쥐불을 놓는 사람

ㅡ 문태준



이 불길, 크고 작게 번지는 불길의 간격은

폐허를 두려워하고 있는 것이다

늙은 군복바지가 두렁에 침목처럼 서서

긴 부지깽이를 내두르는데,

나는 풀이 타들어가는 소리를 듣는다

겨울 아침, 동력경운기에 시동 거는 그 소릴

듣는다 가르릉거리다 픽 꺼지는

고집 센 이 두렁의 폐허, 옮겨붙다 사그라드는

불길, 불은 풀의 폐허를 건드리지 못한다

제때 시동 걸리는 것은 生이 아니라는 듯





먼저, 문태준의 이 시가 그려내는 그림은 이렇다 :


ⅰ) 겨울 아침, 나는 논이나 밭의 두렁 앞에 서 있다. ⅱ) 늙은 남자(“늙은 군복바지”의 이미지는 ‘낡은 군복바지’를 작업복으로 입은 초로의 남자를 불러낸다)가 두렁에 쥐불을 놓는다. ⅲ) 남자가 놓은 쥐불은 풀이 돋지 못한 폐허의 땅에 맞딱드리게 된다. ⅳ) 그 폐허의 땅에는 쥐불이 옮겨 붙을 풀이 없으므로, 불은 그곳에서 사그라든다. ⅴ) 나는 그 광경을 동력경운기에 시동을 걸다가 픽 꺼지는 소리로 겹쳐 듣게 된다. ⅵ) 나는 폐허 앞에서 멈춰 서버린 쥐불의 불길을 제때 시동 걸리지 않는 生으로까지 읽는다.


농촌에서 쥐불놀이의 풍속은, 농사가 다 끝난 겨울 논밭두렁에 불을 놓아 그 불로 쥐와 해충을 죽이며 동시에 그 재를 거름으로 활용하고자 하는 것이다. 그 일은, 농사가 끝난 한적한 철에 농사의 시동을 거는 일에 다름 아니다. 논밭두렁에 땀을 적실 것을 예비하는 이 풍속은 불꽃의 이미지가 그러하듯 열렬한 활기와 희망에 차 있어야 마땅하다. 그러나, 이 시에서의 쥐불놀이는 조금 쓸쓸하다. 불길의 열렬함도 폐허의 땅 앞에서는 맥을 못 춘다. 삶의 열정도 한 시절이 지나가면 언제까지나 쌩쌩하게 시동 걸릴 수는 없는 노릇일까.


어둡지만 곧 밝아오는 겨울의 아침. 절망과 희망이 미묘하게 교차하는 그 시간. 시골의 늙은 사내는 자신과 한 몸을 이루는 낡은 군복바지를 꿰어 입고 두렁에 선다. 그리고서는 삶의 시동을 켜듯 쥐불을 놓아본다. 동력경운기의 시동을 걸듯. 털 털 털 털, 경운기의 시동을 걸기 위해서는 팔을 거칠게 휘둘러야 하듯 긴 부지깽이를 내둘러본다. 겨울의 희망을 내두른다. 이제 작은 불꽃은 풀 위로 떨구어져 큰 힘을 이루어 두렁 위를 달린다. 허나, 곧 폐허의 땅을 만나 숨을 거두고 만다. 낡은 군복바지는 더 이상 젊은 군인들의 씩씩한 패기와 탄탄한 근육을 담지 못하며, 풀이 돋지 않는 폐허의 땅에서는 불의 온기마저 거두어드리지 못한다. 불에 타 죽지 못하는 두렁의 땅은 이듬 해 봄에도 다시 새로운 거름을 얻지 못해 新生하지 못하리라. 차라리 내가 늙은 군복바지의 사내가 되어서 그 폐허의 땅 위로 쥐불 대신 굴러보고 싶으다.


내 어린 시절 어둠을 틈타, 부모와 형 몰래 빠져나와 동네 악동들과 논밭을 쏘다니며 불을 놓던 그 쥐불놀이에는 유희의 추억이 쌩쌩한 즐거움과 함께 담겨 있었다. 무언가 앞날의 노동을 앞 둔 일꾼의 자세가 아니라 야밤에 깡통 돌리는 불장난에 불과했으나, 우리는 즐거웠고, 그 즐거움은 내 추억 속에서 여전히 불타고 있다. 이 시는 나의 행복했던 쥐불놀이 추억을 배반했으며 그 배반은 쓸쓸함을 안겨다 준다. 그러나 제때 제때 불붙지도 않으며 제때 제때 불끄지도 못하는 게 生이란 걸 이제 조금은 알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