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삶의 전부를 눈물로 채워도...
백선경 지음 / 징검다리 / 2007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미현은 지금 서울의 외곽 선교단체에서 무상으로 운영하는 호스피스 병동에 2달전부터 누워있다.
 
그녀는 과연 누구인가?
 
어린시절 조팝꽃 무리 속에서 잃어버린 작은 소녀가 바로 미현이다. 그리고 그 옆의 소년은 바로 23년간의 결혼생활을 했던 태욱......
 
미영과 태우는 커플이다. 태욱 또한 가희와 커플. 태우와 태욱은 고교동창.......고등학교 2학년때 3개월이 지나서야 친해진 고교동창이자 같은 대학교 친구.......
 
미영 태우 태욱 가희 이 네사람의 인연은 정말 엽기적이다. 사정이야 어떻게 되었던 서로의 애인과 바꾸어서 결혼을 했으니....... 아침 드라마에나 나오는 엮고 엮기는 그런 모진 인연.
 
미영과 태욱은 결혼을 한다. 그리고 그들의 고향인 예천으로 내려가서 진영이라는 아들과, 희영이라는 딸. 그리고 시부모님과 함께 복숭아 과수원을 하면 잘 생활했지만 점점 형편은 어려워지고 행상까지 나서는 태욱 또한 WTO협정으로 수입농산물이 수입되고 농민들은 궐기대회를 하는데 그만 태욱의 자동차가 사고가 나고 만다. 그리고 태욱은 식물인간 상태....... 
 
태욱이 식물인간 상태가 되자 시부모, 친지, 동네 사람들 조차 조금씩 미현을 외면하기 시작한다.
 
미현은 어떻게든 태욱을 살리기 위해 보험일을 비롯해 각고의 노력을 하지만 늘어나는 입원비와 빛을 감당하기 힘들어 구미로 삶의 터전을 옮기게 되고 급기야 단란주점의 도우미까지 나가게 된다. 그곳에서 일하던 차에 불행히도 자신의 옛애인이자 남편 태욱의 친구, 그리고 친구 가희의 남편이 되어 있는 태우를 만나게 된다.
 
태우는 결혼식날 10년 행복하게 살고 다음은 궁상맞게 살아라라고 외친 자신의 말 때문이라도 태욱의 상태를 외면할수가 없어 금전적인 도움을 주게 되지만 결국은 미현과 넘어서는 안 될 선을 넘고 만다. 그리고 그들은 정기적인 불륜을 하게 되고 미현은 태우에게 받은 돈으로 남편 태욱의 병간호를 하게 된다.
 
그러나 태우의 행동은 미현의 친구이자 자신의 와이프인 가희에게 결국 탈로가 나고 가희는 애인이었던 태욱도 빼기고 남편이 된 태우마저 미현이 뺏들어 간 것에 경악을 금치 못한다.
 
한편 미현은 남편 태욱을 살리기 위해 동네 이장과도 동침을 하고  한이의 주선으로 다방에서 일하게 된다.
 
그러나 아들인 진영이 어머니의 행동을 이해 못하고 미현을 폭행까지하게 되고 딸인 희영마저 학교를 그만두게 되고 못된 엄마가 되고 된다.
 
하늘도 미현의 간호에 감동을 받았는지 태욱이 3년6개월만에 의식을 회복하지만 태욱에게 돌아오는 것은 멸시뿐...... 심지어 시부모와 아이들에게까지 묘멸과 증오의 대상으로 전략하고 만다.
 
그러던 중 미현은 위궤양 진단을 받게 되고 남편과도 이혼에 이르게 된다. 남편이 가희와 함께 가족들을 이끌고 서울로 이사간것을 알고 무작정 서울로 찾으로 가지만........ 결국은 쓰러져 서울의 외곽 선교단체에서 무상으로 운영하는 호스피스 병동에 2달전부터 누워있다.
 
그녀는 딸 희영에게서는 용서를 받았다. 아니 이해를 받았다고 하고 싶다. 그리고 민재라는 착한 남자의 사랑도 받았다.
 
미현은 죽는 순간까지도 진영,희영과 남편 태욱 그리고 가희가 행복줘 고마워한다. 그리고 그녀는 이말 만은 꼭 전하고 싶어한다.
 
