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수는 없다 - 기독교 뒤집어 읽기
오강남 지음 / 현암사 / 2001년 5월
평점 :
구판절판


성경이 아니라 생활에 밑줄을 그어야 한다는
그의 말은 집사들 사이에서
맹렬한 분노를 자아냈다, 폐렴으로 아이를 잃자
마을 전체가 은밀히 눈빛을 주고받으며
고개를 끄덕였다, 다음주에 그는 우리 마을을 떠나야 한다
(…)한참 동안 무엇인가 생각하던 목사님은 그제서야
동네를 향해 천천히 페달을 밟았다, 저녁 공기 속에서
그의 친숙한 얼굴은 어딘지 조금 쓸쓸해 보였다

― 기형도 「우리 동네 목사님」

예수는 없다? 다소 상업주의 냄새를 풍기는 선정적 제목이 거슬렸지만, 이런 책이라면 백 번이라도 용서가 된다. 선정적 제목 때문에 더 많은 독자가 생긴다면 그것도 좋은 일이 아닐 수 없는 것이다. 예수를 잘못 읽고 있는 모든 독자들이여, '그런 예수는 없다.'

비교종교학자 오강남의 '기독교 뒤집어 읽기'는 사실상 '기독교 바로 읽기'나 '기독교 제대로 읽기'이다. 어느 문명비평가가 지적했다는 '무슨 증거, 무슨 논리, 무슨 개인적 체험, 그 어떤 것을 들이대어도 '계시된 진리'에 대한 근본주의자의 마음을 바꿀 수는 없다.'(47쪽)는 인용은 꽉 막혀 있는 한국 기독교계의 어둠에 자신의 저서가 얼마나 빛이 되어줄 수 있을지 하는 의심과 회의의 표현이다. 하지만, 논문식 글쓰기에 익숙할 그가 쉬운 말로 진실을 담아 쓰기 위해서 얼마나 힘을 기울였는지 알게 된다. (더 찾아보고 싶은 독자를 위해서 꼼꼼하게 참고도서목록과 원문의 출처를 제시하는 친절한 저자!)

폐쇄적·독단적이며 근본주의, 율법주의, 문자주의적 성경해석 등의 온갖 난감한 늪에 빠진 한국 교회의 문제 제공의 1차적 원인은 한국에 기독교를 소개한 선교사들에 돌려질 수 있다. 그러나 그 우물 밖으로 빠져 나오지 못하고 교회 체제를 무반성적으로 유지, 확대시키려는 목회자 및 일반 신자들에게 더 큰 문제가 있다. '많은 외국 신학자들의 연구에 의하면 교회가 성장하기 위해서 갖추어야할 필수 조건으로 대략 1) 교리의 절대화, 2) 획일적인 행동강령, 3) 무조건적인 복종, 4) 철통같은 소속감과 헌신, 5) 전도열 등을 꼽는다'(268쪽)라는데, 이런 것은 부정적인 한국 교회를 분석해낸 결과에서 얻어낸 것이 아닌지 의심스러울 정도로 들어맞는다. 웃을 수밖에 없고, 웃을 수도 없는 현실이다.

사도 바울은 '내가 어렸을 때에는 말하는 것이 어린아이와 같고 깨닫는 것이 어린아이와 같고 생각하는 것이 어린아이와 같다가 장성한 사람이 되어서는 어린아이의 일을 버렸노라.'(고전13:11)고 고백했다고 한다. 어린아이의 믿음은 순수하고 강하지만 의심할 수 없다는 점에서 위험할 수 있다. 산타 클로스가 있다고 믿는 아이는 아름답고 순수한 영혼을 가지고 있지만 산타의 선물을 받기 위해서 집에 굴뚝을 뚫는 불혹이 넘은 아이 아닌 아이를 우리는 그대로 둘 수는 없는 노릇 아닌가. 김진호 목사의 말처럼, 진리를 위해서 죽을 수 있는 자를 우리는 경계해야만 한다.

…기형도의 어느 시에서 나오는 '우리 동네 목사님'은 얼마나 기다려야 다시 돌아와서, 아이들과 웃는 얼굴로 목사관 뒤터에 푸성귀를 심을 수 있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