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태일 평전
조영래 지음 / 돌베개 / 1983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인생의 어느 한 시기에 불쑥 찾아드는 알음과 앓음이 있다. 그 알음과 앓음은 또 때때로 책으로부터 오기도 한다. 내 경우에도 그런 책들이 있었고, 아직까지도 그 책들은 내 사고의 울타리를 치고 있다. 물론 그 이후에 그 책보다 더 깊은 울림을 주는 책들도 많이 있었지만, 그때의 깨어짐보다는 못한 것이었다. 일종의 인식의 전환이랄까, 세계관의 성립이랄까. 심각하게 말하자면 그런 정도이고, 아주 가벼이 표현하자면, 그것은 '깊은 감동'이란 단어로 바꿔 말할 수 있겠다. 나의 어느 한 친구에게 그 대단한 책은 바로 <전태일 평전>이란다.

<전태일 평전>은 난해한 현학을 담은 철학서도 아니고, 모호한 개념으로 도배한 이론서도 아니다. 아름다운 수사로 가득찬 시집도 아니고, 즐거운 소설 이야기도 아니다. 저명한 학자가 쓴 정교한 사회과학서도 아니며, 종교의 교리를 담는 신앙서적도 아니다. 그러나 이 책의 가치는 지금껏 나열한 종류들 이상일 것이다. 이 책은 하나의 도화선이었다. 천지간을 울리는 폭음으로 인간을 일깨우는 횃불, 그 횃불로 이어진 도화선.

가난과 착취, 억압에 대항해 자신이 인간이라는 선언을 한, 한 젊은 노동자의 이야기가 <전태일 평전>이다. 인간답게 살게 해달라는 노동자의 외침이, 그 뜨거운 분신이, 메아리쳐 울렸다. 그래서 전태일 이후의 한국과 그 이전의 한국은 전혀 다른 것이다. 전태일이란 청년의 죽음이 있었기에…, 라는 말이 가능하다면, 조영래가 있었기에…, 라는 말도 가능할 것이다.

전태일의 수기 곳곳에서 발견되는 뛰어난 문학성과 성찰은 그가 잘 배우지 못했다는 사실을 떠올리게 하고 그가 생전에 얼마나 심각한 사유를 했었는지를 짐작하게 해준다. 또 조영래의 펜을 더불어 죽은 전태일의 혼령은 새로운 입술을 얻어 한풀이를 한다는 점에서 조영래의 역량도 가히 짐작하게 해준다. 빼어난 영혼을 지닌 - 한 노동자와 한 지식인이 여기 이 책에서 만나는 것이다. 그렇게 이 책은 빈자의 철학인 동시에 인간선언의 철학을 우리에게 보여주며, 우리가 살아온 시대의 뜨겁게도 아픈 흔적을 드러내 보여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