보존가는 작품의 일생에 개입을 한다는 표현이
인상적이다. 모든 복원 작품들은 복원가와 보존과학자의 판단에 따라 그 생명력이 결정된다.
실제로 <문화유산 보존 헌장>이라는 윤리지침에 따라 원형을 보존하는 것을 우선으로 한다니
얼마나 까다롭고 신중한 과정을 거치는지 알 수 있다.

미술 애호가라면 더욱 평소에 궁금했을 키워드들을 중심으로 복원에 관한 에피소드들 이외에도
잘 몰랐던 복원과 관련된 이야기가 흥미진진했다. 특히 보존과학 분야를 쉽게 풀어놓은 글을 읽다 보니
미술관에서 복원이 된 작품임에도 매끄럽지 않아 눈에 거슬리던 작품들에 대해 의아했던 부분이 이해가
되기도 했다. 복원을 거친 작품이 과하게 성형수술된 사람처럼 어색하지 않을 리 만무하다.
실제로 복원가들은 작품을 창작한 예술가의 의견을 중심으로, 혹은 자료들을 중심으로 합리적인 복원
의 수위를 결정한다는 것과, 보존처리에 사용하는 재료는 영구적인 것이 아니라 반드시 제거 가능한
것을 사용해야 문제가 발생했을 때 작품을 복원 이전으로 되돌릴 수 있는 규정을 지킨다는 사실을
새롭게 알게 되었다.
요즘 미술관에서는 개방형 수장고가 낯설지 않다. 우리나라에도 국립현대미술관 청주관에 가면
개방형 수장고에서 기획전시들과는 또 다른 새로운 느낌으로 작품들을 만날 수 있다. 미술품 복원을
전시장에서 투명하게 공개하여 관람객들이 볼 수 있도록 한 사례가 소개되기도 했다.
그만큼 이제 미술품 복원은 낯선 영역도 아니고, 관람객들의 관심사가 되기도 한다는 걸 알 수 있다.
복원 과정이 하나의 전시로서의 가치를 가지기도 한다는 것. 흔히 볼 수 없는 과정이니 흥미진진한 전시
로 충분한 가치를 지닌다고 생각된다.
발레리나 그림과 조각으로 유명한 드가의 작품 중 잘 알려진 <14살 작은 댄서>의 조각을 엑스레이로
분석한 사진을 보면 그 외형만큼이나 흥미진진하다. 과학기술의 힘은 조각의 내부 구조까지 완벽하게
드러내는 첨단 기술로까지 발전했다. 미술품 복원의 과정에서 꼭 필요한 미술품의 정확한 분석은 더 정교
해지고 그 밑바탕에는 과학의 힘을 빼놓을 수 없다.

'원숭이 예수'로 전 세계에 알려진 80세 할머니의 성당 벽화 색칠로 빚어진 사건은 세계적인 조롱에서
조용한 시골마을의 유명세로 바뀌었다. 실제로 인구 5천 명에 불과한 시골마을이 관광객을 몰고 오는
유명한 장소로 탈바꿈된 사연. 잘못된 복원이 빚어낸 에피소드로 결국 이 사례는 할머니의 선의가
선한 결과로 이어지긴 했지만 반복되어서는 안될 사건이었다. 어쨌든 잘못 복원된 이 작품은 관광상품
으로 다양한 굿즈까지 제작된 사례이다.

고흐는 동생 테오와 진한 형제애로 유명한 화가이기도 하고, 600통이 넘게 남은 고흐의 편지를 통해
그의 작품세계에 대한 해석이 전해져 오기도 한다. 그의 편지에서 언급되었던 작품이 행방불명이
된 작품이 있었고, 고흐의 작품으로 알려진 정물화의 위작을 밝히는 과정에서 그 미스터리한 작품이
발견되는 과정은 정말 극적이고 인상적으로 마음에 와닿았다. 과학의 발달은 인간의 수명에도 많은
영향을 미쳤지만, 우리 삶에서 과학은 모든 분야의 발전과 더불어 보존에도 중대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 위대한 과학기술의 세계.
수록된 작품 중 반가운 작품! 역시 내가 좋아하는 작품에 대한 이야기는 언제나 더 반갑다.
회화 작품이 담긴 액자마저 돋보이는 문신(b.1923-1995)의 <고기잡이, 1948>
그는 각종 미술재료 붓, 캔버스, 액자 등을 손수 제작했단다. 미술관에서 처음 이 작품을 봤을 때 액자의
정교함과 재치에 한동안 눈을 떼지 못했던 기억이 있다.. 그는 자신의 회화에 가장 잘 어울리는 정교한
액자의 제작까지 완벽히 구사했던 예술가였다. 다시 봐도 감탄스러운 문신의 액자.
이 외에도 미술관에서 조명과 작품의 관계, 작품의 제작 연대 추정하기, 미술관의 화재 장치, 미술작품의
이동에 관한 이야기 등등 미술작품의 안전한 보관과 이동에 대한 제반의 이야기를 다루고 있는 책은
많은 예술관련 책을 읽고, 미술관을 자주 들락거리는 내게도 흥미진진한 내용이었다.
사실 미술관, 혹은 예술작품이라고 하면 감상하고, 보이는 표면적인 것들에만 관심을 갖는 것이
대부분이지만 이렇게 숨은 노력들이 그런 작품들을 오랫동안 감상할 수 있게 하는 힘이라는 사실이
새삼 더 소중하게 느껴진다. 하나의 작품이 탄생하는 것은 한 예술가의 손끝이지만 오랜 시간 그 작품을
후대와 함께 나눌 수 있는 것은 보존가와 보존과학자들의 애정 어린 손길이 든든하게 뒤를 지키고 있다는
사실을 알게 해준 현장의 생생한 경험을 담은 리포트 같은 책이었다.
<출판사에서 제공한 도서를 읽고 작성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