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학과 굴뚝청소부
이진경 지음 / 그린비 / 2005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아주 유명한 철학책. 많은 대학생 독자들이 이 책을 밟고 지나갔으리라. 그리고 나도 그 선배들처럼 이 책을 밟고 지나간다. 철학이 전공인 것은 아니지만, 거의 모든 인문사회과학이 철학적 토대가 없으면 이해하기 힘든 만큼, 기초적인 내용은 알고 있어야 할 것이다. 게다가 그렇게도 많이 읽힌 책을 나도 한번 읽어보자고, 이진경이란 매력적이고 성실한 학자를 단순한 풍문이나 인터뷰 글이 아닌 그의 저서를 통해 만나보자고, 생각했다.

내가 읽은 이 증보판은 멋진 표지와 세련된 디자인으로 탈바꿈한 것 이외에, 도판 텍스트를 추가한 것이 눈에 띤다. 무수한 선배들이 읽은 책과는 조금은 다른 셈이다. 곳곳에 삽입된 도판 텍스트는 그야말로 대위적인데, 솔직히 철학을 모르는 나로서는 이쪽이 더 흥미로웠다. 꾸벅꾸벅 졸다가도 도판을 볼 때는 가끔씩 눈을 번쩍 뜨기도 했으니.

'철학과 굴뚝청소부'라는 책의 제목은 조세희의 소설 <난.쏘.공>에서 빌려온 것.
- 문제 : 두 사람의 굴뚝 청소부가 청소를 마치고 내려왔다. 한 사람은 얼굴이 더러웠고, 한 사람은 얼굴이 깨끗했다. 이 중 과연 누가 세수를 하게 될까?
- 답 : 얼굴이 깨끗한 사람이다. 상대방의 얼굴을 보고서, 자기도 더러우리라고 생각할 것이기 때문이다.

데카르트 이후 근대철학이 인식하는 주체와 인식되는 대상으로 양분된, '굴뚝청소부의 딜레마'를 가지고 데카르트에서부터 푸코에 이르기까지 여러 철학자들을 훑고 지나간다. 이 책을 쓸 당시 ('근대성' 연구를 위해) 이진경은 알튀세르의 '문제설정'이란 개념을 적극 받아들이고 이에 따라 철학독서를 감행한다. 그것이 이 책이 다른 서양철학개론서들과는 다른 점이다.

무식한 내가, 저자의 의도와 상관없이 이 책을 읽고 크게 알게 된 점 하나는, '위대한 철학자는 알튀세르의 말처럼 '극한에서 사고하고 극한을 넘어서려고 감행한 사람'이라고도 할 수 있겠습니다.(20쪽)'라는 것. 그래서인지 철학자들은 정상에서 정상으로, 이리저리 도약한다. 그래서 그들의 우주에서 균열과 경계가 보이는데 이를 더듬어보는 것이 이 책의 작업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