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내 인생 구하기 - 삶을 마냥 흘려보내고 있는 무기력한 방관주의자를 위한 개입의 기술
개리 비숍 지음, 이지연 옮김 / 웅진지식하우스 / 2020년 3월
평점 :

지난해 <게으른 완벽주의자를 위한 _시작의 기술>이란 책으로 알려졌던 개리비숍의 신간이 나왔다.
개리비숍은 자기계발 코치로 활동하며 독립출판으로 출간한 책이 반향을 일으키며 주목을 받고 있다.
현대사회에서 자기계발서는 이제 너무나도 방대한 도서목록이 끊임없이 출간되고 있어서 늘어지는
일상을 책을 통해 다잡곤 하는데 매번 의욕적이었던 시작은 무기력해지고 다시 제자리로 돌아가기
쉽상이다.
개리비숍은 이 책에서 의지력과 수양, 정신력이라는 용어에 대한 우리의 고정관념을 지적한다.
상상력은 잠재의식속에서 발현되기 마련이고, 특히 이 책에서는 '자기방해'라는 단어가 자주 등장한다.
자기방해는 더 큰 무언가의 산물이고, 우리의 삶 모든면에서 영향을 미친다.
스스로가 자신의 틀에 자신의 가치나 능력을 가두고 있는것이라는 강한 성찰의 목소리를 담고 있다.
나를 방해하는 모든것으로 부터 삶의 주도권을 되찾기를 강조한다. 결국 자신의 가장 큰 적은 바로
우리 자신일 경우가 많다는 대목은 설득력이 있다.

많은 자기계발서와 습관에 관한 자신의 삶을 변화시키는 방식에 대해 다룬 책들에서도 자기 수양을 통한
변화를 강조한다. 자기수양은 말그대로 본인의 주도하에 이루어지는 작은 습관들을 루틴으로 만드는
과정이다. 딱 한사람 나 스스로를 변화시키는것조차도 쉽지않다. 개리비숍은 이 책을 통해 새로운 관점
과 질문을 던지고 그 과정의 결과로 강한 추진력과 새로운 방식으로 우리를 인생과 마주하게 하는 겻을
목표로 한다. 본인 자신의 습관이 아닌 진중한 사고를 통해 일상의 습관들에 이의를 제기하고 변화를
시도해야 한다는 것이 바로 핵심이다.
잠재의식은 우리가 살아가는 과정에서 보이지않게 중요하게 작용한다. 알게모르게 그 잠재의식으로
우리의 삶은 많은 순간을 결정한다. 그런 과정에서 우리에게 익숙한것들과 낯선것들 사이에서 갈등하며
결국 우리는 익숙한 쪽으로 결론을 내리게 되는경우가 많다. 각자 태어날때 가지고 있던 방대한 스펙트럼
의 잠재력을 기반으로 나이를 먹으면서 관점은 점점 편협하고, 제약적이고, 극단으로 치닫는다.
쇼펜하우어는 자신의 시야의 한계를 세상의 한계로 착각하는것을 지성의 오류라는 말로 표현하기도 했다.
스스로의 테두리를 인정하는것이 그 틀을 벗어나는 시작점이 된다.
개리비숍은 우리의 삶 자체를 불구덩이에 던져졌다는 말로 표현한다. 그런 많은 소소한 순간들이 쌓여
인생을 이룬다.
우리의 인생은 결코 과거를 바꿀수 없지만 과거를 바라보고 설명하는 방식을 바꿀 수는 있다.
사람이 존재하는 방식은 과거에서 현재로 오고, 미래로 간다. "역사에서 교훈을 얻지 못하는 사람은
역사를 반복하게 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늘 반복하는 오류의 현실화.
책에서 언급한 유명한 일화, 세계적인 조각가로 피에타와 다비드상을 만든 미켈란젤로에게 많은 이들이
물었다고 한다. 어떻게 그런 완벽한 조각을 할 수 있느냐는 질문이다.
미켈란 젤로는 그 대답으로 대리석을 깍아 조각상을 만든것이 아니라 대리석 덩어리에서 필요없는
부분을 제거하는 방식으로 만들었다고 다소 엉뚱한 대답을 내놓는다.
진정한 돌파구란" 인생이 내던지는 것들에 기계적으로 반응하지 않고, 당신이 끼어들 때만 마련된다.
끼어들어라, 당신 인생이다!" 개리비숍은 인생을 하나의 거대한 실험이라는 명언을 남겼다.
그 거대한 실험이 망쳐지는 날도 있을 것이고, 마음에 들지 않는 순간도 마주하게 될 터인데 미래를 향한
하나의 도약이 분명하다.
내 인생의 주인의식 갖기.

어차피 누구에게나 한번뿐인 인생, 세상에 던져지는 그런 순간들을 통해 많이 경험하고, 모험하고,
창의적인 인간으로 살아볼 것을 강하게 어필한다.
자신의 삶의 주인이 되어보자.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의 말대로 영혼은 자신의 생각이라는 색깔로
물들어 간다고 하지않던가. 우리모두는 자신의 삶을 가꾸는 예술가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