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인을 위한 변명 한마당 글집 1
장 폴 사르트르 지음, 조영훈 옮김 / 한마당 / 1999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지식인이란 무엇인가? 그걸 정의 내릴 수 있는 능력이 내겐 없다. 다만, 야금야금 책읽기를 시작할 때 처음 만난 강준만의 『인물과 사상』들과 그 외의 저서들을 통해서, 지식인이란 비판적이며 자기 성찰을 할 줄 아는 지성인으로 생각해왔다. 그렇기 때문에 나는 아무런 저항 없이 비판적, 성찰적 지식인과 그 반대편에 선 이들로 구분해왔다. 비판을 할 줄 모르는 지식인은 지식인이 아니라는 게, 지금까지도 남아있는 내 생각이다. 강준만적인 생각은 그의 저서를 많이 읽지 않고 있는 요즘에도 완전히 의식의 기저에 깔려 작동하고 있는 모양이다.

최소한, 한국 사회라는 기괴한 현실 속에서 지식인의 성찰과 비판은 배부른 선택 사항이 아니었다. 그건 지식인들의 지식인이라 일컬어지는 강준만이 퍼뜨린 '지식인론'의 파장이기도 했지만, 함석헌, 김재준, 안병무, 리영희로부터 홍세화, 진중권, 박노자, 그리고 숱한 인터넷 논객들을 기억하고 있는 한국인에게는 '정말 그렇다'라는 강한 긍정일 수밖에 없다.

1965년 9월과 10월에 걸쳐 사르트르가 일본에서 행한 세 차례 동안의 강연을 수록한 이 책은, 물론 한국 사회와 한국의 지식인을 말하지는 않는다. 그러나 그의 지식인론은 사르트르 당대의 사회 현실과 그에 따른 사르트르의 비판적 사고과 선택을 떠나서 우리에게 시사해주는 점이 너무도 많다.

'지배 계급은 그 자신의 궁극적인 목적인 '이익'에 준하여 실용적 지식을 가진 전문가들의 수를 결정한다. 지배 계급은 동시에, 산업 발전의 정도에 따라, 또 경제 상황과 새로이 등장한 필요에 맞춰, 잉여가치분의 얼마를 그들 전문가의 봉급으로 내줄 것인지를 결정한다. 오늘날, 사태는 명약관화하다. 기업은 대학으로 하여금, 낡아 퇴색한 인문주의(人文主義)를 포기하고, 그 대신 기업진단가나 중간관리자, 전문가 등을 공급해 줄 전문화된 학습을 시행하도록 하기 위해 손을 뻗치려 하고 있는 것이다.'(30쪽)

놀라지 마시라.(강준만의 말투로!) 이건 한국의 어느 비판적 논객이 게시판에 올려놓은 언사가 아니다. 아마 사르트르가 당대의 프랑스를 두고 한 말일 것이다. 하지만 '지금, 여기에서'도 사르트르의 말에는 아직 불씨가 사그라들지 않고 있다.

실상, 이 강연들은 사르트르의 지식인으로서의 자의식을 엄살 섞인 목소리로 담아낸 것일 게다. 즉, 나는 많이 아는 놈이다. 나는 부르주아도 아니고 프롤레타리아도 아니다. 괴롭다. 으아! 아, 그래. '자기가 사는 사회를 이해할 수 있는 방법은 단하나, 가장 혜택받지 못한 계층의 관점에서 사회를 바라보는 것이다.'(72쪽) 십자가를 져라, 이 먹물들아!

자기 분석을 통해서 자기 결단에 이르는 사르트르의 고뇌와 사유, 그리고 삶의 선택의 치열함은 이 책의 두께를 착각하게 만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