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소리는 어떻게 세상을 정복했는가 - 진실보다 강한 탈진실의 힘
제임스 볼 지음, 김선영 옮김 / 다산초당(다산북스) / 2020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마트에 진열된 우유가 저지방인지, 유통기한이 언제까지인지 꼼꼼하게

살피는 것만큼 정보도 살피고 있는가?
▫️
수백만 명이 소셜미디어 때문에 다수의 매체가 전하는 내용은 잘 안 믿고, 매우 극단적인 주장을

믿으려 한다. 시민이나 뉴스 소비자로서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은 기사제목만 보고 공유하는 습관에

앞서 한번 더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인터넷의 진짜 문제는 그곳에 쓰인 모든 내용이 진실처럼 보인다는

점이다.

세상이 불안정할수록 가짜 뉴스가 난무하고, 사람들은 더 자극적인 뉴스에 현혹되어 그것들을 퍼나르며

일파만파 퍼지기 시작한다. 잘못된 정보들이 눈덩이처럼 커지기 시작하며 혼란이 가중되는 오늘날의

세상은 그런 정보의 홍수 속에서 오히려 더 중심 잡기가 어려워졌다. 채널도 플랫폼도 많아진 세상에서

어떤 정보들을 취하고 버려야 할지 책에서는 많은 사례들을 제시한다.

"개소리는 적절한 순간에 등장한다. 사람들이 분노할 만한 타이밍에, 모두에게 큰 영향을 줄 수 있는

어떤 이벤트가 다가올 때."

사람들은 믿고 싶은 말을 믿으려 한다. 그것이 바로 개소리의 힘이라고 저자는 말한다.

미디어의 발달은 사람들에게 그만큼 더 고차원적인 미디어 문해력을 필요하게 만들었다.

요즘 우리나라도 연일 코로나에 더해져 정치까지 가세를 하고 있다. 이렇게 위기의 시대를 살아가고

있는 와중에 그들은 제 밥그릇 챙기기 바빠 보이고, 현실감 없는 발언들을 쏟아내는 한심한 날들이다.

유혹이나 정보들에 취약한 인간 심리의 구조상 자신의 생각과 일치하는 정보들을 받아들이고, 굳어진

생각들을 바꾸는데 취약한가 하면, 집단에 동조하고 싶은 인간의 본성 때문이다.

벌써 몇 달 전 우리 그녀가 꼭 봐야 한다며 노트북을 들이밀어서 결국 보고야 말았던 넷플릭스 영화

<소셜 딜레마 The Social dilemma>
기대보다 엄청 와닿아서 따로 리뷰를 정리하려던 걸 차일피일 미루고 근간에 받은 책 한 권을 읽으며

소환해본다.

결국 많은 소셜미디어의 전문 종사자들은 자신의 아이들에게는 소셜미디어를 멀리하게 하고, 스스로도

최소한 침실에는 전자기기를 멀리하고, 알림 들을 제거할 것을 제안한다. 많은 정보들과 빈번해지는 소셜미디어의 연결고리 속에서 중심잡기를 실천해야 하는 이유들을 다큐멘터리 형식으로 생생하게 들려준다.

 

다양한 버전의 소셜미디어와 플랫폼들의 방대함에 새삼 놀라게 되는 시간이었다.

결국 저마다 다른 책들과 다른 장르에서도 목소리는 하나로 통일된다. 우리가 진실이라고 믿었던 많은

것들은 얼마나 많은 이해관계가 얽혀있는지, 그리고 쏟아지는 방대한 자료들의 제시함으로 정치, 경제, 심리학 등 이면의 진실을 얼마나 제대로 보고 있는지 생각해 보게 하는 시간이었다.

정보의 홍수는 또 다른 혼란으로 사람들을 몰아넣고 있다는 점에 유의하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