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BC 토크쇼에 나온 부활의 김태원이 그런 말을 했다. “학생 시절에 한 번도 차여보지 않은 사람은 절대 곡을 쓸 수 없습니다.” 3등은 괜찮지만 3류는 안 된다고 말해서 탄성을 지르게 만들던 김태원. 그는 노래만 잘 만드는 게 아니라 말도 참 잘한다. 이번에도 그의 말은 옳다. 네버엔딩 스토리 같은 명곡을 쓰지 못하는 범인들도 한 번 차여보지 않고 어른이 된 사람은 없을 것이다. 있다 하더라도 별로 친하게 지내고 싶지 않다.

  나와 남편은 목에 마구 힘줘가면서 소개팅만 나가면 백전백승이었다느니, 묻지도 따지지도 않고 나한테 대쉬한 사람들이 수두룩하다느니, 한 번도 차여보지 않은 것처럼 구라를 치는 일이 빈번한데 물론 서로 그것을 곧이곧대로 믿지는 않는다. 남편은 성격 상 호되게 차였어도 조용히 집에 돌아와 발 뻗고 주무실 타입이고 나는 한 며칠 자학하다가 다른 사랑을 찾아 헤매는 타입. 듣자하니 그는 일찍이 대학 동기한테 차였었고 나는 동아리 선배한테 차였었다. 최초의 차임이었다.

  D선배. 과거에 좋아했던 사람을 떠올리면 얼굴이 훅훅 달아오르며 내가 왜 그런 사람을 좋아했을까 의문이 들 때가 있는데 그 선배만큼은 군계일학이다. 가끔은 그를 좋아했다는 사실이 뿌듯할 때까지 있다. 나의 안목은 그때가 최상급이 아니었을까. 남편은 내가 만나보았던 남자 중에 가장 착한 남자고 그 착함은 미덕이지만 갓 스물을 넘긴 그때. 내게 착해빠진 남자는 물에 빠진 남자만도 못했다. 닿을 수 없는 것들에 이끌리던 나이였다.

  동아리 현동인 중 최고학번이었던 D선배. 사실 그는 나를 아기 보듯 했었다. 문제는 나를 귀엽게 바라보던 그 눈빛을 내가 사랑으로 착각했다는 데 있었다. 나중에 깨달은 건데, 착각은 자유지만 그 자유에 매몰될 지경에까지 이르면 안 된다. 늘 스스로를 냉동실에 건냉보관 해두었다가 잠시잠깐 외출을 한 것처럼 보이던 그가 내게 시종일관 따듯한 태도를 보였을 때, 나의 므흣한 상상력은 무한정 나래를 펴기 시작했다. 그때는 그 설렘만으로도 벅차서 선배에게 닿기까지의 절차를 생각하거나 계획할 수조차 없었다. 별별 생각을 다하다가도 마주치는 순간 얼음! 하고 굳어버렸다. 결국 싹튼 연정을 되새김질만 하다가 선배가 졸업과 동시에 이 도시를 떠나고 나서야 고백이란 걸 했다.

  정확히 일주일 후 선배는 아주 공들여 쓴 메일을 보내왔다. 작품성 높은 거절 편지. 그는 장문의 메일 속에서 오히려 나의 생뚱맞은 고백을 칭찬해주고 있었다. 그 나이 땐 그래야 한다고. 다 쏟아버리는 것도 좋다고. 젠틀하게 차는 방법을 아는 남자였다. 내가 울지 않도록 여기저기 당의정을 발라놓아서 이런 메일을 받고 차였다는 것을 동네방네 떠들고 싶을 정도였다. 그는 나를 많이 아껴주었는데 그 글 속에서도 여전히 아끼고 있었다. 그 느낌이 전해져 오자 나는 나의 급작스런 고백이 오히려 미안해졌다. 그래도 거절은 거절이고 차인 건 차인 거고 아픈 건 아픈 거였다. 상처 입은 나는 읽고 난 즉시 메일을 삭제했다. 거절 편지는 작품성과 상관없이 소장가치가 없는 글 중 하나다.

  그 이후 몇 차례 그의 홈피를 들락거리고 휴대폰을 쏘아본 적은 있지만 단 한 번의 연락도 하지 않고 깨끗이 돌아섰다. 돌아서지 않으면 어쩌라고. 조바심이 날 때마다 스스로를 윽박지르며 위협했다. 네가 그만두지 않으면 어쩔 건데. 얼마 후 먼저 연락을 취해온 것은 선배였고 그 후로는 고백 이전과 크게 다르지 않았다. 착각의 자유가 함께 한 추억까지 매몰시키지 않아 다행이었다. 하지만 아픔은 깊어 한동안 오래도록 아무도 좋아할 수 없었다. 지금은 가까스로 안도의 한숨을 쉰다. 그쯤에서 그치길 잘했다. 짝사랑의 추억이 스토킹 전과로 변질되는 건 순간이다.

  가수 이소라는 실연 이후에 앨범을 한 장 씩 발표한다고 들었다. 김태원은 첫사랑의 기억을 떠올리며 ‘사랑할수록’을 썼단다. 나는 예술가가 아닌 탓에 수많은 일기를 쓰고 동아리에 나가 어줍은 시들을 발표했다. 친구들에게 가차없는 연애 상담도 해줬다. 절대 먼저 고백하지 마. 그리고 아니라고 생각되는 순간 깨끗이 돌아서. 그렇듯 뻣뻣하게 곧추세우기엔 목도 허리도 예전 같지 않지만 지금도 비슷하게 충고한다. 웬만하면 먼저 고백하지는 마. 그리고 아니라고 생각되는 순간 웬만하면 그냥 돌아서. 자존심도 뭣도 아니다. 정답도 아니다. 임상경험에 비춘 나름의 조언이다. 더욱이 내가 하라고 해도 안 할 사람은 안 하고 하지 말라고 해도 할 사람은 하고야 만다. 다만, 추해지면 안 된다. 자칫하면 내성이 생겨 습관된다.    

