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피터 드러커, 마지막 통찰
엘리자베스 하스 에더샤임 지음, 이재규 옮김 / 명진출판사 / 2007년 7월
평점 :
절판
피터 드러커Peter F. Drucker 는 톰 피터스Tom Peters, 마이클 폰더Michael Porter, 오마에 겐이치大前硏一와 더불어 포츈지가 선정한 20세기 위대한 경영 대가라고 합니다.
들어가기에 앞서 피터 드러커Peter F. Drucker는 누구인지 알아보겠습니다.
피터 드러커Peter F. Drucker 는 작가, 경영 컨설턴트 그리고 대학교 교수는 1909년 11월에 오스트리아의 비엔나에서
태어났습니다. 독일의 프랑크푸르트에서 프랑크푸르트 대학교로부터 Public와 International Law에 그의 박사학위를 받은 후에, 그는 1937년에 미국으로 움직이기 전에 런던에서 경제학자와 저널리스트로서 일하였습니다.
Peter Drucker는 모두 합해서 35권의 책을 썼습니다.
또한 Peter Drucker는 Harvard Business Review, Atlantic Monthly, 그리고 이코노미스트지를 포함하여 1975년에서 1995년까지 월스트리트 저널을 위해 일반적인 특약기고가로 근무하였고 다수 출판물들에 수필들과 품목들을 기부하였습니다. 그의 경력의 전역에 걸쳐서, 그는 세계 최대의 법인들에서 실업가 신설 기업들 그리고 다양한 정치 그리고 비영리적인 매개까지 분포하고 있는 수십개의 조직을 가지고 상담하였습니다.
그의 성취 때문에 Peter Drucker는 2002년 7월 9일에 President 조지 W. 부시에 의한 자유 훈장을 받았습니다. 그의 삶과 일에 대한 문서 시리즈는 2002년 12월 24일에서 2003년 1월 3일까지 시간들에 10 CNBC에 나타났습니다.
그는 어떤 책들을 저술했으며 내용은 어떠한지 먼저 살펴 보겠습니다.
산업적 인간의 미래 1942
산업사회에서 '정치적 지체' 현상을 지적한 것으로 문명은 산업적 기반에 근거해 발달하지만 정부와 국제 관계는 산업 사회 이전의 봉건적 관습과 테크닉에 의존한다는 주장이다.
이런 그의 진단을 지금 우리나라에 비춰보면 경제 성장 속도가 워낙 빨라 '정치적 지체' 현상이 가장 심한 나라 중의 한곳이 된다.
경영의 실제 1954
목표 중심의 경영MBo-Management By Object-을 주장했다.
매니저먼트와 마케팅 개념에 큰 의미를 부여했다.
"어쩌면 서양의 문명 그 자체가 그대로 존속하는 한 매니저먼트야말로 기본적이면서도 유력한 제도로 남아있게 될 것"이라고 했으며 "마케팅은 하나의 기능이 아니고 고객의 관점에서 바라본 비즈니스의 전부"라고 주장했다.
단절의 시대 1969
지식 근로자란 개념을 다루었는데 "지식 근로자는 자신을 하나의 전문인으로 인식하면서 변호사나 교사, 목사, 공무원처럼 하나도 다를 바 없다고 본다"고 말했다. 미국의 비즈니스 스쿨은 그저 교육을 잘 받는 서기를 길러내고 있을 뿐이라고 비판했다.
자본주의 이후의 사회 1993
자본주의가 사회주의를 무력화시켰지만 사회 정치적이나 기본 가치에 있어서도 소퇴기에 접어들었다.
그래서 2010~2020년 쯤에 새로운 제도의 탄생을 할 것이다. 그 세로운 세상은 한마디로 지식이 자본 노동을 대처하는 지식사회다.
마르크스의 노동가치는 자본의 생산성 혁명으로 의미를 미처 감안하지 못한 오류로 무너졌고 이어 자본 마저도 지식에 의한 경영혁명의 가능성을 염두래 두지 못함으로써 변혁의 대상이 되고 말았다
<피터 드러커, 마지막 통찰> 이 책을 아쉽게도 피터 드러커 본인이 직접 저술한 책이 아니며 이 책은 드러커의 경영사상에 관한 책입니다. 이 책은 전략 컨설턴트인 '엘리자베스 하스 에더샤임'과의 16개월에 걸친 인터뷰를 통해 그의 일생에 걸친 경영 철학을 일목 요연하게 정리해주고 있습니다.
이 책이 던지는 메시지는 드러커 자신이 자기관리에 성공한 성취인이었음을 보여주는 것은 물론이고, 21세기의 경영자에게 근로생활과 비근로생활에 지침을 제공합니다.
이 책은 피터 드러커가 후세 사람들이 꼭 되새겨주었으면 하는 7가지의 테마를 정리한 것입니다.
1장 21세기 기업환경과 경영방식 _21세기 기업들은 레고 월드에서 경쟁한다
2장 고객 _고객이 필요로 하는 것이 무엇인지 파악하라
3장 혁신과 폐기 _혁신을 위해서는 폐기가 선행되어야 한다
4장 협력과 오케스트라 조직 _협력하는 조직만이 살아남는다
5장 사람과 지식 _경영은 인간에 관한 것이다
6장 의사결정 _훌륭한 의사결정이 부를 창조한다
7장 21세기 CEO _우리는 스스로 CEO가 되어야 한다
<의미있는 구절>
CEO의 비전, 조직의 개성, 그리고 CEO의 영향력은 21세기 기업들에게 미래의 불확실성을 줄여주는 구실을 한다.
이 책을 비롯한 피터 드러커의 책들은 책읽기가 그리 쉬운편은 절대 아니라고 봅니다. 본인도 대학원에서 경영학 관련 분야를 공부했지만 이 책의 진도는 잘 빠지지가 않더군요. 그러나 현대 경영학의 아버지이자 영원한 멘토인 피터 드러커의 눈으로 미래를 통찰해 봤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