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트맆티콘 - 삶과 죽음의 세장면
막스 프리쉬 지음, 김형국 옮김 / 전남대학교출판부 / 2006년 12월
평점 :
“트립티콘”을 우리말로 하면 “세 폭 제단화” 기독교의 제단 뒤쪽에 그려진 세 폭짜리 그림이란 뜻이다.

트립티콘
막스 프리쉬의 희곡 <트립티콘>도 이 형식에 맞추어 모두 세 장면으로 되어 있다. 그림에서 보다시피 가운데 그림이 제일 크고, 제1과 제3 화의 사이즈가 작다. 이 희곡도 1장면과 3장면을 합한 것보다 제2 장면의 분량이 조금 더 길다.
작품의 주제는 죽음. 또는 사후세계. 1장면은 70대 남자가 죽어 장사를 지내고 많은 조문객이 과부를 위로하기 위해 집을 방문해 차려놓은 식사를 하며 애도를 표한다. 고인이 평소에 앉아 있던 흰 의자엔 죽은 고인이 앉아 있으나 아무도 발견하지 못한다. 2장면은 죽음 이후의 세계다. 새벽, 아침, 오전, 오후, 저녁, 황혼, 밤의 구분이 없는 저승일지언정 봄이 왔다는 걸 죽은 이들이 다 알고 있다. 고인들은 이승에서 생을 마감하는 순간의 나이로 고착되어 있어서, 고서점을 운영하던 노인의 아버지는 영국계 정유회사 셸의 제복을 입은 젊은 모습으로 여전히 늙은 아들에게 낚시질 하는 방법을 가르치면서, 그것 하나 제대로 못한다고 타박을 한다. 이 젊은 아버지 옆에는 휠체어에 몸을 실은 뼈만 남은 할머니가 있으니 바로 젊은 아버지의 아내, 고서점 주인 영감의 엄마다.
3장면은 암에 걸려 생을 마감한 것으로 보이는 프랑신느와 이이의 아직 죽지 못한 연인 로제. 한때 서로 사랑했지만 결국 이별을 해야 했던 커플. 이들 사이에 놓인 죽음이란 거대한 장벽을 넘기 위한 유일한 방법은 이미 죽은 프랑신느가 다시 살아올 수는 없는 일이니, 속주머니에 품고 있는 권총을 머리에 대고 방아쇠를 당겨 로제가 프랑신느 있는 곳으로 가는 길밖에 없다.
어떤 그림일지 대강 보이실 듯. 새로운 것도 없고 기발한 점도 없다. 다만 3장면에서 죽음이란 방식으로 결별을 완성한 커플이 지난 시절을 돌아보는 것이 좀 서늘한 정도.
이제 막스 프리쉬의 3대 소설, <슈틸러>, <호모 파버>, <내 이름은 간텐바인>을 읽었고, 희곡의 대표작이라고 하는 <안도라>와 <트맆티콘>까지 마쳤으니 이걸로 된 듯하다. 적어도 당분간 다시 프리쉬를 찾는 일은 없을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