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들도 세상을 뜨는구나 문학과지성 시인선 32
황지우 지음 / 문학과지성사 / 1983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나는 내가 쓴 詩를 두 번 다시 보기 싫다. 혐오감이 난다. 누가 시를 위해 순교할 수 있을까? 나는 시를 불신하고 모독했다. 사진과 상형문자 사이를 오락가락하며, 아 그러니까 나는 시가, 떨고 있는 바늘이 그리는 그래프라는 것을 波動力學이라는 것을, 독자께서 알아주시라고 얼마나 시의 길을 잃어버리려고 했던가. 죄송합니다.'라던 황지우.

그러니까, 자괴감이 느껴지는 이 自序는 그의 시집의 마지막 화룡점정이다. '사진과 상형문자 사이'라는 지나가는 듯한 말로서 그의 시들의 독특한 실험-파괴-의 방법론을 확실히 설명한다. 지금 이 글에서는 그의 시들이 구현 불가능하는 것이 아쉽다. (그의 시는 시각적 미학에까지 닿아 있으므로.) 그의 시는 詩文이면서 詩問을 市門에 닿게 한다. 시장의 잡담과 통속의 언어인 듯하면서 시처럼 울림이 있다. 그의 시는 詩畵로 詩話를 詩化한다. 시에 그림이 더한 詩畵가 아닌 글자 속으로 그림이 녹아 들어가고, 그림 속으로 시가 빨려 들어간 詩畵이다. 또, 시에 대한 시들(메타 시)도 시가 됨을 보여준다. 시를 통해서 시 쓰기에 대한 자의식을 보여주는 것이다. 이러한 메타 시들은 '도대체 시란 무엇인가'를 되묻기도 하는 것이다.

'다섯 살 난 한 아이가 공터에서 힘껏, 돌을 던진다.'(87쪽)로 시작하는 어떤 시는 제목마저 달아나고 없고 단지 글꼴이 크게 부각된다. 「묵념, 5분 27초」는 시의 제목만 있고, 내용이 실종되었다. 그야말로 내용은 5분 27초 동안 묵념하고 있는 것이다.

「한국생명보험회사 송일환씨의 어느 날」(109∼111쪽)은 신문 읽기를 詩化한다. 즉 신문을 시각적으로 훑어가는 송일환의 안구 움직임을 따라가면서 시가 만들어지는 것이다. 그래서 '표를 주워 주인에게 돌려 / 준 청과물상 金正權(46)'과 '령=얼핏 생각하면 요즘 / 세상에 趙世衡같이 그릇된'과 같은 연이 이어질 수 있다. '미디어가 곧 메시지'라고 하던 맥루언의 말처럼 그는 신문의 모자이크성을 시적 구성으로 삼고 있다.

「이준태(1946년 서울生, 연세대 철학과 졸, 미국 시카고 주립대학 졸)의 근황」은 어느 2인칭을 두고 말한 어지러운 잡담 또는 환멸적인 넋두리 가운데에 글 상자를 넣어 '사람이 산다 / 사람은 산다 / 살아 있는 날만 / 그리고 大腦와 / 性器 사이에 / 사람들 세상이 있다'를 부각시킨다. 혼란과 무질서 안의 시. 또는 시 밖의 혼란스러움. 그리고 시인과 시인 밖의 세상. 이 시에서는 네모 상자가 테두리를 갖고 있지만, 실제 세계에서는 그렇지는 않은 듯 하다. 그래서 사람은 살기 사는데 살아 있는 날에만 살고 그 나머지의 날들에는 죽어 있다. 그리고 대뇌와 성기의 각각에서 사는 것이 아닌 그 사이에서 사람들이 사는 것이다.

「숙자는 남편이 야속해 ㅡ KBS 2TV · 산유화(하오 9시 45분)」는 모더니즘의 패러디 또는 포스트모더니즘의 혼성모방의 방법론이 드러나는 시이다. 신문의 텔레비전 프로그램 안내란의 문구들과 화장실의 음담패설에 가까운 낙서 같은 문장을 나란히 배열했다. (이것은 신문의 사람찾는 광고문안들을 주욱 보여주고 나서, '나는 쭈그리고 앉아 / 똥을 눈다'라는「심인」에서도 사용되고 있다.) TV 프로 안내와 같이 똑같은 너비에, 마지막 문장은 말줄임까지 같다. 같은 형식을 사용한 두 글 사이에 무슨 차이가 있을까? TV와 낙서/음담패설은 구분될 수 있는가? 우리는 TV를 통해 끊임없이 배설하고 잡담하고 음담패설을 나누고 있다.

황지우의 시집 『새들도 세상을 뜨는구나』는 재미있으며/슬픈 시들이다. 실험적인 시의 이채롭고 다채로운 결들이 느껴지면서, 또 한결같이 시대와 시인의 어둠에 손을 넣어 말하고 있다. 도무지 알 수 없는 시들이며, 알 수 없는 세상들이다. 그래서, 시인은 이렇게 말한다. 아니, 보여준다.

????????????
????????????
????????????
????????????
(이것을 거울에 비추어볼 것)

ㅡ 「의혹을 향하여」 부분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