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집들을 뒤적이다가 책장을 보니 생뚱맞은 책 몇 권이 눈에 띄었다. ‘경제기사는 돈이다.’, ‘돈의 비밀’, ‘우울한 경제학자의 유쾌한 에세이’ 등등의 책이었는데 내가 이런 책을 샀을 턱은 없고 가만 생각해보니 장가가기 전, 오빠가 구입한 책들이었다. 사춘기 무렵 별 하나에 추억과 별 하나에 사랑과... 해가면서 폼 잡던 모습을 떠올리면 그렇게 팍팍한 사람은 아니었는데 군 제대와 동시에 ‘모든 역사는 일요일에 이루어진다’며 말수는 더 적어지고 눈빛은 더 비장해졌더랬다. 그런 오빠의 모습을 바라보는 게 때론 든든하고, 때론 쓸쓸했던 것 같다.
사람이 낭만을 잃지 않고 사는 일이 생각보다 참 어렵다는 생각이 든다. 요즘 아이들이야 워낙에 영악해지고 시니컬해져서 나보다 더 사막하구나 싶을 때도 많지만. S양이 그런 말을 한 적이 있다. “언니는 누군가가 언니의 비밀을 퍼뜨리고 다니면 어떨 것 같아?” “그야, 당연히 기분 나쁘지. 이런 배신자! 걔랑은 안 놀거야.” “그래? 그 비밀이 사실이 아닌 것처럼 하면 되는 거 아니야? 처음부터 거짓말이었던 것처럼.” 머릿속이 갑자기 복잡해지기 시작하면서 한동안 할 말을 잃었다. 참하고 반듯하여 칭찬을 먹고 사는 S양이 그럴진대 다른 아이들도 별반 다르지 않을 듯.
세상의 차가운 룰에 일찌감치 길들여진 근래의 아이들 외에 내 또래 80년생을 비롯하여 다소 애매한 감수성의 세대가 있는 것 같다. 별 헤는 밤과 돈 세는 밤의 갭이라고 할까. 별 하나에 추억과 별 하나에 사랑과 별 하나에 쓸쓸함을 읊조리던 열다섯의 촉촉했던 청춘은, 통장 하나에 아파트와 통장 하나에 교육비와 통장 하나에 노후자금을 위해 오늘도 열심히 달리고 또 달리는 것이다. 독서행위 그 자체라는 순수한 동기로 '데미안‘과 ’독일인의 사랑‘을 마음으로 읽었던 십대의 감성으로부터 멀찌감치 떨어져 채, 잠재된 낭만을 억누르고 배반하는 삶. 별로 새삼스러울 것 없는 현실이고 형이하학적 일상이 주는 만족감에 길들여지고 나면 그만이긴 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나온 역사처럼 책꽂이 한 구석을 차지하고 있는 책들의 눈길에 조금 씁쓸해지는 것도 사실이다.
별의 비밀이 더 이상 돈의 비밀만큼 호기심을 끌지도, 중요하지도 않다는 것. 비교적 낭만이 남아 있던 어린 시절을 보낸 우리 세대는 시시각각 더해가는 냉정한 현실을 받아들이긴 하면서도 그 야무진 포즈에 있어서만큼은 96년생 S양의 발뒤꿈치도 따라가지 못하는 것 같다. 나처럼 도시의 세련된 타산에 영원히 적응하기 힘들게끔 타고난 얼치기들은 가능한 한 보폭을 줄이고 부대낌을 최소화하며 소심하게 움직이는 수밖에. 어린 마음을 설레게 했던 밤하늘의 All Twinkle Magic은 더 이상 Automatic Teller Machine의 24시간 불빛만큼 관심을 끌지 못한다. 과거 어느 시절에인가 유전자 속에 새겨진 채 틈만 나면 형형한 별빛처럼 스멀대는 감성, 그 감당불가의 감성으로 인해 현실 속에서는 어딘가 늘 어설프고 어정쩡할 수밖에 없는 내 또래의, 나를 닮은 젊음들. 이른 세대의 동지애든, 어린 세대의 자기애든, 그 어느 편으로도 완벽히 기울지 못하는 낀 또래의 양가감정은 나만의 것일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