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락방
양태석 지음 / 해토 / 2004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寒苦鳥. 전설의 새. 히말라야 산에 산다지만, 게을러서 둥지를 틀지 않는다, 그래서 늘 춥고 괴롭다. 「길」의 어느 작중인물이 한고조라는 새를 두고 이렇게 말한다.

'히말라야산에 산다고 알려진 전설상의 새인데요. 이 새는 둥지를 틀지 않아 밤마다 추위에 떨면서 내일은 꼭 둥지를 지어야지, 하고 다짐한다고 해요. 그런데 다시 낮이 되어 따뜻해지면 여전히 둥지 지을 생각을 까맣게 잊어버리고 게으름만 피우는 거예요. 다시 밤이 오면 아이 추워, 아이 추워, 하면서도 또 추위에 떨고……. 낮이 되면 다시 게으름을 피우고……. 말하자면, 늘 세파에 시달리면서도 워낙 게을러 깨달음의 길로 나서지 못하는 인간들을 이 새에 비유하는 거랍니다.'(137쪽)

아, 그래, 어떤 인위적인 브레이크를 걸지 않으면 삶은 늘 그런 식이지. 차라리 등 위에 버거운 집을 얹고 아주 무겁게 무겁게, 한 걸음 한 걸음씩 자기 길을 더듬는 달팽이는 얼마나 행복한가. 그러나 우리는 결코 등허리 위에 집을 짓지 않는다. …짓지 못한다. 신의 얼굴을 한 예수조차도 등 위에 따스한 천국의 집을 짓는 대신 차가운 패배의 상징을 어깨에 짊어지지 않았던가.

한고조의 안타까운 날갯짓이 인간 모두의 일이다. 그러나 그 자신의 고단한 날갯짓을 깨닫는 일은, 그 자신의 이름을 한고조라고 낮게 부르짖는 일은, 누구나 가능한 일은 아닐 터. 이때의 한고조는 새로운 정의가 필요타.

양태석의 소설집 <다락방>에는 숱한 한고조들의 등장한다. 물론 새로운 정의의 한고조들이. 그들은 바로 소설가 나부랭이다. 그들의 궁핍한 일상이, 우울한 심정이, 때로 주절주절 잡담들이, 그들을 한고조라고 커밍아웃하게 만든다. 다른 누구보다도 너절한 생활 속에서 그 자신을, 세계를, 타인의 얼굴을 꿰뚫어보려 한다. 안쓰러운 날갯짓이다. 결코 둥지를 틀 수 없는 날갯짓을, 그들을 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안락한 둥지를 틀고서 그 안에서 움츠린 가운데 거짓 행복을 누리는 새가 이미 한고조가 아니라는 사실을 그들은 너무도 잘 알고 있다. 그래서 더 괴롭다. 날갯짓을 포기한 새는 그 출발이 땅의 끝, 산의 정상에서였더라 하더라도 하늘에 이를 수는 없다. 한고조의 꿈은, 하늘의 끝에 다다르자는 게 아니다. 둥지를 틀지 않고 떠돌며, 한껏 괴로워하며, 시리도록 푸른 하늘을 누리자는 거다. 하늘의 끝을 바라보며 하늘을 누리자는 거다. 칼 같은 추위에 맞서자는 거다. 그러므로 한고조들은, 히말라야 산의 정상에서 집을 짓지 않고 정처 없이 오늘도 떠돈다. 산 아래의 아득한 세계를 내려다보고 높이의 끝을 동경한다.

한고조는 유년기를 새장에서 보냈다. 그래, 「다락방」이다. 음습한 곰팡내와 바퀴벌레들이 이 괴로운 새의 벗이었다. 남몰래 행한, 음울한 사유의 예배가 이 수줍은 새가 감추고 있는 정신의 알몸이었다. 다락방이란 새장에서의 추억은 외려 지금을 생각하게 한다. 누구나가 「관객」이 되어버린, 제 삶을 버리고 안락한 둥지만을 틀고 있는 지금을. 한고조는 멸종하고 있는가. 당신은, 세계라는 커다란 새장에 갇혀 있길 거부하고 끝없이 알에서 부화하기 위해 세계를 깨뜨릴 수 있는가. 그러면, 당신은 한고조라고 스스로를 부를 수 있게 되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