고통의 세월이었지만 나는 그가 있어서 삶의 의미를 느꼈고, 그로인해 행복을 맛보았어요
 
내 삶의 전부를 눈물로 채워도....... 미현의 남편, 자식, 시부모의 사랑은 죽는 순간까지 숭고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남자의 품격
가와기타 요시노리 지음, 황선종 옮김 / 창해 / 2007년 2월
평점 :
품절


 
<격조 있게, 그리고 당당하게 남자의 품격> 이 책은 일본 작가인 가와기타 요시노리가 품격 있는 남자로 살기 위한 인생 선배의 명쾌한 제안이라는 생각하에 적은 글이다.

 

이 책은 삶을 즐기는 마음을 주제로 일, 가정, 연애, 취미, 미학, 인생관 등 다양한 각도에서 남자의 삶의 방식과 본연의 모습을 추구하고 있는 책이다.

 

그런데 이 책의 내용은 정서상 우리와는 분명 맞지 않는 부분도 몇군데 보이기도 한다.

 

이 책에서 말하는

 

일은 회사는 남자가 꿈을 꾸는 장소라고 말한다.

가정은 남편으로서, 아버지로서의 가정을 말하고 있다.

연애편에서는 인기 있는 남자의 말의 힘을 상세히 설명하고 있다.

취미에서는 자신의 호기심에 충실하라라는 충고도 잊지 않는다.

독자적인 미학이 중요하다는 것도 밝히고 있으며 즐기며 사는 사람이 이기는 인생관도 말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이 책에서는 인생이라는 놀이터에서 즐기는 마음을 가지라고 충고한다.

 

<격조 있게, 그리고 당당하게 남자의 품격> 이 책은 목차를 읽으면 책의 내요을 대충 알 수 있다.

그리고 굳이 첫페이지부터 시작하지 않더라도 그 장을 단락으로 읽어도 된다는 점에서 편리한 책이었다.

그러나 앞에서 언급했듯이 작은 소제목중에 우리의 정서와는 맞지 않는 부분이 간혹 보인다.

 

연애는 다른 남자의 여자와 하는 것이다. -> 이해가 되지 않는 부분이다.

남자는 행복을 추구하지 않아도 된다 -> 그럼 뭘 추구해야 하는지?

악동같은 삶을 살자 -> 너무 자신만을 위한 이야기 같이 느껴졌다.

 

<격조 있게, 그리고 당당하게 남자의 품격> 이 책은 일본에서 발간되어 우리나라말로 번역된 책이다.

우리의 정서와 맞지 않은 부분도 간혹 보였지만 가볍게 읽기에는 좋은 책이었다.

그리고 40대의 인생선배로서 저자의 말 중에는 동조되는 부분이 이해하기 힘든부분보다는 휠씬 많았으니 좋은 책이라고 해도 좋을듯 하다.

 

남자들이여, 여유를 가지고 허리를 쭉 펴라! 남자의 품격을 대변하는 한 마디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용서에 이르는 다리
카린 D. 케다 지음, 박상덕 옮김 / 눈과마음(스쿨타운) / 2007년 10월
평점 :
절판


 
우리가 살아가는 삶에서 '용서'란 단어를 많이 사용한다.

 

이 책은 부제(Stories and Prayers for finding God and Restoring Wholeness)처럼 이 책은 기도와 이야기를 통한 하나님의 영접과 온전함의 회복을 추구한다.


그래서 그런지 기독교적 종교적 색체가 강한 편이다. 그래서인지 개인적으로 아주 거부감이 강한 책이라 생각했지만 하지만 이 책이 단순한 종교적 에세이에 지나지 않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읽으면서 알게 되었다.
그 이유는 구체적이고 멋진 용서의 과정을 알려주고 있기 때문이다.

 

이 책에서는 용서하게 되는 사람의 심리를 여러 단계로 나눠 설명하고 있다.


다리, 선택, 상실, 분노, 받아들임, 용서, 배움, 회복으로 나눠 거기에 맞춰 저자의 생각을 에세이식으로 이야기하고 있는데 이러한 단계를 따라 가다보면 용서라는 것이 그렇게 어렵지 않으며 누구나 쉽게 이룰수 있다고 이야기한다.

 

다리, 선택, 상실, 분노, 받아들임, 용서, 배움, 회복으로 구성되어 있는 이 책은 용서에 이르는 다리는 ‘건넘’이라고 말한다.
다리를 건넘으로써 용서에 도달한다는 것일까?
누군가를 미워한다는건 그만큼 그 사람에 대한 애정이 있다는 역설이기도하다.
그 이유를 들자면 그 사람을 미워할땐 자신의 마음 또한 무겁기 때문이다.
누군가를 미워하면서 괴로워한적이 있는 사람이라면 충분히 알것같다.
그런 마음의 짐을 덜어놓는데 조금은 의미가 있는 책이 아닐까 한다.

