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구름이 모일 때 인문 서가에 꽂힌 작가들
베시 헤드 지음, 왕은철 옮김 / 문학동네 / 2016년 8월
평점 :
절판


 


  세 번째 읽은 베시 헤드. <비구름이 모일 때>는 1969년 출간. 1967년에 탈고했으나 아프리카에서는 출간을 해주는 출판사가 없어 2년을 묵인 69년, 뉴욕과 런던에서 책이 나오는 바람에 인세로 집을 한 채 지은, 헤드 최초의 장편소설. 67년 탈고니까 이이의 나이 30세에 쓴 작품이다. 이어 2년 후 장편 <마루>를, 73년에 <권력의 문제>를 연달아 출간하니 이때가 헤드의 전성기라고 해도 무방하겠다. 그런데 재미있게도 내가 읽은 순서는 <권력의 문제>, <마루>, <비구름이 모일 때> 즉 몇 년 차이가 나지 않지만 거꾸로다.
  처음 <권력의 문제>를 읽고 두 가지 측면에서 심란했다. 작가 베시 헤드의 기구한 생애를 알게 되어 심란했고, 책이 도무지 읽히지 않아 더 심란했다. 다른 나라도 아니고 남아프리카공화국에서, 1937년에, 흑백 혼혈로, 그것도 백인 엄마가 낳은 흑인 혼혈로 태어나, 아빠가 누군지도 모르고, 외갓집은 외갓집대로 가문의 오점이라 낳자마자 흑백 혼혈인 부부 가정으로 입양을 보내버리고, 생모는 정신병원에 입원해 그곳에서 생을 마친다. 여기까지도 기구한데, 열한 살이 된 1948년에 아파르트헤이트 정책이 국회를 통과해 흑인으로 살기에 가장 지옥 같은 나라에서 교사 등의 직업인으로 살다가 성폭행을 당해 입원하기도 하고, 심지어 조현병으로 엄마처럼 정신병원에도 몇 번 들락거리기도 하고, 결국 이웃나라인 보츠와나로 망명해 교사로 있으면서도 가난과 고통을 겪는다. 자신의 경험을 <권력의 문제>의 소재로 사용한 자체가 먼저 심란할 만했다.
  그리고 이를 능가하는 몸에 와 닿는 심란함. 책이 읽히지 않았다는 점. 처음에 5~60쪽까지 읽어나가다 도무지 정신을 차릴 수 없어 다시 첫 장으로 돌아와 꼼꼼하게 읽어보니, 작품의 화자가 정상인이 아니었다. 자신이 전에 조현병을 경험해봤듯이, 조현병 환자의 시선으로 세상을 바라보았던 것. 그렇다. 윌리엄 포크너의 <소리와 분노> 1부 주인공 벤지의 화법으로 처리하고 있었다. 그걸 알고 난 후 비로소 술술 읽히기 시작했고, 이 작품 하나로 베시 헤드를 좋아하게까지 되었다.
  <마루>는 고귀한 영국인이 데려다 키운 아프리카 최하위 부족이자 불가촉천민인 부시먼 출신의 고아 여자애가 열일곱 살이 되어 초등학교 교사 자격증을 취득하자, 귀부인이 50 파운드를 손에 쥐어주고는 귀국해버리는 바람에 저 시골 벽지에 교사로 발령받은 이야기다.
  <비구름이 모일 때>는 남아프리카공화국의 케이프타운에서 목숨을 걸고 신문기자를 하다가 파괴선동자라는 혐의를 받아 2년 동안 교도소에 들어갔다가 나오자마자 보츠와나로 밀입국한 ‘마카야’라는 흑인 미남과, 엄청난 거구로 대학에서 농학을 전공하고 보츠와나로 와서 골레마음미디 마을의 번영을 위해 농업과 축산업의 발전을 위해 다각도로 사업을 추진하는 토종 영국 백인 남자 길버트 벨푸어가 주인공으로 등장한다. 베시 헤드 자신이 보츠와나로 망명한 이니 아무래도 마카야에게 더 방점이 찍히는 건 사실이다.
  마카야는 한겨울인 6월에 국경마을에 숨어 있다가 한밤중을 틈타 2미터의 철조망을 넘고 중간지대 8백 미터를 전력을 다해 뛰어간 다음, 또다시 철조망을 타고 넘어 보츠와나에 도착한다. 아침이 되어 운 좋게 트럭을 얻어 타고 작은 촌락에 도착해 경찰서장에게 국경을 넘어왔음을 보고한다. 마카야가 왜 국경을 넘었을까. 이미 보츠와나의 유력 신문 1면에 자신의 사진과 함께 “위험한 파괴 선동자가 금지령을 피해 달아나다.”라고 큼지막하게 기사가 떴으며, 마카야를 한 번 딱 보고 백인 경찰서장 조지 애플비스미스가 사진의 당사자임을 알아차렸는데도. 그건 흑인을 보이, 개, 캐퍼라고 부르는 나라에서 결혼을 하고 자식을 낳을 수 없어서가 제일 중요한 이유이고, 두 번째가 자유의 땅을 밟아보고 싶어서였다.
  경찰서장은 그에게 행동을 조심하라고 충고하고 입국을 승인한다. 마카야가 경찰서를 나와 처음 만나는 사람이 중요한 조연인 디노레고라는 노인인데, 그는 마카야와 몇 마디 이야기를 해보고, 자신의 고집 센 딸과 맺어주었으면 좋겠다고 생각한다. 그래 자기네 동네인 골레마음미디 마을도 데려갔고, 그날로 거구의 영국인 길버트와 안면을 튼다. 길버트가 이야기해보니, 마카야가 아프리카 사람으로는 드물게 부족주의에서 벗어난 사상을 갖고 있는 지식인이라 자신이 고용하겠다고 제의를 해, 이후 젊은 청년 길버트-마카야, 젊은 여성 마리아-폴리나 세베소, 현명한 노인 디노레고-음바밀리페디, 이렇게 세 커플이 한 편이 되어, 약한 자들이 벌이는 선의의 행동을 억누르는 취미를 가진 악당 추장 마텐지의 방해를 극복하는 아프리카 판 브나로드, <상록수> 비슷하다.
  잘 읽히고 좋은 내용이지만 베시 헤드의 첫 작품이라서 그런지 (근데 아마추어가 이렇게 얘기해도 좋은지 몰라?) 꼭 계몽소설을 읽는 기분이 드는 걸, 읽는 내내 숨기지 못했다. 무슨 말씀인지 아시겠지?


