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트 잇
김영하 지음 / 현대문학 / 2005년 10월
평점 :
품절


김영하의 산문집 <포스트 잇>은 포스트 잇처럼 가볍다. 가벼운 메모를 담는 포스트 잇처럼 가벼웁다. 그리고 언제든 다시 붙였다가 뗄 수 있을 만큼의 융통성도 정말이지 포스트 잇을 닮았다. 그런 감각은 젊은 소설가로서의 김영하의 소설을 그리고 그의 삶을 닮았는지 모른다.

이 책을 4월에 읽기 시작해서, 중간에 그만 읽다가 다시 6월에 빌려서 끝까지 읽어냈다. 많은 분량의 책은 아니지만 어쩌다가 그렇게 읽다보니까, 처음 읽기 시작한 때와 두 번째로 끝까지 읽었을 때의 느낌은 상당히 다르다. 처음 <포스트 잇>을 읽었을 때에는 인상적인 제목의 글들만 몇몇 개씩 중간중간 골라서 읽었다. 그래서인지 상당히 읽는 재미가 있었고 발상의 독특함도 느껴졌다. 그런데 두 번째로 끝까지 읽었을 때에는 순차적으로 처음부터 읽기 시작했고 처음보다는 독특한 미감이 느껴지지는 않는 듯 했다. 표지의 강렬한 주황색깔처럼 내용도 첫 인상만 강한 것일까? 아니면 개인적인 느낌에 불과한 것일까?

하지만 분명한 것은 김영하의 산문은 발랄하고 새로운 시각의 젊은 글이지 철학적인 사유가 진득하게 배어있는 그런 에세이들은 아니다. 가끔씩 진지한 삶의 성찰을 보여주기도 하는 글이 있기는 하지만, 이 책에서 맛볼 수 있는 김영하 산문의 묘미는 젊고 독특한 시각이며 유쾌한 분위기라고 할 수 있겠다. 그것이 김영하만의 득의의 영역이라 하겠고, 또 그 어떤 작가도 자신만의 독특한 영역 안에서만 빛을 발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면, 그렇게 아쉬운 것도 아니겠다. 하지만 신영복의 <감옥으로부터의 사색>을 읽었을 때의 그 오랜 파장의 감동은 접착력이 쉽게 사라져버리는 포스트 잇에서는 얻을 수 없는 것이겠다.

요즘 에세이의 문학성에 대해서 논한 권성우의 평문을 접하고, 그리고 스스로도 에세이의 매력에 대해 생각해본 일이 있어서, 에세이에 대한 입맛도 점점 높아지나 보다. 가벼운 에세이는 그 가벼움 때문에 오히려 깊이 있는 사색의 자유를 선사한다. 그래서 에세이는 어떤 문학 장르보다도 성찰적인 '삶'에 가까운 문학 장르이며 그래서 높은 문학성을 갖는다. 에세이여, 내게 오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