 

[본문중에서]
용서는 걷는 길입니다.
그 길에는 디딤돌들이 있습니다.
상실,분노,받아들임,배움,용서,회복,
그 길을 건다보면 다리를 만나게 됩니다.
그 다리에 발을 디디면 다리는 당신을 이끌고 떠받치며
당신의 손길을 기다리고 있는
삶의 저편으로 안내합니다.
용서는 영원한 여정입니다.
무수히 많은 다리를 건널 것입니다.
다리 하나를 건널 때마다 당신은 상실한 것을
조금씩 회복합니다.
 
책을 접하면서 용서에 대해 많은 생각을 하게 만들었고, 그로인해 내 삶을 뒤돌아 볼수있는 기회를 주는것 같다.

이 책을 읽고 있으면 이 책 표지가 생각난다. 용서에 이르는 다리......
이 책에는 시가 많이 보인다. 용서와 관련된 시의 내용들 저자의 여성이래서 그런지 문장이 부드럽고 심리적으로 여성스럽다는 느낌도 받았다.

 

용서는 거미줄 같습니다.원인과 결과를 이은 직선이 아닙니다.
용서는 당신이 건너고 또 건너야 하는 다리와 같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한 권으로 끝내는 비즈니스 매너
브리기테 나길러 지음, 김시형 옮김 / 황금비늘 / 2007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한 권으로 끝내는 비즈니스 매너(원제: Klasse mit Knigge : stilsicher in allen Lebenslagen)는 사실 번역서이다. 그것도 우리에게는 생소한 오스트리아 사람의 책이다.

 

이 책은 다만 비지니스매너뿐만 아니라 우리가 살아가면서 알아야 할 매너들을 이야기 하고 있다.

 

백점짜리 매너는 정답이 없다. 무슨 이야기라면 이 책의 저자는 덴마크의 여왕 마르가레테 2세를 예로 자기 성에 있을때에는 온갖 왕궁 행사에 고상하고 우아한 자세로 임하면서도 그린란드르 방문하자 에스키모와 같이 행동한 것을 여왕은 때와 장소에 맞춰 변화무쌍하게 처신할 줄 알았고 그래서 늘 국민들의 신뢰를 한 몸에 받았다고 말한다.

 

이 책의 저자는 무작정 매너를 말하는 것이 아니라 많은 경우의 매너를 예로 상세히 설명하고 있다.

 

크게 12가지로 나누어 설명하고 있는데 우리의 정서상으로 약간 어색한 부분도 있지만 매너라는 것이 만국의 에티켓으로 자리 잡았으니 모두가 일리있는 말이고 그리고 배울것들이 많았다. 그러나 서양생활패턴과 우리의 생활 패턴이 달라서인지 어색한 부분도 없지 않았다.

 

이 책에서 말하는 에티켓 몇개를 말해 보자면 다음과 같다.

 

자기 소개를 할 때는 성과 이르을 정확하게 말한다.

자신만의 독특한 멋을 찾아 새로운 스타일로 만드는 게 휠씬 효과적이다.

무언가를 보여주고 싶을 때도 겸손하게 표현한다.

자기만의 위치는 현명한 자기 표현에서 비롯된다.

넥타이는 남성의 옷차림을 구성하는 작지만 꼭 필요한 소품이다.

이 밖에도 이 책에서는 남과 더불어사는것, 스타일과 카리스마를 지배하는 자가 인생을 지배,외모가 당신에 대해 말해주는 모든것,최고의 매너 시험장인 일터, 사람과 사람이 만날때, 초대, 즐거운 외식, 사랑한다면 이들처럼, 아이들과도 지켜야 할 예의, 여행의 매너, 대중교통매너, 희한한 매너등에 대해서 자세히 설명하고 있다.

 

한 권으로 끝내는 비즈니스 매너의 저자 브리기테 나길러는 말한다.

 

이 책에서 말하는 진정한 매너는 규칙을 기계적으로 외우고 지키는 것이 아니다.

훌륭한 매너를 갖추는 일은, 인품을 긍정적으로 발달시키는 일이다. 그 안에서 당신의 성격과 생활에 맞고, 편하게 그껴지는 것을 고른 뒤 자기 것으로 만들어라. 어느새 당신은 타인과의 만남에서 당당하고 멋진 스타일을 가진 눈부신 "매너 짱"으로 거듭나 있을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고구려는 천자의 제국이었다 우리 역사 바로잡기 2
이덕일.김병기.박찬규 지음 / 역사의아침(위즈덤하우스) / 2007년 8월
평점 :
품절


고구려는 천자의 제국이었다.......