댓글(7) 먼댓글(0) 좋아요(2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coolcat329 2021-04-01 09:32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작가의 인생이 참...기구함 그 자체네요. 작가 검색해보니 1986년 50도 안돼서 간염으로 가셨네요.ㅠㅜ 작가로서 이름을 알리던 시기였다는데 안타깝습니다. 고생한 비쩍 마른 외모를 상상했는데, 둥글둥글 맘좋은 푸근한 아주머니 인상이네요.

Falstaff 2021-04-01 09:37   좋아요 1 | URL
옙. 세상에 불쌍하지 않은 인간이 있겠습니까만, 참 힘들게 산 사람이더군요.
그래도 그 시절에, 여자가, 배워서 학교 교사까지 했으면 아파르트헤이트 시절 진짜 흑인 여성과 비하면 조금은 나은 환경이었을지도 모릅니다. 에휴, 참 누구나 사는 건 쉽지 않아요. 그저 평범하게 지지고 볶고 사는 게 장땡입니다.

바람돌이 2021-04-01 10:0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아 작가의 삶은 진짜 뭐라 말하기 힘드네요. 새로운 작가를 Falstaff님덕분에 알게는 되었는데 마지막에 계몽소설 딱 얘기하시는데 느낌이 옵니다. 아프리카식 브나로드. ㅠ.ㅠ

Falstaff 2021-04-01 10:11   좋아요 1 | URL
창비세계문학에서 나온 권력의 문제 읽으셔요. 잘 읽히지 않지만 임팩트가 큽니다.
제가 읽은 헤드의 작품 가운데 브나로드는 이 책 한 권이예요. ㅎㅎ

바람돌이 2021-04-01 10:12   좋아요 1 | URL
오 추천까지! 감사합니다. 브나르도는 빼고 권력의 문제부터 읽어보겠습니다. ^^

얄라알라 2021-04-01 15:57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제게는 생경한 세계인데 Falstaff님의 정서를 따라가며 책 맛보기 한 기분입니다. 작년에, 황상민 박사님의<만들어지는 병, 조현병>을 읽다가 어려운 대목이 있었어요. 일부러 독자가 조현병의 심화 과정, 혹은 만들어지는 과정을 느끼게 하려고 조현병 환자가 주치의였던 자신에게 썼던 편지를 그대로 본문에 수록했는데 정말 머리가 빙빙 돌며 이해할 수가 없더라고요. <권력의 문제>에서도 그런 심경을 고스란히 담은 문장들이 등장하나보네요.

Falstaff 2021-04-01 16:42   좋아요 2 | URL
<만들어지는 병...>을 읽어보지 못해서 어느 정도인지 전혀 모르겠는데요, <권력의 문제>에 나오는 문장들이 처음엔 상당히 어색하더군요. 근데 암만해도 일반 독자들에게 잠깐이 아니라 상당부분을 읽으라고 썼기 때문에 조현병 환자가 직접 쓴 편지보다는 덜하지 않을까 싶습니다.