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인문학상 수상작 모음집 1956~1960 - 1~5회
서기원 외 지음 / 조선일보사 / 2004년 1월
평점 :
절판


동인문학상의 1회에서 5회까지의 수상작 모음집. 흥미로운 사실 한 가지. 1회 수상작가인 김성한의 회고에 따르면, 첫 회 수상식 때에는 <사상계>의 재정이 어려워서 빈 봉투를 주고받기로 하고 실제로 그랬단다. 지금은 조선일보사로 넘어가고 돈 잔치(?)가 되어버린 동인문학상을 떠올려 보면 여러 감정들이 오간다.

김성한의 <바비도>는 ‘1419년 이단으로 지목되어 분형(焚刑)을 받은 재봉직공’ 바비도의 이야기. 바비도의 죄목은 영역 성경을 읽었다는 것. 권력유지를 위해 소수가 독점하던 성경 해석권에 이 가련한 바비도가 도전한 까닭이었다. 우리가 진리를 알아내기 힘든 까닭은 몇몇 소수가 진리를 독점해왔기 때문…? 그런 의미에서 내 머릿속에는, 예수나 바비도나 전태일은 같은 선상에 놓인다. <전태일 평전>을 읽고 <바비도>를 읽어보자. 바비도의 이름을 지우고 전태일을, 영역 성경을 지우고 근로기준법이라고 써넣고 다시 읽어보자!

선우휘의 <불꽃>은 일제강점기에서부터 한국전쟁 당시까지를 시적 배경으로 삼아 주인공 ‘현’의 파란한 생을 그린다. 워낙에 그 시절이 찢기고 찢기던 시절이라는 데에는 다들 동의할 수 있을 것이다. 그 시대를 살아가는 현의 갈등은 이것이다 : ‘조용한’ 인간 대 광기의 청부업자의 대결. 물론 조용한 인간이야 현 그 자신(확장한다면, 길가에 쓰러져 죽은 어린 병사나 도살장에 끌려가는 소까지). 청부업자들은 일본의 아시아 침략을 정당화하여 연설조로 장황하게 얘기하는 다카다 교수나, 이북 출신의 레드콤플렉스 환자인 교장, 자신들의 “솜옷에 들끓는 이를 퇴치하”지도 않으면서 “인민의 해방이란 방정식에 절대적인 의미를 붙이고 이를 갈고 있는 이들”(=좌파 독립운동가?), “착취 없고 계급 없는 사회의 건설”을 꿈꾸는 옛 친구에서 자신의 추적자가 된 연호. 마지막 장면에서 연호를 피해 달아나 동굴에 숨어있던 현은, 연호를 총으로 쏴죽이고 청부업자들을 거부하기로 다짐한다. 현이 조용한 사람들의 세계를 위해서 조용한 사람이 되기를 포기한 것이다. 이 소설의 쓰이지 않은 뒷부분을 독자들은 현이 광기의 청부업자가 된 것으로 써야 할 듯싶다. 조용한 사람의 세계를 지켜내기 위해 광기의 청부업자로 탈바꿈한 현의 무시무시한 얼굴을 떠올리며….

자, 그러면 어느 정의(?)의 테러리스트가 나타나서 그를 죽이고 조용한 세계의 평화를 지킬 것인가. 오상원의 <모반>은 테러리스트의 회심을 다룬다. 뚜렷한 정치적 목적을 위해서 목표물을 가차 없이 제거해야하는 운명의 테러리스트마저도 인간의 피와 살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불꽃>과는 대조되는 인간 관찰법이랄까.

손창섭의 <잉여인간>은 만기치과의원을 둘러싼 인간 군상. 서만기라는, 대가족의 생계를 홀로 책임지면서도 동시에 전인적인 능력과 품성를 지닌 의사가 중간에 서고 그 주위에 비분강개의 인간인 채익준, 실의의 인간인 천봉우, 서만기를 흠모하는 여러 여인들이 둘러싼다. 각각의 인물들의 모두 문제를 가지고 있는데, 그 탈 많고 흠 많은 인간들의 중심에 서만기가 서게 됨으로써 겪게 되는 또 다른 문제. 확실히 인간의 문제는 인간에게 있다.

이범선의 <오발탄>은 한국영화의 고전이라고 알려진 같은 제목의 영화 <오발탄>의 원작소설. 혹자들은 영화가 원작보다 훨씬 뛰어나다고 하는데, 영화를 보지 않아 확인이 되지 않아 아쉽다. 소설만큼은 뛰어나다. 소설 구성면에서, 치매 걸린 송철호의 어머니의 “가자.”라는 외침을 반복해서 보여준다든가, 마지막에 택시 안에서 철호가 강도와 양공주가 된 동생들과 아이를 낳다 죽어버린 아내를 떠올리면서 어디로 가야할지 몰라 자꾸 행선지를 바꾸는 모습은 철호와 독자를 한꺼번에 돌아버리게 만들도록 세심하게 배려(?)한다.

서기원의 <이 성숙한 밤의 포옹>에서는 50년대의 전쟁 냄새가 짙게 난다. ‘나’가 전선에서 이탈해 애인을 찾아가지만 그 만남이 두려워 근처의 사창가로 흘러 들어가 겪는 이야기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