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출처 : wasulemono > 잭슨 vs 흄
-
-
환상과 미메시스 - 서구문학에 잠재된 환상성의 재발견
캐스린 흄 지음, 한창엽 옮김 / 푸른나무 / 2000년 4월
평점 :
절판
이 책은 서구 문학에 내재된 환상 충동을 총체적으로 조명하겠다는 취지에서 고대로부터 현대까지 환상적 요소를 내포한 문학을 종합적으로 분석하고 있다. 문학 속에 미메시스 충동과 환상 충동이라는 두 개의 기둥이 존재해 있다는 가정 하에서 서구문학에서 환상적 요소가 어떻게 개입되고 왜 환상적 요소가 사용되었는지를 밝히고 있다.
로즈마리 잭슨의 책이 다소 제한된 영역을 중심으로 환상 문학의 이데올로기적, 주제적 차원을 논하고 있다면, 캐서린 흄의 이 책은 전통적으로 문학 분석의 토대로 사용되어 온 기호론적이고 유형론적인 관점에서 엄격한 형식적 분류에 치중하고 있다. 따라서 잭슨의 책은 환상문학의 의미론적인 차원에 관심을 가진 대중 독자의 관심에 적당하다면, 흄의 이 책은 작가-작품-독자라는 관계나 노스롭 프라이의 희극, 비극, 로망스, 아이러니, 4개의 신화체계로부터 환상성을 양식화하고자 하는 전문 독자에게 적당한 책이 아닌가 싶다.
잭슨의 문체가 엄격하고 명석한 비판에 기반한 다소 건조한 문체라면, 흄의 문체는 다소 산만하면서도 재치가 넘치는 부드러운 문체라고 하겠다. 문체의 차이가 독서 과정에 어느 정도 상관관계를 가진다고 할 때, 흄의 문체는 학문적 엄격성을 바라는 이들에게는 다소 산만해 보일 것이 분명하다.
또 잭슨이 주로 근대 이후의 환상 작품에 주 관심을 두고 있다면, 흄은 중세 전공자답게 주로 중세 이전의 작품에 상당히 많이 의존하고 있다. 따라서 학문적 관심이 아니라면 당연히 잭슨의 책이 도움이 될 것이라고 생각된다. 그리고 흄은 잭슨과는 달리 환상문학만이 아니라 문학 전반을 4가지 양식으로 분류하고 그 속에 개입된 환상적 요소와 그 기능을 밝히는 방식을 취하고 있기 때문에 환상성이라는 기본 테마에 대한 밀도 있는 서술은 아니지만 문학을 폭넓게 바라보는 데는 도움이 될 것이라고 생각된다.
여하튼 두 권의 책 모두 최근 새롭게 제기되고 있는 환상성을 재평가하는 데는 좋은 참고서가 되리라 생각된다. 다만 이 두 권 모두 80년대의 성과이므로 이후 새롭게 진전된 논의 성과를 파악하는 것은 새로운 과제라고 하겠다. 그리고 이들 책은 환상성에 대한 개관이나 총론의 성격이 짙고, 수많은 작품들이나 유형을 일별하고 있을 뿐, 세밀한 각론을 전개하거나 특수한 주제를 다루는 데 주안점이 놓여 있는 것은 아니므로 이 점도 염두에 둬야 할 듯하다.
그리고 이들 책에서 얻은 아이디어로 우리가 일상적으로 경험하는 문학, 영화, tv 등 각종 매체 텍스트에서 환상이 어떻게 사용되고 있으며, 그것이 불러일으키는 욕망과 긴장이 무엇인지 생각해보는 것도 의미가 있으리라 생각된다. 또 우리에게는 왜 환상이 저급한 장르나 기법으로 이해되며, 환상 장르가 우리에게는 빈곤한지 등의 문제를 우리의 근대적 경험 속에서 따져보는 것도 흥미로운 테마가 될 듯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