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누가 버지니아 울프를 두려워하랴 ㅣ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247
에드워드 올비 지음, 강유나 옮김 / 민음사 / 2010년 5월
평점 :
세상 어디가 안 그렇겠는가만, 미합중국 사람들 얘기하는 거, 특히 헐리우드에서 찍은 영화를 보면 유독 미국인이 '가족'에게 최고의 가치를 두는 것 같다. 근데 에드워드 올비가 쓴 드라마 <누가 버지니아 울프를 두려워하랴?>를 읽어보니까 미국인들이 가치를 둔다고 대한민국사람들이 생각하는 건, 위로는 할아버지 할머니, 중간에 엄마 아빠, 밑으로 아들 딸들이 졸망졸망 달려있는 가족, 가능하면 흰 페인트가 칠해진 이층집에 아직 성년이 되지 않은 자식들과 함께 사는데 가끔 아이들의 설익은 연애담이 부모 가슴에 안타까운 상실을 안기기도 하지만 전체적으로 그럭저럭 만족해가며 사는 중산층 이상의 가족, 할아버지 할머니는 차 타고 한 시간 정도 거리에 있는 옛집에 살며 적어도 부활절, 추수감사절, 성탄절엔 큼직한 칠면조를 잡아 자손들 모두를 불러 시끌벅적한 파티를 여는, 실선이 아니라 점선으로나마 거의 완벽하게 질서가 잡힌 일종의 대가족을 의미한다고 이해하는 거 같다. 뭐 이런 가족이 이젠 비단 미합중국에서만 아니라 대한민국에서도 선망의 대상이 된 지도 꽤 오래인 것 같지만.
그러나 눈을 가족에서 좀 더 분화된 부부로 돌리면 얘기는 좀 이상하게 변질한다. 에드워드 올비는 1950년대 말, 1960년대 초 미국의 중년부부와 신혼부부를 한 집에 모이게 하여 각 부부들이 만들어가는 부부간의 권력투쟁, 의사불통, 가치의 상실, 그리하여 발생하는 개별적 존재의 소외와 고독, 기어이 상대를 경멸하고 상처를 주고 싶어하는 가학성을 드러내기에 이른다.
물론 이 작품과 장면들은 지식적으로만 상류층, 그것도 어느 한 부부를 특정하여 소외와 고독, 불통, 경멸과 가학의 극단적 샘플을 채취했겠지만, 세상의 거의 모든 부부가 살면서 작게나마 서로가 서로에 대한 이런 행위를 한 번도 해보지 않았거나, 적어도 마음 속에서 저질러보지 않은 부부가 있었겠는가. 그래서 미혼 남녀는 모르겠고, 결혼생활을 한 번 이상 해본 사람들이 이 책에 깊은 공감, 아니면 가벼운 긍정 정도는 하지 않을 수 없으리라 믿는다.
드라마의 줄거리는 지극히 간단하다. 새벽 두시가 되어 파티에서 돌아온 마사/조지 부부. 마사는 벌써 술에 만땅 취한 상태인데 두 명의 프로필을 한 번 보자.
마사 : 덩치 크고 사나운 여인. 52세지만 다소 젊어 보인다. 풍만하나 지나친 편은 아니다.
조지 : 마사의 남편. 46세로 말랐으며 머리가 세는 중이다.
위의 프로필 말고도 매우 중요한 한 가지 조건이 있으니, 마사의 아버지가 지금 조지가 사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는 대학의 창립자이자 현 총장이다. 조지의 행정능력이 조금만 더 향상된 것을 마사의 아버지가 인정하면 조만간에 총장의 자리까지 따 놓은 당상이지만 암만해도 거기까지 조지가 이루기엔 힘이 많이 부치는 상태. 미국에서도 나이가 여섯살 정도 많으면 부부간에 그것도 권력이 되는 모양이다. 너, 내가 나이 많다고 지금 싫증내는 거 아냐, 그지? 내가 너보다 훨씬 늙고 못나서 나하고 못하는 건 이해 하는데 그러면 비아그라도 먹어 봐야지 그건 왜 안 먹는 거야, 왜? 좋아 좋아, 다 봐줄 테니까 가서 물이나 한 잔 따라와. 얼음 두 조각 넣는 거 잊지 말고.
여기에 낀 젊은 부부 허니와 닉. 닉은 같은 대학의 서른 살 먹은 젊은 생물학과 교수이자 현명한 처세가.
두 부부가 만들어가는 비극적 의사불통과 소외와 고독과 가학과 절망의 드라마. 소통의 가능성을 탐구한 불통의 현상학.
그러나, 난 지금까지 의도적으로 이 훌륭한 드라마에 가혹하게 추가되는, 두 부부가 공통적으로 가지고 있는 치명적 허위와 위선에 관해서 입을 다물고 있었다. 어쩌면 가장 중요한 포인트가 될 장치를 직접 확인해보시라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