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관 옆 철학카페
김용규 지음 / 이론과실천 / 2002년 2월
평점 :
절판


많은 사람들이 영화에 대해 글을 썼다. 영화를 전공하거나 그쪽 직업을 가지지 않은 사람들도 많은 책을 냈다. 특히 인문학을 하는 사람들이나 문학을 하던 사람들이 철학적 시각을 통해서 영화를 보거나(또는 영화를 통해 철학적 사유의 아이디어를 얻거나) 문학을 비평하듯이 영화를 비평하는 작업을 많이 했다.

그런데, 영화 쪽 사람들은 이걸 그다지 반기지 않는 모양이다. 영화란 철학이나 문학과는 다른 언어와 다른 매체를 이용하고 다른 형식이기에 그만큼 차이가 많기 때문이다. 똑같은 줄거리에 똑같은 인물과 배경을 가진 소설과 영화라도, 표현의 방식이 나름대로 다르고 이런 작은 차이가 '전혀 다름'을 만들어 내는 법이다. 그러기에 영화 쪽 사람들의 이런 비판적인 견해에 고개를 끄덕일 수 있다. 그러나 인문학자나 그밖에 영화 밖 사람들의 시각은 '전문적'이지 않기에 오히려 신선할 수 있다.

『영화관 옆 철학카페』는 철학자의 시선으로 영화를 보여주고 있다. 행복, 희망, 시간, 사랑, 죽음, 성과 같은 보편적 주제를 다루었다. 이 주제들을 우리가 자주 들어본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로부터 칸트, 사르트르, 그리고 프로이트, 마르쿠제, 프롬 등에 이르기까지 여러 철학자들의 인생과 세상에 대한 깊고 넓은 사유들을 풀어내고 있다. 각 장이 주제별로 나뉘어져 있어서 그 주제에 대한 관심이 커졌을 때 읽기에 좋다. 책에 나오는 영화를 굳이 보지 않아도 글의 내용을 이해하는 데에는 큰 지장이 없지만 영화를 한 편씩 보고 나서 읽는 맛도 꽤나 쏠쏠하다. 내가 영화를 보고 느낀 것과 철학자가 본 것은 어떻게 다른가도 비교해볼 수 있고, 영화를 다시 '읽어보는' 재미도 느낄 수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