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문 읽기의 혁명
손석춘 / 개마고원 / 1997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신문. 내게는 단순한 신문'지'가 아니라 선생님이시다. 세상을 보는 눈을 가르쳐주고 모르는 것에 대해 친절히 알려주는 고마운 존재. '아우라'라는 낯설고도 어려운 말을 처음 접하게 된 곳도 신문에서였으며, 그 뜻이 무언지 궁금히 여기다가 며칠 뒤에 그 뜻을 알려준 것도 신문 기사에서였다. (아우라는 예술작품에서 흉내낼 수 없는 고고한 '분위기'를 뜻하는 말이라고 한다.) 이처럼 내게 새로운 언어를 알려준 존재가 신문이었던 것처럼 세상의 새로운 것을 알려주고 설명해 준 것이 또한 신문이었다. 고로 신문은 책 이상의 스승이었다.

그러나, 신문은 참 스승은 아니었다. 신문은 내게 세상의 모든 가르침을 주는 것도 아니었으며, 진리(신문 기자, 그들이 말하는 팩트! 마저도 진리의 전부는 아니다.)만을 이야기하는 것도 아니었으며 세상을 보여주는 데에 신문이 쓰는 돋보기는 굴절되고 왜곡되어 있었다. 또한 생각해 보건대 신문이란 놈은 장사꾼이었다. 광고로 먹고사는 철저한 장사꾼. 게다가 강자에게 한없이 약하고 약자에게는 한없이 강한 동네 깡패이기도 했다. 돈과 힘에 혈안이 되어 이리저리 곡필을 일삼는 신문. 어느 순간, 그런 모습들이 신문에서 보이기 시작했다.

- A라는 제품 기사가 있다. 와~ 이 기사 보니까 정말 사고 싶네. 그리고는... 그 지면 아래에 어김없이 나오는 A 제품 광고.

- B 대학이 남다른 데가 있나보다. 정보교육에서도 앞서고, 총장이란 사람도 생각이 앞서나가는 듯 하네. 신문 기사에는 분명 그렇게 실려 있었다. 아... 그렇군 B 대학은 이제 발전의 길을 걷겠군. 자, 지면을 넘겨보면... 역시나 등장하는 B 대학의 대문짝만한 광고.

이렇듯, 나는 주로 광고와 기사와의 관계를 보는 독법을 통해 신문의 부조리한 점을 많이 보았다. 그러나 역시 광고 정도를 자세히 보고, 또한 신문의 '보이는 것'만으로 신문을 제대로 볼 수 있다는 것은 아니다. 그래도, 제대로 신문을 읽는 것은 보이는 것 즉, 편집을 제대로 읽는 것이 우선 되어야 한다. 이 책의 부제인 '편집을 읽어야 기사가 보인다'라는 말은 저자가 하고 싶은 말을 가장 잘 압축한 말이라 할 수 있다.

실제로 신문사에서 일하면서 편집을 담당했었던 저자 손석춘이 신문 편집에 대해 생각해온 것들을 이 책에 담아내고 있다. 이 책의 미덕에는 우리나라에서 발행되는 신문들의 기사를 갈무리한 사진이 많이 들어 있다는 점도 있는데, 이 때문에 내용의 이해도 빠르게 되고 그만큼 글이 줄어들어서 읽는데 부담이 줄어든다. 한겨레의 여론매체부 미디어팀장으로서 타 매체들을 비평했던 그의 전력도 이 책을 쓰는데 큰 도움이 되었던 모양이다.

이 책은 내게 신문 읽기의 '혁명'까지는 가져다주지는 않았다. 신문을 스승으로만 모시던 생각을 깨뜨리면 절로 신문에 대해 의심하게 되고, 편집도 다른 방법으로 보게 되는 것이다. 우리가 굳게 믿고 있었던 것. 그것에 대한 의심을 해보면 이전에는 생각지 못했던 것을 생각하게 되고 보이지 않았던 것도 보이게 된다. 의심은 때로, 눈을 열게 한다.

이 책, 신문에 대해 많이 알고 있지 않았던 사람에게는 분명 큰 도움이 될 만한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