ㅡ 고종석의 시인공화국 풍경들, 서정주편에서

http://news.hankooki.com/lpage/life/200504/h2005040516554567740.htm

 

시인공화국 풍경들, 이번 주는 서정주다. 서정주 시선집 <국화 옆에서>를 읽으며, 그 언어의 도저한 관능에 깜짝 놀랐던 때가 떠오른다. 고종석의 이 글은, 혐오스런 행적의 시인 서정주에 대한 날카로운 정치적 비판을 가하면서도 그의 놀라운 언어 능력에 대해서는 침묵을 다무는 이들과, 정치적 행적들을 전혀 무시해버리고 서정주 시에 대해 찬양하는 이들 어느 편에도 기울지 않으면서도 서정주의 시 세계를 잘 안내한 글이다.

"... 이런 평가의 혼돈과 불능을 치유할 길은 없는가? 있다. 문학적 재능 곧 글 쓰는 재주라는 것이 본질적으로 춤추는 재능과 다르지 않다는 것을 선선히 인정하는 것이다.

그럴 경우, (시민으로서의 정치적 행적이 아니라) 문인으로서의 정치적 행적을 심문하는 것은 무용가로서의 정치적 행적을 심문하는 것만큼이나 부질없는 일이라는 점이 또렷해진다.

문학이라는 장르에 특별한 위엄을 부여하고 싶은 사람들에게는 슬픈 일이겠지만, 문학은 그 정도로 시시한 것이다. 엄중한 것이 삶과 역사라면, 하찮은 것이 문학이다. 미당은 시시한 삶을 살면서도 결코 시시하지 않은 문학을 이뤄냈고, 그럼으로써 문학이라는 행위 자체가 시시하다는 것을 역설적으로 보여주었다."

 글의 꼬리 부분이 특히 인상적이다. 나는 그러나 고종석의 문학관 전부에 동의하지 않는다. 시란 말의 춤이고, 말부림의 재주라고 할 수 있지만 서정주는 정치적 행적에서뿐만 아니라 그가 부리는 말들의 춤을 통해서도 정치적 간음을 하지 않았던가. 그러니 그의 춤은 춤대로 놓아두고 그의 정치적 삶은 삶대로 놓아두고 볼 수는 없는 노릇 아닌가. 때문에 많은 논자들이 문인으로서의 서정주의 정치적 행적을 심문하는 일을 부질없는 일이라고 말할 수 없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노부후사 2005-04-07 15:5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흠... 찾아 읽어봐야 겠습니다. 고맙습니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