햄버거에 대한 명상 - 민음의 시 7 민음 오늘의 시인 총서 25
장정일 지음 / 민음사 / 1987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고등학교 시절, 정확히 언제인지는 모르는 때. 동네 서점에 둘러 이것저것 둘러보다가 평소에 무관심하던 시집 코너에 나도 모르게 서있게 되었다. 잠시 후, 내 손에 들린 시집은 장정일의 『햄버거에 대한 명상』이었다. 장정일이란 문제아적인 인간도 알고 있었고, 이 시집 이름도 알고 있었지만, 그 알맹이를 직접 맛본 적은 없었다. 그 알맹이의 맛은, 신선!했다. 그리고 나서 몇 년 후, 지금. 나는 급히 훑어보고 급한 감동을 속이 체한 듯 받은, 그 시집을 다시 보게 되었다. 이제는 천천히, 즐기면서, 처음부터 해설부분까지 전부 맛보았다.

예전의 그ㅡ신선한ㅡ맛이 아니었다.

물론 장정일의 시들이 바뀐 것은 아니다. 나란 불량독자가 바뀐 것이다. 이 시집을 서점에서 빠르게 훑어 보았을 때 받았던 작은 충격 같은 감동을 느끼게 했던 시들(<햄버거에 대한 명상>, <아파트 묘지> 등)은 오히려 감동에서 멀어져 있었다. 오히려 그 이외의 시들에게서 약간의 운율을 느끼게 하는 시들을 발견했을 뿐.

왜 그럴까, 생각해보았다. 그리고 한 가지 단서를 발견했다.

“시란 노래인 것이다.”

이 시집을 처음 봤을 때는, 기발한 발상이 담긴, 그래서 너무도 신선한 시들을 느꼈던 것이다. 그러나 두 번 봤을 때 그 발상은 이제 반은 죽어버린 것이 돼버렸던 것이다. “낯설은 것”이 시라고 할 때, 이 시들은 좋은 시임에 틀림없지만, “노래”가 시라고 할 때 이 시들이 (일반 독자, 즉 시를 읊조릴 사람들에게는) 끝까지 좋은 시라고 남을 수 있을 지는 의문인 것이다. 우리가 새로운 노래를 접하게 될 때 낯선 노랫말들과 가락에 의해 신선함을 느낄 수는 있지만, 계속 듣게 된다면 그 노래의 신선함은 어느 정도 퇴색해 있을 것이다. 그래서 노래는 자꾸 들어도 그 새로움이 지겹지 않고 오히려 귀에 익어질수록 좋아지는 노래가 좋은 노래라고 할 수 있다. 그것이 바로 음악성이다. 시에도 발상만 있는 것이 아니라 음악성이 있는 것이다. 좋은 운율감은 곧, 중독성이고, 그 중독성은 좋은 시의 가장 마지막 단계가 아닐까.

비교해보자. 이 시는 두 번째 읽었을 때 가장 뛰어난 시라고 생각했던 것. <사철나무 그늘 아래 쉴 때는>

*어쨌든, 지금껏 읽은 시집 중에 가장 뛰어난 것의 하나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