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아무도 날 사랑하지 않아
도리스 되리, 김라합 / 문학동네 / 2019년 3월
평점 :
1955년 하노버에서 출생한 도리스 되리는, 독일 펜클럽과 영화 아카데미 회원으로 활약하고 있다. 이이의 본분은 영화감독 겸 제작자라고 말할 수 있겠지만, 아동문학과 단편소설, 몇 편의 장편을 쓴 작가이기도 하다. 하노버에서 고등학교까지 마친 되리는 캘리포니아와 뉴욕에서 연극 영화를 공부한다. 스무 살이던 1975년 독일로 돌아와 뮌헨 TV-영화 대학에서 수학하면서 매체에 영화평론을 게재해 조금씩 이름을 알린다.
단편소설 열여덟 편을 묶은 《아무도 날 사랑하지 않아》, 원작 《Für immer und ewig: 한 평생》을 읽어보면 영화감독과 제작자답게 다분히 영화적 문법으로 작품을 쓰지 않았나 싶을 정도로 한 편도 빼지 않고 감각적이다. 등장인물들의 대화와 장면은 그대로 영화로 옮겨 놓으면 더욱 빛날 것처럼 반짝거리는데, 모르긴 몰라도 이런 점들이 이 책의 독자들이 후한 평가를 하게 만들었을 듯하다. 이것을 조금 바꾸어 말하면 작가가 등장인물을 조금 왜곡된 앵글로 바라보아 일상에서 벌어질 수는 있지만 사실 여간해 발견하기 힘든 별종의 성격을 갖게 만든 것 같다. 여기서 ‘것 같다.’라고 쓰는 것은, 1968년 이후의 독일을 비롯한 유럽과 미국인들을 극동 아시아 사람이 그들의 성격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할 수도 있다는 점 때문이다.
책에 실린 단편소설들 몇 개의 플롯을 따 영화 <파니 핑크>를 만들기도 했다. 이 사실이 아니더라도 열서너 살의 소녀들이 삼십대 중후반이 될 때까지의 성장단계를 따라가며, 주로 사랑과 성을 중심으로 관찰한다. 관찰은 연인들 사이에 필연적으로 동반할 수밖에 없는 오해와 상실에 집중하고 있다. 이런 오해는 의식 또는 현상을 해석하는 방식의 상이성에서 시작한다. 해석의 상이성은 자연스럽게 여성과 남성의 갈등으로 확대되는데 당연히 갈등의 마땅한 해결(방법)은 제시하지 않는다. 이렇게 써놓고 다시 읽어보니 무지하게 잘난 척을 한 것 같은데, 별거 아니다. 1968년 봄에 처음으로 사랑과 성에 눈을 뜨기 시작한 파니 핑크와 이 아이의 (열세 살 여자아이의 기준으로 암소처럼 큰 유방을 장착한) 친구 안토니아가 각기 스물세 명과 서른여덟 명의 남자와 연애를 했으면서도 아직 사랑과 행복의 향방을 알지 못한다는 내용이다.
여기에 적절하고, 경쾌하고, 심지어 감각적이기도 한 연애장면, 그리고 실연에 따른 좌절의 장면을 삽입해 경묘하게 읽는 즐거움을 준다. 어깨를 견줄 킬링타임 용 소설책을 구경하기란 쉽지 않을 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