P.S. 이쯤에서 김석기 씨에게도 한 마디. 그렇게 뭉개고 있으니 추하다 못해 너절해지는 거다. 마치 부모 빽 믿고 돈으로 사랑도 살 수 있다며 징징거리는 막장 드라마 속 찌질녀 같다. 내가 차여본 사람으로서 충고하는데 국민들이 좋은 말로 거절할 때 떠나라.


댓글(14)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마늘빵 2009-02-04 00:1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아이참, 본문은 아릿해서 좋고, P.S는 의외의 반전을 주어서 좋잖아요. 첫 차임이 언제인가 생각할새도 없이, 고2때... -_- 그땐 제가 왜 그랬나 모릅니다. 내가 그녀였어도 나를 찰 수밖에 없었을 겁니다. 근데, 나중에 친구로 지냈는데, 그땐 그 아이가 여자로 보이지 않았어요. 고2때 스스로 많이 힘들었고나, 생각했어요.

"남편은 성격 상 호되게 차였어도 조용히 집에 돌아와 발 뻗고 주무실 타입이고 나는 한 며칠 자학하다가 다른 사랑을 찾아 헤매는 타입" 요고요고. 깐따삐야님이 어찌하고 있을지 막 떠올라요.

깐따삐야 2009-02-04 20:22   좋아요 0 | URL
저도요. 그땐 왜 그랬나 싶고 제가 선배였어도 저를 거절할 수밖에 없었을 거에요. 나중에 다시 만났을 땐 그 선배가 남자로 보이지 않더라구요.^^

흐음? 대체 막 뭘 떠올리신 거죠!!

Mephistopheles 2009-02-04 00:3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음 그러니까 본격적으로 연애를 하는 연인이였다가 차인게 아니였군요.
그럼 이런 경우는 어떻게 해석을 해야 할까요. 연인으로 잘 지내다가 갑자스런 절교선언..한달 고생하고 새출발 아자 했더니..너만한 애 없다며 다시 시작하자는...하지만 방긋 웃으며 한달 (델고 놀다) 장렬하게 뻥 차버린....

음...난 그냥 24부작 장편소설 써볼까해요..ㅋㅋ

깐따삐야 2009-02-04 19:57   좋아요 0 | URL
일년을 선후배로만 지내다가 사겨보지도 못하고 차인 경우죠. 흑!
저런저런. 메피님의 차임은 마치 삽질의 추억처럼 들립니다. 사랑하는 여인에게 만큼은 약하디 약한, 로맨틱한 마당쇠, 우리 메피님.^^

모든 것은 지나가고 과거는 아름다운 거에요. 정말 한번 써보세요!

Mephistopheles 2009-02-04 23:13   좋아요 0 | URL
저기...저기 장렬하게 뻥 차버린 사람이 전데요..

깐따삐야 2009-02-04 23:32   좋아요 0 | URL
헉! 메피님이 그래서 지금 마당쇠로 쐬빠지게 고생하고 계신 거여요. 세상은 공평한 거죠.

Mephistopheles 2009-02-05 09:40   좋아요 0 | URL
어머 깐따삐야님..제 연애사관은 '낙장불입'입니다. 지가 싫어 떠났다가 아쉬워서 돌아온다고 받아주진 않아요.^^

깐따삐야 2009-02-05 19:36   좋아요 0 | URL
델고 놀다, 델고 놀다, 델고 놀다... 그건 너무하잖아욧. ㅠㅠ

Mephistopheles 2009-02-06 02:18   좋아요 0 | URL
뿌린 대로 거두는 겁니다....^^(델고 놀다란 표현을 쓰긴 했지만..정확히 말하면 굉장히 무신경하게 대했다가 맞을 것 같네요..^^)

깐따삐야 2009-02-06 17:11   좋아요 0 | URL
음... 그렇다면 이해가 되요. 매우 진심으로 잘못했다고 해도 받아줄까 말까인데 너만한 애 없다며 다시 시작하자니. 그건 쫌 너무하네요. 감히 우리 메피님을 물로 보고 말이죠. 중얼중얼.

레와 2009-02-04 10:3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노곤노곤 몽실몽실 홍홍 거리며 읽어 내려오다가,
PS에서 푸하하하하하 박장대소 했습니다!!
(저에겐 웃을 타이밍이였으니, 쌩뚱맞는 웃음이라 머라하기 없기. ^^;)


그래서 제가 마음이 힘들때는 가사있는 음악을 안들어요. ㅋ

깐따삐야 2009-02-04 20:25   좋아요 0 | URL
썩소 맞죠? ㅋㅋ

그쵸. 평소엔 들리지도 않던 가사들이 아주 콕콕 가슴을 후벼파죠. 가사를 못 알아듣는 샹송을 들어도 내 얘기로 자동 번안되어 들리는 신기한 경험. 크... 괴로워요.

순오기 2009-02-04 23:5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아~ 이런 페이퍼는 막 추천해야 돼요. 피에스 너 때문이야~ ㅋㅋ

깐따삐야 2009-02-05 19:37   좋아요 0 | URL
강호순은 무섭고 김석기는 싫어요. 정말 싫어욧!