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 안에서의 택시잡기 민음의 시 16
장정일 지음 / 민음사 / 1988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악마 같은 장정일의, 마력적인 시를 읽는 일은, 매력적이다. 장정일의 시는 쉽고, 재미있다. 시를 읽지 않는 사람에게도, 권해주고 싶다.

장정일의 시는 다채롭고, 이채롭다. 그의 문학에 대한 욕망은 자꾸만 환유 되는지, 시에서 시로, 시에서 소설로 영화로 희곡으로 시나리오로, 자꾸만 자꾸만 옮아간다. 전염된다. 예를 들자면, 시 「요리사와 단식가」는 영화 [301·302]의 모티브이다. 서사가 있는 시들이 많기 때문에 어쩌면 그가 시에서 소설 등으로 업종변경을 하게 된 것은 예상된 일인지도 모른다. 형식의 면에서도 다양한 실험을 하면서, 그의 시들은 다양한 화학반응을 보인다. 「라디오같이 사랑을 끄고 켤 수 있다면」은 김춘수의 잘 알려진 시, 「꽃」을 패러디한 시이다. 「약속 없는 세대」는 하나의 세대론이다. 「잔혹한 실내극」, 「즐거운 실내극」, 「진흙 위의 싸움」은 희곡의 모양새를 보여준다. 「자동차」는 영화 시나리오의 꼴을 띤다. 「조롱받는 시인」은 시인 장정일 자신의 경제적 무능력함을 기사화된 문체로 희비극적으로 보여준다. 「독일에서의 사랑」과 표제시인 「길안에서의 택시잡기」는 시작(詩作) 과정을 보여주는 시에 대한 시 쓰기이다.

「삼중당 문고」는 장정일의 한 생애를 집약적으로 그려놓은 이력서이다. '삼중당 문고'라는 문고판 책들을 탐독해 나갔던 지난 젊은 날이 오늘의 장정일을 있게 했을까.

장정일에게 있어, 시 쓰기는 자신과 세계에 대한 환멸감 드러내기 작업이다. 그러나, 어찌하랴. 그만큼 환멸스런 세계를 그도 아직 '달리고' 있지 않은가. 달린다는 것은, 그만큼의 세계애와 자기애를 포함한 것이다. 비탄함 속에서도 철저히 숨길 수 없는.

장정일에게 섹스는 주요한 테마이자 레토릭이다. 사도마조히즘에 대한 다양한 변주가 이 시집에서도 조금은 싹이 보인다. 그가 왜 그렇게 그것에 집착하는지 정확히는 알지 못하지만, 「나, 실크 커튼」에서 보여주는 바에 따르면 조금은 남성 중심의 시각이 드러나는 것은 아닌가 생각해본다. 실크 커튼이란 장벽을 두고서 벌어지는 남자의 관음증과 여자의 결백증을 보여준다. 그런데 결국 실크 커튼은 남자에게 주도권이 있다. 실크 커튼은 남자에게서의 시작되는 (화자의) 시점의 위치를 조금은 알려주는 장치가 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