 

이 책을 처음 접한 순간 고구려에 대한 나의 갈증 해소가 되겠구나 무척 기뻤다.

 

[고구려는 천자의 제국이었다] 이 책의 내용은 개인적인 견해로 기존에 역사스페셜이나 HD역사스페셜, TV에서 하는 드라마를 섭렵한 분들에게 새로운 점은 20%정도 밖에 보이지 않을 것이다. 나머지 80%의 내용들은 기존의 앞에서 언급했던바와 같이 대충은 알고 있는 내용일 것이다. 그러나 이 책에는 컬러사진과 함께 고구려 산성답사기가 수록되어 있어 차별화가 이루어져 있는 점에 높은 점수를 주고 싶다.

 

이 책을 다 읽고 나서 느끼는 좋지 않은 점은 같은 내용을 여러곳에서 어쩔수 없이 반복되게 이야기한다는 점이다. 보다 세밀하게 이야기를 이끌어 갔으면 하고 아쉬운점도 있었다.

 

나는 이 책을 읽으면서 제10대 산상왕의 즉위과정에서 형제들의 분란을 보고 연개소문의 아들들의 권력다툼이 아주 비슷한것 같다는 생각을 잠시 했다. 맏이가 권력을 이어 받는것이 예의인데 이유야 어떻게 되었건간에 둘째가 권력을 가지고 첫째는 조국을 배신하는 아이러니한 일이 반복되었기 때문이다.

 

그리고 장수왕이란 시호는 태조대왕이 받아야되지 않았을까? 하는 혼자만의 생각도 잠시했다. 

 

우리의 손으로 그 시대 사람이 역사를 적은 고구려의 역사책은 현존하는것이 없고 중국왕조 그들만의 입장을 중요시 하는 중국사료나 지금은 현존하지 않는 역사책으로 참고로 만든 삼국사기나 삼국유사등 나에게 있어서만큼은 그렇게 신뢰감을 주지 못한다.

 

저자가 말한 고구려의 데릴사위제도......... 정확히 어감이 다르지만 이런 제도는 고려나 조선시대에도 흔히 볼수 있는 결혼풍속인데 이것을 우리는 왜 데릴사위제도로 배웠는지 의문심이 생긴다.

 

이 책을 읽으면서 가장 많이 느낀것은 역사스페셜이 다뤘던 이야기가 가장 많고 그리고 드라마로 본 연개소문이라던지 주몽 그리고 장보고에서 봤던 내용들도 제법 나온다는 것이다. 물론 태왕사신기의 내용도 약간은 나온다.

 

고구려를 이야기함에 있어 나에게는 혼자 생각하는 많은 의문점들이 있었다. 태조왕의 왕위제위기간은 사실일까?,  장수왕-조다-문자명왕 계보는 조선왕조 영조-사도세자-정조롤 비슷한 사연이 있지 않았을까?라는 혼자만의 생각...... 우리가 알고 있는 장수왕릉과 광개토대왕릉이 진짜 그들의 능일까? 라는 의문, 광개토대왕은 과연 어느 지역까지 진출했을까? 대조영은 고구려유민일까? 당태종은 양만춘의 화살에 눈을 맞아 애꾸가 되었을까? 수나라는 200만대군 정확한 숫자일까? 광개토태왕의 아들인 장수왕이 왜 천도를 단행했을까? 주몽왕의 무덤은 왜 평양에 있을까? 연개소문의 무덤은 어디있는 것일까? 고국원왕이 죽은 평양성과 장수왕의 평양성의 위치는? 안악3호분의 주인은?

 

[고구려는 천자의 제국이었다] 이 책은 우리역사 바로잡기 일환으로 꼭 읽어보시기를 추천합니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떠돌이연구자 2008-02-13 20:34   좋아요 0 | 댓글달기 | 수정 | 삭제 | URL
왕위재위기간 사실입니다... 고구려 역사상 93년이나 국정을 맡은 인물이며...
그리고 광개토태왕릉과 장수왕릉이우리게아니라면 아예 고구려를 우리역사가아니라고 우기는것이랑 같습니다... 수나라는 보급부대 300만 통틀어서 과장도 안되어서 400이 넘습니다..
침략부대만 113만이었습니다... 고국원왕이 죽은 평양은 한반도 대동강에잇는 평양이 아닌
환도성 가까운데에 있는 압록강에 가까운데에 있습니다...{요동반도지역과 압록강위에있음..} 그반대로 장수왕의 평양은 대동강유역이맞습니다.. 안악3호분의 위치는 당연히 고분보면 알겠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